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저임금 인상 문제 핵심도 '재벌개혁'. 결집하는 소수 '반문 전선' 확대를 경계해야

작성일 : 2017-09-01 13:02:10

1. 최저임금 인상을 환영하는 '다수' vs 인상이 반갑지 않은 '소수'

[응답자 74%가 '1060원' 올린 내년 최저임금 긍정 평가] 문재인 정부에서 단행한 최저임금 인상은 친서민 정책임에도, 23.6% 국민들은 '부정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들 대부분 임금을 지불하는 입장에 있는 자영업주들이나 기업들로, 일부 대기업들을 제외하면 영세 자영업자들이나 소상공인, 중소기업들이 포함되며, 그들에게는 '생존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걸린'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기사 전문과 이미지 : 2017. 8. 14. 한겨레 기사 https://goo.gl/AmNmAL


2. 문재인 정부 - 최저임금 이슈로 '진짜전선'을 만났다.

최저임금 이슈는 문재인 정부가 만난 ‘진짜 전선’이다. 최저임금 정국에서 문재인 정부 지지율은 6%포인트가 빠졌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직후 여론의 합의 기반이 폭넓은 이슈부터 처리해왔다. 국정교과서 철회, 세월호로 희생된 기간제교사 순직처리, 검찰 국정원 개혁 착수, 박근혜 국정 농단 진실 규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런 전선은 비록 검찰이나 자유한국당 등 직접 이해당사자가 반발한다 해도, '정부 정책이 대체로 옳다'는 합의가 두텁고, ‘이해관계가 걸린 강고한 반대 블록’이 형성되기 어려운 이슈다.

그러나 내년 6월 지방선거 같은 경우, 동네 미용실 목욕탕 부동산등 '입소문의 배양소'에서 치르는 완전한 골목 선거인데, 여당인 민주당이 선거운동을 하러 골목에 들어설 때마다 "인건비에 등골이 휜다, 또 올릴거야" 는 질문이 쏟아질 것은 당연하다. 여당인 민주당은 이 점을 우려한다.

이렇듯 중대한 개혁이란 자원 배분구조를 바꾸는 것이므로 어쩔 수 없이 ‘저항하는 결집된 소수’를 만들어내고 지지기반 일부의 이탈도 필연이다. 즉 ‘결집된 소수’가 여러 전선에서 관리되지 않고 등장할 위험이 있다. 원전건설 중단과 탈핵, 외고·자사고 폐지, 비정규직 정규직화, 대기업·부자 증세 등 묵직한 전선이 동시다발로 펼쳐졌다. 이들은 국정교과서 철회 전선과는 다르고 최저임금 전선과 비슷하다.

최저임금 공약을 좌절시키는 데 큰 관심이 있는 ‘결집된 소수’는, 이제 문재인 정부가 통치 동력을 잃어버릴수록 이익을 보는 처지가 된다. 다른 첨예한 전선에서도 정부의 반대자로 나설 동기가 생긴다. 반대로 문재인 정부 처지에서는, 동시다발 전선에서 등장하는 ‘결집된 소수들’이 고정적 반대 블록을 형성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생긴다. 최저임금 인상 이후 벌어진 풍경은, 문재인 정부가 ‘쉬운 전선’을 지나 그야말로 고전적인 통치의 과제를 만나기 시작했음을 알려주었다.

출처 : 2017. 7. 31. '시사인' 천관율 기자 기사 요약 발췌 https://goo.gl/MC691E


3. 그러나 '최저임금 현실화' 핵심도 역시 '재벌 구조개혁'

현재의 저임금 구조는 재벌 및 대기업 중심으로 쏠린 경제구조에 있다. 중소기업 이하 소상공인, 영세자영업자, 노동자들은 이러한 구조의 피해자들이다. 따라서 최저임금 인상을 두고, 을 대 을, 을 대 병정 간의 대립으로 가서는 결코 안 된다. 구조개혁을 두려워하는 재벌 및 대기업이 웃고 있기 때문이다.

2017년 기준, 자산규모 상위 10대 민간 대규모기업집단의 매출은 2016년 실질 GDP의 65.6%를 차지했다. 또한 총수가 있는 자산 상위 10대 그룹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전체 시가총액의 51.33%나 됐다. 국가의 경제력이 재벌 및 대기업에 얼마나 집중되었는지를 보여 주는 자료다.

이들은 막강한 경제력으로 중소기업 및 하청업체, 협력업체에 대한 납품단가 후려치기, 기술탈취 등을 일삼고 골목상권까지 진출해 더 많은 이윤을 손쉽게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들은 치솟는 임대료와 카드 수수료까지 감당하며 생존을 이어 가고, 가맹사업자들은 본사로부터 과도한 수수료 납부 각종 불공정행위까지 당하며 이윤을 착취당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의 혁신과 자생력은 상실됐고, 대·중소 임금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재벌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바꾼다면 최저임금 1만원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최저임금법은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핵심은 재벌, 대기업, 갑 중심의 잘못된 경제 구조를 바꾸는 것이다. 구체적인 개혁 로드맵을 세워 단행해야 한다.

