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부도 재능인듯

.. 조회수 : 4,708
작성일 : 2017-08-21 20:11:36
저는 미술을 따로 배우지않았는데도 어릴때부터 그리는거좋아했고 그림칭찬도많이받았거든요
대충 방법만가르쳐주면 쉽게터득하고 큰노력없이 잘한다는칭찬듣고 그랬어요
그렇게 지금은 박봉이지만 디자인으로 밥벌이하고있구요
그런데 공부는 영ㅠㅠ 선생님설명 한번만듣고 찰떡같이 알아듣는애들보면 신기했어요ㅜㅜ 그애들은 나같이 한번에못알아듣는애들이 신기했을거예요.
공부도재능이라면 이왕 공부쪽 재능을타고났으면 얼마나좋았을까싶네요
IP : 223.62.xxx.134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7.8.21 8:16 PM (117.111.xxx.144)

    어느정도까지는 노력으로 비슷해질수 있는데..
    그 이상은 재능이 필요한듯..
    같이 공부해보면 확실히 이사람은 똑똑하다는게 느껴지는
    게 있더라구요

  • 2. 공부만 그런가요
    '17.8.21 8:17 PM (124.49.xxx.151)

    살림도 재능이라고 믿어요 by 살림저능주부

  • 3. ㅇㅇ
    '17.8.21 8:19 PM (49.142.xxx.181)

    너무 당연한 얘기를..
    저도 미술 같은거 배우지 않았어도 엄청 잘 그리는데(특히 정물화나 인물화를 엄청 잘함)
    못하는 사람은 선긋기도 못한다 하더군요.
    그냥 타고난거예요. 공부나 예체능 모두다요..
    노력하면 된다고요?
    노력을 할수 있는 그 자체가 엄청난 재능...

  • 4. ㅁㅁ
    '17.8.21 8:22 PM (121.130.xxx.31) - 삭제된댓글

    노력을 할수있는 그자체가 엄청난 재능 222

  • 5. 보통
    '17.8.21 8:23 PM (223.62.xxx.182)

    애들이 고액과외에, 스파르타 기숙사에, 집안 지원 충분히 받아가며, 세 시간 밖에 안 자며 공부해도 8시간 자고, 집에서 다니고, 과외는 커녕 학원 근처에도 못 가본, 집안 살림 다 해가며 학교만 겨우 다닌 머리좋은 애에게 전교 1등을 내주는 게 공부에요.

  • 6. 저도
    '17.8.21 8:26 PM (124.50.xxx.151)

    어릴때 손재주있다는 말 많이듣고 미술 배운적 없지만
    곧잘해서 고등때도 전공해보라는 선생님들 계셨어요. 근데
    돈많이든다고ㅠㅠ 아쉬움이 남아요.
    지금은 그냥 전업주부인데 배운적없지만 아들둘 머리도
    제가 잘라주고 살아요. 손으로 하는거는 공부빼고
    중간이상은 다 하는거같아요.

  • 7. 이게 끝도 없는게
    '17.8.21 8:27 PM (59.8.xxx.179) - 삭제된댓글

    생각하면 모든 게 타고 난거죠. 노력으로 되는 일은 거의 없죠.
    그럼 뭐하러 노력합니까? 되는대로 살고 그게 팔자지..
    근데 생각해보면 재능 어쩌구 해도 천재적인 그런 재능 말고는 다 고만고만해요.
    그래서 노력이 중요한 거구요.
    하지만 요즘엔 돈이 재능을 커버하다 보니 고만고만한 사람들끼리 노력으로 경쟁하기 힘들어졌죠.
    공정한 사회가 중요하고 그 전에 공정이란 개념을 사회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재능이 있다고 생각되는 데 투자하는 게 효율적이긴 해요. 그런데 재능찾기가 힘들다는거.. 그 이유는 한 사람 안에 있는 여러 재능들도 고만고만하기 때문 아닐까요? ;;

  • 8. ...
    '17.8.21 8:27 PM (119.64.xxx.92) - 삭제된댓글

    인공지능분야에서 지능을 정의할때 보통 학습하는 능력이라고 하거든요.
    컴퓨터는 원래 깡통인데, 학습이 가능한 컴퓨터가 인공지능인거죠.
    그러니까 학습능력이 좋은게 지능이 높은거.
    배우면 바로 안다? 그게 소위 말하는 머리가 좋은거죠.
    머리 좋은것도 일종의 재능인거고.
    미술분야 같은건 창의력에 가깝겠죠.

