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우용, 한국병합조약 공포 107년... 빼앗긴 주권만 회복하면 온전한 국가였다

고딩맘 조회수 : 566
작성일 : 2017-08-29 16:00:39

원문보기 : https://www.facebook.com/wooyong.chun/posts/1632040246868258


오늘은 ‘한국병합조약’이 공포된 지 107년이 되는 날입니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일제의 한국 강점’, ‘한일병합’, ‘한일합방’, ‘경술국치’ 등 여러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형식상의 문제일 수는 있으나 분명히 짚어 둘 점이 있습니다.

조약 공포와 동시에 일본 왕의 칙령으로 여러 법령이 공포됩니다. 그 중 제318호는 “한국의 국호를 고쳐 지금부터 조선이라 한다.”였습니다. 이 조문은 한국이라는 나라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그 주권만이 일본 왕에게 양도되었고, ‘국호’는 조선으로 변경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조약상 '한국병합'의 주체는 '일본 왕'이었습니다. 빅토리아가 영국 왕인 동시에 인도 황제였듯, 이 시점에서 한국은 일본의 영토로 편입된 것이 아니라 일왕에 의해 별도의 통치를 받는 독립된 ‘나라’가 된 것입니다. 그래서 일본 내각은 한국 통치에 간섭하지 못했고, 일왕의 위임을 받은 조선 총독이 입법, 사법, 행정, 군사의 전권(全權)을 행사했습니다. 조선을 별도의 ‘나라’로 남겨 둔 이 칙령은 조선인을 일본 ‘국민’과 동등하게 대접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차별의식의 소산이었습니다. 이 칙령에 따라 조선인은 일본 왕의 통치를 받으면서도 일본 국민은 아닌 어정쩡한 지위, 즉 식민지 노예라는 법적 지위를 획득했습니다.

1910년 8월 29일 이전, 한국의 주권은 ‘한국민’이 아니라 한국 황제인 순종에게 있었습니다. ‘한국병합조약’은 순종이 가졌던 주권을 일왕에게 양도하는 형식을 취한 거죠. 한국의 ‘국호’는 조선으로 바뀌었지만, ‘국민과 영토’는 일본에 ‘병합’되지 않았습니다. 조선은 총독이 일왕을 대리하여 통치하는 ‘별개의 나라’였고, 조선인은 ‘일본인’이 아니었습니다.

1919년의 3.1운동은 이런 상태에서 일어났습니다. 순종이 한국민의 동의 없이 일왕에게 양도한 ‘주권’을 한국민 스스로의 의지로 되찾았음을 내외에 천명한 것이 ‘기미독립선언’입니다. 인민과 영토는 그대로이니, 주권만 회복하면 온전한 국가를 재건할 수 있다는 거였죠. 나라 이름을 ‘대한민국’으로 한 것도, 대한제국의 황제였던 순종이 주권을 양도해야 할 상대는 일왕이 아니라 대한제국 국민이어야 한다는 의식이 있었기 때문일 거라고 봅니다. 실제로 한국민의 ‘일부’는 ‘주권국가’의 국민이거나 군인이라는 자의식을 가지고 살았습니다. 그들은 해마다 삼일절 기념식을 치렀고, 한국민의 자격으로 한국 영토 안에 침입해 온 일본 세력에 맞서 싸웠습니다.

지금도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일’로 기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세력이 적지 않습니다. 이들의 주장은 삼일운동 이후 ‘주권자 의식’을 버리지 않았던 한국인들의 삶을 송두리째 부정하고, 일왕을 한국의 ‘정당하고 유일한 주권자’로 승인하는 것입니다. 건국절 제정론자들은 걸핏하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말하지만, 그들이 계승한 ‘정통성’은 ‘일왕의 주권’에만 복종하고 ‘한국민의 주권’은 부인했던 식민지 노예의 정신일 뿐입니다.



98년 전 이라면...  우리는 손에 손에 다 태극기를 들었겠죠 ... 겨울내내 촛불을 들었듯이 ... 




IP : 183.96.xxx.24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반일!
    '17.8.29 4:13 PM (221.158.xxx.197)

    일본제품도 사용하면 안되고 일본 여행도 가면 안되욧!
    아직도 일본 여행간다는 82COOK분들은 정신차리세요

  • 2. 슬금슬금
    '17.8.29 4:37 PM (218.236.xxx.162)

    조금씩 치밀하게 하나둘 빼앗겼던 것 같아요
    다시는 당하지 말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4854 파파이스 보세요~~ 6 털보안녕 2017/09/01 1,840
724853 자식 키우시는 분들 솔직하게 대답햐주세요 20 82쿡 2017/09/01 7,636
724852 드라마 작가들이 음주를 조장하네요 8 음주사 2017/09/01 1,523
724851 이불밖은위험해에서 강디니엘이 자던침구 뭐라그러죠? 2 .. 2017/09/01 1,548
724850 중고 골프채 야마하 인프레스 어때요? 1 골프시작 2017/09/01 1,807
724849 전업 하다가 일다니니 너무 힘드네요.. 30 .. 2017/09/01 15,471
724848 자궁 근종 수술하신분~~ 10 ... 2017/09/01 2,674
724847 모기 엄청크네요 ㅇㅇ 2017/09/01 570
724846 학부모 상담시 아빠가 가도 될까요? 15 ㅇㅇ 2017/09/01 1,847
724845 운동화처럼 편한 구두는 진정 없는 거죠? 17 ㅇㅇㅇ 2017/09/01 6,690
724844 등산 2 덜덜 2017/09/01 761
724843 계약보다 일찍 나가면 월세 돌려받을수 있나요?(프랑스) 5 질문 2017/09/01 1,494
724842 왜 노력하며 살아야되죠 2 2017/09/01 1,294
724841 강원호텔 수영장사고 19 사고 2017/09/01 15,957
724840 한지민은 키가 얼마나 될까요? 17 ... 2017/09/01 23,775
724839 정상훈 "김생민이 준 돈으로 생활" 23 .. 2017/09/01 18,327
724838 이나이에 양치질이 제대로 안됐다는 소리듣고...이 닦기가 싫네요.. 24 2017/09/01 5,754
724837 점빼보신분들!만족하세요? 12 아항 2017/09/01 3,221
724836 고궁 야간관람 4 미투 2017/09/01 1,146
724835 피부 흉터가 좀 심해요 7 여드름 2017/09/01 2,211
724834 7세 아이 무좀 (약사님. 약추천부탁드려요 ㅠㅠ) 6 ㅇㅇㅇㅇ 2017/09/01 2,161
724833 청와대 견학 신청 페이지 언제 열리는지 아시는 분ㅜ 4 가고잡다 2017/09/01 1,191
724832 이유정-민주변호사 주식대박 권력..희한한 조합... 49 .. 2017/09/01 1,858
724831 애니학원? 미술학원 ? 조언좀 부탁드려요 3 ㅂㅅㄴ 2017/09/01 869
724830 버스 한번 타고 많이 걷기 vs 버스 두번 타고 조금 걷기 - .. 10 교통 2017/09/01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