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앋구요, 퇴직급여 방식을 회사에서 선택하라는데

어떤게 좋을까요? 조회수 : 1,943
작성일 : 2011-09-08 21:23:12

일전에 글을 올렸던 사람인데요.

 

다시 한번 조언 부탁드립니다.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아서, 그건 이달 중순에 나온다고 하네요.

 

충고해주신대로, 저도 일정부분은 대출금을 갚고,

 

원금을 묶어 이자를 받아 다시 적금을 드는 방법으로 해야할거 같아요.

 

그리고, 이런쪽은 전혀 모르는 부부다 보니,

 

남편네 회사에서 퇴직연금에 들어갈껀데,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선택을 하라고 합니다.

 

남편은 중견기업에 다니고 있구요, 입사한지 10여년이 되었습니다.

 

퇴직금 중간정산은 받았구요,

 

남편이 회사를 5~10년정도 더 다닐수 있다고 보았을 때,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어떤걸 선택하라고 해야 좋을까요?

 

고수님들의 도움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

IP : 110.8.xxx.113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9 1:14 AM (220.76.xxx.27)

    일단 제 생각엔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 입장에선 안하는게 좋은듯 해요.
    회사 부담 덜어주고 보험회사 배불리는 일이랄까..

    몇년전부터 보험사들이 전투적으로 대기업 인사팀 및 임원들을
    초대해서 호텔서 설명회하고 코스요리 먹여가며..
    퇴직연금제도 얼마나 열올리며 밀었는지 모릅니다.

    저도 업무차 몇번 가봤는데.. 아무리 들어봐도 왜 해야하는지 이유를 모르겠고
    물론 일개 근로자가 아닌 회사 입장에서 보자면 손해볼건 없지만
    일단 우리도 월급쟁이니까 ㅜㅜ

    하지만 그래도 추진되는 곳이 있다면 그건 아마 임원진이나 경영진이
    보험사와 어떤 커넥션이 있을거라는 추측도 들었어요.
    듣기로는 어떤 회사도 임원 중 한분이 특정 보험사 임원과 친분이 있어
    퇴직연금제도 추진하려다가
    노조의 반발을 감당할 수 없어 접었다는 말도 들었어요.

  • 2.
    '11.9.9 1:20 AM (220.76.xxx.27)

    아무튼 어차피 추진되었고 퇴직금 중간정산도 했다니 할수없네요.
    개개인이 누구는 하고 누구는 안하고 선택할 수 있는게 아니니..
    이게 가장 큰 불만이었던듯.. ㅡㅡ;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이건 그냥 형식적인거죠.
    어차피 확정급여형으로 할수밖에 없어요.

  • 3. --'
    '11.9.9 9:29 AM (118.34.xxx.86)

    아마도 노조가 없으신가 봅니다?? 그런건 보통 노조랑 회사랑 협의 하는부분인데요..

    확정기여는 고정급입니다. 즉, 회사에서는 내연봉의 1/12을 적립해줄 의무가 있고, 그 이상은 적립하지 않습니다. -물론 회사 사정이 어려워도 그 금액은 적립해야 합니다.

    확정급여형은 변동형입니다. 회사 사정이 좋아지거나, 사정이 안 좋아지면 그 금액이 변동이 될수 있습니다
    (강한 노조가 있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을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협의를 통해, 더 많이 적립되니까요)

    회사가 발전하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이 더 낫고, 안정세에 들어선 회사라면 확정기여형이 낫습니다.

    아.. 또 사원끼리 모여서(그룹을 만들어서) 자기의 퇴직금을 직접 투자할수 있습니다
    (주식형, 펀드형, 예적금형등, 물론 그 수익,손실은 본인이 집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니, 찬찬히 알아보세요

    저희 회사는 확정기여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373 절임배추 고민입니다, 6 머리아파 2011/11/02 2,035
33372 82분들 fta검색에 1위만들어 봅시다!!!!!!! 16 경기도아짐 2011/11/02 1,783
33371 아랫집 흡연때문에 아이들이 걱정되요 6 샬라라 2011/11/02 2,412
33370 한미 FTA , 노무현 대통령의 글..다시 올립니다. 5 저녁숲 2011/11/02 1,689
33369 네이버 순위권이에요~~ 10 2011/11/02 1,770
33368 안매운고추가루와 청양고추가루를 섞을때요 2 다 잘될꺼야.. 2011/11/02 2,205
33367 맞벌이 하시는 분들... 남편 출장가거나 할때 가방 챙겨주시나요.. 14 2011/11/02 2,879
33366 베스트글 거지같은 친구에 공감합니다 9 야옹이 2011/11/02 2,864
33365 fta궁금 12 안뇽 2011/11/02 1,832
33364 이사가려고 하는데 일산은 어느 동네가 살기 좋나요? 2 이사 2011/11/02 1,959
33363 이런 중차대한 문제를 왜 국민들에게 안물어보나요? 3 죽일놈들 2011/11/02 1,309
33362 여야 ‘한미 FTA’ 갈등 계속…회의장 재점거 7 세우실 2011/11/02 2,035
33361 다음 한미FTA 검색어2분전까지 6위였는데 없어졌어요 5 눈부신날 2011/11/02 1,383
33360 정보누출 무섭네요. 1 정보누출 2011/11/02 2,063
33359 네이버 fta 6 나그네 2011/11/02 1,654
33358 아이패드 케이스 다들 입히시나요? 8 ㅎㅎ 2011/11/02 1,851
33357 한미fta 다음에서 6위로 올라섰어요.. 10 rola 2011/11/02 1,915
33356 직권 상정 들어가면 찬성 반대 그거 투표 하는건가요 3 한미FTA .. 2011/11/02 1,366
33355 네이트 검색순위 밀립니다 점심시간 끝나니 ... 2011/11/02 1,232
33354 간판 만들 준비 합니다. 3 .. 2011/11/02 1,846
33353 자유 게시판 맞습니다. 19 ... 2011/11/02 2,903
33352 분당 이매동과 서현동 중 어디가 나을까요? 6 분당이사 2011/11/02 2,800
33351 빨라졌어요..혹시 아시는 분 계세요? 5 월경주기가 2011/11/02 1,699
33350 노대통령 탄핵 소추 생각이 나네요 2 ㅜㅜ 2011/11/02 1,742
33349 노원 이사짐센터 괜찮은 곳 추천부탁드려요~!! 이사해요~ 2011/11/02 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