기사 출처 : 2017. 8. 14. 서울신문 '권오인 경실련 경제정책팀장' 기고문 요약 발췌 https://goo.gl/7xz9qA


사법부와 재벌 그리고 부패정치인 간의 연결고리는 재벌의 로비자금, 사내유보금 입니다. 가계들은 경제난을 겪고 있는데, 재벌들은 사내유보금을 쏠쏠하게 늘리며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재벌이 불법승계하는 자본을 가계로 끌어오는 개혁이 선행될 때, 대한민국의 '돈맥경화'가 해결되어 경제도 바로잡히고, 국정농단의 돈줄도 막힐 것입니다. 최저임금 인상이 당장 반갑지 않은 '소수'들의 입장 또한, 재벌이 독식하는 경제구조라는 문제에 그 원인이 있지 최저임금 인상 자체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즉 대한민국의 '먹고사니즘' 문제는 '재벌 구조개혁'으로 대부분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 자본적폐들과 적폐언론들은 '공생 관계'로서 그 사실에는 침묵하며 문재인 정부를 흠집내기에 바쁩니다. 또한 '재벌개혁'이라는 근본 문제는 제쳐두고 당장의 현실과 현상만을 두고 정부를 비난한다면 그것은, 자신들의 이익에만 급급한 나머지 야당들이나 적폐세력들을 돕는 상황이 되버립니다.

원전마피아들이, 사학재벌들이, 대기업과 고소득자들이 이미 묵직한 전선들에서 첨예한 이해관계로 문재인 정부와 팽팽한 긴장감을 형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자신들 이익을 위해 정부의 반대편에 선 '소수들'은
광범위하게 뭉쳐 새 정부의 국정동력을 위협할 수 있는 세력들로 강하게 결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연합전선 앞에 국민들이 침묵한다면, 문재인 정부는 개혁도 통합도 이뤄내기 힘들 것입니다.

박근혜 정부를 쫓아내고 문재인 정부를 세울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주었던 촛불시민 여러분, 각종 이슈의 전선에서 이익으로 뭉쳐 문재인 정부를 공격하는 '결집된 소수들의 연합'을 깨뜨려 주시기 바랍니다.
깨시민들이 절대다수 이면서, 저들보다 더욱더 단단하게 결집될 수 있음을 촛불혁명은 보여주었습니다. Again 촛불혁명. 우리들의 전선은 계속됩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nfull-movement&logNo=2210867259...
IP : 175.223.xxx.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깨시민이 할일은
    '17.9.1 1:46 PM (175.124.xxx.168)

    이익으로 뭉쳐 결집된 소수들이 연합하여 문정부를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는것이네요.

  • 2. 00
    '17.9.1 5:36 PM (112.133.xxx.252)

    회사에서 최저임금으로 받고 있어서 문정부가 저에게는 이익이지만 급한 상승은 좀 우려되기는 합니다.
    우리나라가 워낙 영세 자영업자 비율이 높아서요.
    시행후 임금도 상승하고 전반적으로 물가도 오를테지만 소비촉진되고 경제가 활성화되서
    부디 시행후 좋은 성과로 나타났음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5409 발이 나무껍질처럼 되어가고 있어요.. ㅠ 17 아니 왜??.. 2017/10/01 4,287
735408 이분 말씀 참 잘하시네요 오영식 2017/10/01 667
735407 할머니상 당했다고 연락오는 지인 13 ... 2017/10/01 9,202
735406 아침에일어나면 발이아파요 5 2017/10/01 1,280
735405 어제 김기방 결혼사진..신부가 넘이쁘네요. 34 ㅡㅡㅡ 2017/10/01 18,440
735404 심심해서 성문독해 문장을 봤는데 잘 모르겟어요 -질문이요 1 ... 2017/10/01 766
735403 뭘해야할까요? 4 명절음식 2017/10/01 745
735402 외모는 진짜 숙명인거같아요.진짜.. 9 ... 2017/10/01 6,565
735401 전세와 월세, 고민입니다. 3 고민 2017/10/01 1,429
735400 추석연휴맞아 군 대비 태세 점검에 나선 안철수 14 ... 2017/10/01 1,951
735399 송도 아울렛 어떤가요 3 알라 2017/10/01 1,584
735398 la 갈비 양념할때 5 고기조아 2017/10/01 1,664
735397 냉장고가 꽉 차 있을 때에도 냉장고에서 물이 샐 수 있나요? 2 냉장고 2017/10/01 1,602
735396 너무 진심이 느껴지네요 노통님 2017/10/01 724
735395 여동생 남편을 뭐라 호칭 하나요? 10 호칭 2017/10/01 4,318
735394 잡채 만들어 2시간후에도 불지 않는 법 알려주세요 13 ... 2017/10/01 5,300
735393 선물 좀 봐주세요~~ 어제 선물 글보고 신경 쓰이네요 2 .. 2017/10/01 1,117
735392 혼인신고 의존증은 사회적 병리 현상 6 oo 2017/10/01 2,035
735391 직장과 집이 가까우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16 ㅇㅇ 2017/10/01 3,725
735390 밤새 기침 3 기침 2017/10/01 974
735389 소개팅 복장 추천좀 해주세요(남자) 8 cla 2017/10/01 2,459
735388 동물복지 우유 추천해주세요 1 ... 2017/10/01 704
735387 이명박 서울시장때는 어떠했을까요? 8 그것이 알고.. 2017/10/01 1,993
735386 남자들은 여자가 요리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나요? 9 ㅇㅇ 2017/10/01 2,523
735385 커피를 많이 마셨더니 잠이 안와요ㅠㅠ 1 dfgjik.. 2017/10/01 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