  • 9. ...
    '17.8.21 8:30 PM (119.64.xxx.92)

    인공지능분야에서 지능을 정의할때 보통 학습하는 능력이라고 하거든요.
    컴퓨터는 원래 깡통인데, 학습이 가능한 컴퓨터가 인공지능인거죠.
    그러니까 학습능력이 좋은게 지능이 높은거.
    배우면 바로 안다? 그게 소위 말하는 머리가 좋은거죠.
    머리 좋은것도 일종의 재능인거고.
    미술분야 같은건 창의력이나 미적감각에 가깝겠죠.

  • 10. ㅇㅇ
    '17.8.21 8:30 PM (116.37.xxx.240) - 삭제된댓글

    꾸준한 공부는

    머리 좋고 끈기 성실한 사람이 하는것

    성실치 않으면 절대불가

  • 11. able
    '17.8.21 8:31 PM (59.12.xxx.247)

    최고의 재능이 공부라고 합니다.
    일반사람의 노력으로 안되는 한계가 있어요

  • 12. 손재주없음
    '17.8.21 8:32 PM (110.46.xxx.250)

    손재주 있으신분들 부럽네요. 저는어릴때부터 종이접기를 엄청 못했어요. 지금도
    종이접기나 호텔수건접기 요런거 한번봐서는 이해를 못해요. ㅎㅎ 그렇다고 공부를 잘하지도
    못했는데..... 제가 자신있었던건 오래앉아서 책보기 였어요. 오래앉아서 공부하기...ㅎㅎ 이런거 잘했어요.
    버티는거요~~~~ 그래서 지금은 조금 나은대학, 조금 나은 직업으로 사네요....!!!!
    정말 사람마다 재능이 다른듯요^^

  • 13. 110님
    '17.8.21 9:13 PM (115.137.xxx.89)

    울 아이가 정말 끈기는 있어요(중1여학생)
    버티는거 잘해요.
    옆에서 보면 안쓰러울정도로 열심히는 해요.
    아직 중1이라서 그런지 하는만큼은 결과가 나오지만
    고등가서는 넘 힘들어할거같긴해요..
    버티는 거 잘하신 위에 110님~
    이런 성향의 아이, 옆에서 부모가 어떤걸 도와주면 좋을까요?^^

  • 14. 손재주없음
    '17.8.21 9:40 PM (110.46.xxx.250)

    115님 우연히 댓글보고 답글 달아요 ㅎ ㅎ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 . 그냥 마음 편하게 해주는거요.
    성적올랐다고 들떠하지마시고 성적이 바닥을 쳤다고
    혼내키거나 슬퍼하는 모습 보이지 않는거요.
    그냥 너가 못해도 상관없다고, 믿어주는거요.
    따님은 충분히 노력하고있고 더 노력할거고
    행여나 고딩되서 성과를 못이뤄도 그 좌절감 충분히
    극복할 힘이 있을거에요! 제가그랬거든요 ㅎ ㅎ
    엄마가 간섭안하고 믿어주는게 컸던거같아요.
    중간등수라도 꼴지아닌게 어디냐 이런마인드셨거든요 ㅎ ㅎ
    그냥 믿어주시고 감놔라배놔라말구. . 학습하는데
    필요한 부수적인 비용들만 잘 도와주셔도 될듯해요^^

  • 15. ...
    '17.8.21 9:42 PM (218.236.xxx.162)

    공부도 예체능도 다 종류가 다른 재능이죠~

  • 16. 책에서 봤는데..
    '17.8.21 10:10 PM (122.40.xxx.125) - 삭제된댓글

    어느 정신학자가 쓴글인데 50%는 유전이고 40%는 운(랜덤), 10%가 가정환경이라네요..저는 50%유전 50%가정환경일줄 알았는데 40%가 운(랜덤)이라네요..

