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건강이 안좋은 원인

건강 조회수 : 2,465
작성일 : 2017-09-19 16:35:52

 고시생인데.. 몸이 안좋아서 요새 공부를 못하고있거든요.

 근데 제 생활패턴이.. 공부하고나서 저절로

 밤 11시에 공부끝나고 독서실에서 오면..

 뭐 먹고 방정리하고 방에서 할일하고 씻고 쉬고 그러다가

 인터넷으로 뭣좀 보고 놀고 티비보고 핸드폰도 좀 하고 그러면

 금방 시간이가요. 그러다가 핸드폰으로 음악켜놓고 침대에 누워있으면

 새벽 4,5시 해뜨는걸 보고 자기도 하고요.

 그때가 제 휴식시간이거든요. 근데 이거 부모님도 엄청싫어하세요.

 밤낮 바뀐거 좋아하는 부모님 없겠지만.. 어릴때부터 새벽에 깨어있고

 집안 돌아다니는거 엄청싫어하셔서.. 냉장고라던지 화장실 등등을 가야하잖아요.

 밤에 불켜놓으면 전기세 어쩌고 해서 불을 거의 꺼놓고 조명등만 켜놔도 뭐라고 해요.

이것때문에 마찰이 심했어요.

 그리고 알람으로 안 깨고, 자고싶을만큼 자고 쉬고싶을만큼 자다가

 일어나면 낮 3시, 4시... 어쩔땐 5시 6시도 돼요. 잠을 많이자는편이에요.

 그럼 일어나서 바로 독서실에 가요. 외출해서 카페에서 커피한잔 사고

 독서실 가서 밤 11시까지 시간아껴가면서 공부해요.

 그리고 중간에.. 저녁7시8시쯤에 근처 식당가서 된장찌개같은거 한끼 사먹고요.

 뉴스나올때쯤 식당에서 뉴스보면서 밥먹어요.

 그리고 밤11시쯤 집에와서 쉬고 놀고 그 다음날 또 공부하고..

나름 이런생활이 좋기도 했거든요. 워낙 새벽에 깨있는걸 좋아하고..

 근데 요새 공부도 잘안돼고 무엇보다 몸이 너무 안좋아서 ㅠㅠ

 해서 친구랑 얘기하는데 제 생활스타일 가지고

 밤낮이 바뀌어서 너 새벽에 안자고 낮에일어나는거 보고

 병이 안나는게 신기했다. 당장 목숨걸고 수면관리를 하라고 하더라고요.

원래 심한 허약체질이에요. 근데 요새 들어 더 체력이 안좋아지고 몸이 안좋아지는걸 느껴요.

그리고 건강한 친구를 보니 학벌이고 직업이고 뭐고 체력이 좋고 건강한게 최고인거같아서..

 요새 머리도 아프고 몸도 안좋고 건강도 안좋아져서 너무 슬픈데

 친구 말이 밤낮만 바꾸면 바로 좋아질병같다. 나도 백수생활할때 밤낮 바꿀때 몸안좋아졌는데

 직장다니면서 좋아졌다고. 너 몸안좋은거 밤낮바껴서 인것같다고 그래서..

 제가.. 밤낮바꾼다고 건강좋아진다면 얼마나좋겠냐고 했죠.

 그래서 일단 오늘 아침 일찍 일어나서.. 방정리하고 청소해서 깨끗하게 만들어놓고

 침구 정리하고... 햇볕보러 나와서 동네한바퀴걷고 했거든요. 

일단 이 생활을 계속 유지해서..

 오전에 일어나서 방청소하고, 외출해서 햇볕보면서 동네산책하고.. 헬스장가서 운동도 하다가

 공부하고 밤9시에 독서실서 나와서 집에서 좀 쉬다가 11시 이전에 잠자리에 들려고 하거든요.

 이렇게 밤낮 바꾸고 햇볕보고 낮에 산책하고 운동하고 그러면

 몸안좋고 아프고 허약체질 많이 좋아질까요?

 하소연 처럼 썼어요. ㅠ 근데 진짜 친구말대로 밤낮만 바꾸고 햇볕보고 운동해서

 몸이 많이 건강해졌으면 좋겠네요. 원래 만성적인 우울증이랑 허약체질이었거든요.

 중고등때는 학교다니니 강제적으로 아침에 일어나서 밤에 잤는데,

 대학때도 어느정도 학교생활을 강제적으로 해야하니..

 그런데 그냥 공부하고 백수생활하니 저절로 이렇게 돼는데

 인생 통틀어서 강제적으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밤낮을 바꾸려고 노력한적이 없는거같아요.

 긴 학교생활의 강제성에 지쳐서 자고싶은만큼 자고 밤에 좀 깨있고 그러고싶었는데..

 인생이 그게 아닌가봐요. 

