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앋구요, 퇴직급여 방식을 회사에서 선택하라는데

어떤게 좋을까요? 조회수 : 1,336
작성일 : 2011-09-08 21:23:12

일전에 글을 올렸던 사람인데요.

 

다시 한번 조언 부탁드립니다.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아서, 그건 이달 중순에 나온다고 하네요.

 

충고해주신대로, 저도 일정부분은 대출금을 갚고,

 

원금을 묶어 이자를 받아 다시 적금을 드는 방법으로 해야할거 같아요.

 

그리고, 이런쪽은 전혀 모르는 부부다 보니,

 

남편네 회사에서 퇴직연금에 들어갈껀데,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선택을 하라고 합니다.

 

남편은 중견기업에 다니고 있구요, 입사한지 10여년이 되었습니다.

 

퇴직금 중간정산은 받았구요,

 

남편이 회사를 5~10년정도 더 다닐수 있다고 보았을 때,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어떤걸 선택하라고 해야 좋을까요?

 

고수님들의 도움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

IP : 110.8.xxx.113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9 1:14 AM (220.76.xxx.27)

    일단 제 생각엔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 입장에선 안하는게 좋은듯 해요.
    회사 부담 덜어주고 보험회사 배불리는 일이랄까..

    몇년전부터 보험사들이 전투적으로 대기업 인사팀 및 임원들을
    초대해서 호텔서 설명회하고 코스요리 먹여가며..
    퇴직연금제도 얼마나 열올리며 밀었는지 모릅니다.

    저도 업무차 몇번 가봤는데.. 아무리 들어봐도 왜 해야하는지 이유를 모르겠고
    물론 일개 근로자가 아닌 회사 입장에서 보자면 손해볼건 없지만
    일단 우리도 월급쟁이니까 ㅜㅜ

    하지만 그래도 추진되는 곳이 있다면 그건 아마 임원진이나 경영진이
    보험사와 어떤 커넥션이 있을거라는 추측도 들었어요.
    듣기로는 어떤 회사도 임원 중 한분이 특정 보험사 임원과 친분이 있어
    퇴직연금제도 추진하려다가
    노조의 반발을 감당할 수 없어 접었다는 말도 들었어요.

  • 2.
    '11.9.9 1:20 AM (220.76.xxx.27)

    아무튼 어차피 추진되었고 퇴직금 중간정산도 했다니 할수없네요.
    개개인이 누구는 하고 누구는 안하고 선택할 수 있는게 아니니..
    이게 가장 큰 불만이었던듯.. ㅡㅡ;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이건 그냥 형식적인거죠.
    어차피 확정급여형으로 할수밖에 없어요.

  • 3. --'
    '11.9.9 9:29 AM (118.34.xxx.86)

    아마도 노조가 없으신가 봅니다?? 그런건 보통 노조랑 회사랑 협의 하는부분인데요..

    확정기여는 고정급입니다. 즉, 회사에서는 내연봉의 1/12을 적립해줄 의무가 있고, 그 이상은 적립하지 않습니다. -물론 회사 사정이 어려워도 그 금액은 적립해야 합니다.

    확정급여형은 변동형입니다. 회사 사정이 좋아지거나, 사정이 안 좋아지면 그 금액이 변동이 될수 있습니다
    (강한 노조가 있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을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협의를 통해, 더 많이 적립되니까요)

    회사가 발전하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이 더 낫고, 안정세에 들어선 회사라면 확정기여형이 낫습니다.

    아.. 또 사원끼리 모여서(그룹을 만들어서) 자기의 퇴직금을 직접 투자할수 있습니다
    (주식형, 펀드형, 예적금형등, 물론 그 수익,손실은 본인이 집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니, 찬찬히 알아보세요

    저희 회사는 확정기여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4803 마당집 3주살이 3 마다미 소원.. 14:34:11 144
1604802 속썩이는고3 3 자식이 14:30:51 171
1604801 당신이 영화감독이나 소설가같은 창작가인데 이런 의뢰를 받았다면?.. 4 글쓴이 14:29:17 137
1604800 왜 나이들어 남편이랑 여행 안가는지 알겠어요 16 .... 14:29:07 588
1604799 나혼산에서 안재현이 키우는 고양이요 2 .. 14:28:18 220
1604798 나솔 정숙영호 보기 불편한 이유가 뭘까요? 8 ........ 14:24:16 400
1604797 소금을 어디다 보관할까요? 1 14:24:06 194
1604796 돈 계산 7 정말 치사해.. 14:22:46 327
1604795 채해병 사건 쉽게 설명해 주실분 3 ㄱㄴ 14:22:44 201
1604794 카페 진상 아줌마들 진짜... 5 ㅡㅡ 14:21:52 779
1604793 애들 교육비 빼고 한달 생활비 얼마 드세요? 5 .. 14:19:47 403
1604792 알콜중독 치료 제발 14:17:02 152
1604791 딸이 취집하겠다고 하면 어때요? 25 .... 14:13:45 1,146
1604790 학교생활 불성실한 중학생아이 3 아놔 14:11:28 245
1604789 종합검진할때 화장하고 가도되나요? 7 저기 14:10:52 379
1604788 매실청 말고 무슨 청 만드세요? 5 14:09:04 267
1604787 윤석열 임기 시작하자 서해공무원 피살 사건 2 ㅇㅇ 14:08:55 442
1604786 생리전 증후군 1 twert 14:08:40 116
1604785 1보] '얼차려 훈련병 사망' 사건 중대장·부중대장 구속 8 하이고 14:07:52 1,098
1604784 퍼머가 하고싶습니다! 근데.. 2 삼각김밥 .. 14:06:48 328
1604783 주목-대통령실에서 해병대 수사 못믿겠다 7 데자뷰 14:03:08 640
1604782 요즘 세탁기는 세탁 시간이 짧아요? 8 ** 14:00:54 567
1604781 녹두빈대떡에 콩나물? 4 봉다리 14:00:00 197
1604780 43평도배 5 이사 13:58:21 481
1604779 벽 시멘트 크렉 보수 1 13:57:53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