  • 17. 재능을 무시하지 못하죠
    '17.8.22 5:19 AM (100.2.xxx.156)

    공부, 미술, 운동 ... 뭐든 남들보다 적게 노력해도 성과가 좋은 편인데요.
    전 심지어 외국어도 여러개 잘 합니다.
    하지만 음악은
    아예 계명을 들어도 구분을 못하고, 박자치, 음치, 리듬치? 암튼 음악쪽으로는 아무리 노력해도 절대로 늘지도 않고 매번 첫날입니다. 피아노를 몇년을 배워도 바이엘 상권 한권을 못 끝냈어요 ㅠ.ㅠ
    그냥 음이 구분이 안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1268 아파트 앞에 놀이터.. 12 집매매 2017/08/22 2,397
721267 스켈링 많이 아픈가요 9 왜살까 2017/08/22 2,885
721266 부모님70세정도 되신분들 컴터나 인증서작업 잘 하시나요?? 8 70 2017/08/22 1,209
721265 어제 동물학대 신고하셨다는 글 3 .. 2017/08/22 696
721264 사과, 배, 참외 껍질째 먹어요. 16 ... 2017/08/22 2,210
721263 소녀상 1일 후원자 활동 마감 인사 19 ciel 2017/08/22 816
721262 시디즈 어른 의자 괜찮나요? 11 2017/08/22 2,831
721261 옆으로 누우면 나오는 뱃살 어떻게 빼나요. 16 .. 2017/08/22 7,609
721260 혹시 농구 좋아하세요? ㅋ 허재아들이 국가대표로 뛰고 6 ㅇㅇㅇ 2017/08/22 2,700
721259 시부모님과의 해외여행 어떻게 생각하세요? 20 .... 2017/08/22 4,144
721258 수능 일부과목 상대평가라면 국영수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4 차라리 2017/08/22 743
721257 집 근처에서 저렴하고 깨끗한 숙소 어떻게 찾죠? 6 제니 2017/08/22 955
721256 초등아이 학습용으로 노트북/태블릿 어떤걸로..? 2 .... 2017/08/22 763
721255 文정부 첫 소방관 전용보험 나온다...정부가 보험료 50% 지원.. 19 와우 2017/08/22 1,446
721254 아이가 몇살일때부터 향수를 쓰는게 괜찮을까요? 4 ㅁㅁ 2017/08/22 955
721253 임종석 비서실장 탁행정관 관련 "대통령 인사권 존중돼야.. 9 당연하죠 2017/08/22 1,659
721252 장관이라는 여자가 대통령 인사권에 딴지 걸고 있는 거 보면 참 .. 25 ㅇㅇ 2017/08/22 3,337
721251 영등포 타임스퀘어~~ 5 영등포 2017/08/22 1,723
721250 테이크아웃 커피뚜껑 미남배우가 만든거네요. 11 멋지네요 2017/08/22 4,406
721249 과연이런시대가 올까요?헤드셋만끼면 자동통역 7 888 2017/08/22 1,170
721248 근데 임대사업자 등록은 왜 안 하는 거에요? 10 ... 2017/08/22 3,267
721247 우체국 단독실비 들어주는 지역 4 궁금 2017/08/22 1,863
721246 변호사 지인으로 알고 지내면 도움 되나요? 13 2017/08/22 3,420
721245 수능절대평가 반대 어느 사이트에 글쓰면 되나요? 2 지푸라기 2017/08/22 512
721244 맨체스터 바이 더 씨 같은 영화 추천부탁드립니다 1 영화 2017/08/22 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