 

IP : 211.32.xxx.22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낮에 주무시니
    '17.9.19 4:43 PM (114.203.xxx.157) - 삭제된댓글

    그런식의 생활 패턴을 가지고서 나중에 직장 생활 어떻게 하실 생각이세요. 업무 시간에 졸텐데.

  • 2. 낮에 주무시니
    '17.9.19 4:44 PM (114.203.xxx.157) - 삭제된댓글

    그런식의 생활 패턴을 가지고서 나중에 직장 생활 어떻게 하실 생각이세요. 업무 시간에 졸텐데.공부시간이 적네요

  • 3. ..
    '17.9.19 4:54 PM (211.36.xxx.115)

    건강도 건강이지만 무슨 공부인지 모르지만 공부하는 시간이 작아요..

  • 4. ..
    '17.9.19 4:57 PM (1.233.xxx.29)

    우선 먹는게 없네요
    허약한 체질일수록 밥 세끼 챙겨
    먹어야 하고 운동해야 해요
    대학생 아들이 쉬는날에는
    그런 패턴인데 말도 안듣고
    자기 몸을 위해 뭘 해보려 하지도 안아요
    부모님이 속터지시겠네요
    살아보니 체력이 으뜸이예요
    근데 체력은 노력하면 얼마든지 좋아져요
    그래야 자신감도 생기지요

  • 5.
    '17.9.19 5:09 PM (121.167.xxx.212)

    잘 먹고 수면 생활을 8시간으로 늘려 보세요
    너무 피곤해서 직장 그만 두고 아파서 기본적인으로 집안만 돌아 가게 해 놓고 6개월은 푹 쉬었더니 건강해 졌어요
    밤에도 자고 낮에도 시간 나면 누워서 쉬었어요
    원글님은 공부 때문에 힘들겠지만 10시 이전에 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공부 하세요

  • 6. ....
    '17.9.19 5:14 PM (182.209.xxx.167)

    건강에 좋을수가 없는 생활패턴이네요
    공부도 너무 조금하고요
    밤낮 바뀌는거 몸에 정말 안좋아요

  • 7.
    '17.9.19 8:39 PM (220.73.xxx.232)

    무슨 고시생이 여섯시간 남짓 공부를 하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3614 수학전문학원 16 새롭게! 2018/01/01 2,349
763613 사케데울때 6 사케의 계절.. 2018/01/01 1,166
763612 애를낳음 키우는게얼마나 힘든지부터 알려주세요. 38 중요 2018/01/01 7,150
763611 파워 포인트 사용하는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 있을까.. 1 ^^ 2018/01/01 1,118
763610 곱슬 커트머리는 어떻게 관리해야할까요. 9 비빔국수 2018/01/01 2,755
763609 롯데월드 콜팝냄새 저만 힘드나요 4 2018/01/01 2,278
763608 삼성 vs LG 비교 6 ... 2018/01/01 1,644
763607 배우자와 달리 연말정산을 할경우 반달이랑 2018/01/01 569
763606 동탄2신도시 분양권은 9 ... 2018/01/01 2,805
763605 꼭 지킬 나와의 약속 한가지가 있다면 뭔가요? 21 새해부터 화.. 2018/01/01 3,861
763604 왁싱 하면 털이 어떻게 나나요? 1 왁싱 2018/01/01 2,697
763603 영화 루시 케이블 영화채널에서 하는거 보신분 10 ㅇㅇ 2018/01/01 1,946
763602 제목만 본 사람과 뉴스 전부를 본 사람 4 샬랄라 2018/01/01 1,201
763601 새해 첫날...문대통령이 직접 전화 통화한 사람들 .jpg 1 존경합니다... 2018/01/01 1,332
763600 냉장고를 부탁해에 혜민스님 나와요 3 jtbc 2018/01/01 3,668
763599 비트코인 다 이해 하시나요? 9 여러분은 2018/01/01 4,592
763598 단독주택을 사서 리모델링을 하려는데 계약서 9 리모델링 아.. 2018/01/01 2,658
763597 비트코인 논쟁중인데 어떻게 할까요? 8 찬반 2018/01/01 2,566
763596 한식 뷔페 계**상 너무 실망 27 ... 2018/01/01 14,869
763595 잘생긴 사람도 맨날 보면 걍 익숙한 얼굴이 되겠죠..??? 13 ... 2018/01/01 6,308
763594 시누랑 절연합니다. 4 속편히.. 2018/01/01 5,655
763593 30대 남자가 어린여자 공략하는 이유는 9 ㅇㅇ 2018/01/01 5,313
763592 지금 SBS에서 하는 '의문의 일승' MB가카 봅시다 4 똥가카 2018/01/01 1,893
763591 북한, 평창행 가능성↑···우리나라 국제대회 몇번 참가했나 3 ........ 2018/01/01 1,036
763590 이혼을앞두고... 16 니나노 2018/01/01 18,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