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말 공무원 60세까지 일하나요

ㅇㅇ 조회수 : 4,369
작성일 : 2017-08-21 16:46:41
요즘 60이 청춘인데
여기서는 50만 되도 나가더라가 많아서..
조직에서 눈치엄청 주나요
업무능력은 나이보다 사람 개개인 능력이라서..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정년 65세로 늘었다고
대신 연금이 깍이고...


IP : 117.111.xxx.9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21 4:52 PM (211.246.xxx.27)

    나이땜에 눈치주는건 없어요 일대충하거나 새로운부서 발령날경우 일을 안배우려하기땜 짜증난데요

  • 2. ........
    '17.8.21 4:55 PM (59.13.xxx.220) - 삭제된댓글

    50대에 많이 나간다던데요
    후배들 위해서

  • 3.
    '17.8.21 4:56 PM (211.114.xxx.77)

    네 그떄까지 일합니다.

  • 4. 네?
    '17.8.21 4:57 PM (14.46.xxx.5)

    전 50대에 나가는 사람 한명도 못봤어요..

  • 5. 국회의원은
    '17.8.21 4:58 PM (223.62.xxx.113)

    60대이상이 대부분이예요

  • 6. 대학교수
    '17.8.21 5:00 PM (1.250.xxx.234)

    는 65람서요.

  • 7. ㅇㅇ
    '17.8.21 5:01 PM (117.111.xxx.9)

    저서도 만으로 치니까 실제는 66 67세까지죠...

  • 8. 업종에따라 다르죠
    '17.8.21 5:11 PM (211.253.xxx.18)

    교사들은 정년까지 근무하는경우 별로 없다고 하고(엄마들이 싫어해서 명퇴하고 기간제로 다시 들어온답니다) 지방직들은 정년까지 다해요

  • 9.
    '17.8.21 5:18 PM (125.136.xxx.127) - 삭제된댓글

    꽉 채워 정년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에요.
    간혹 1,2년 남겨두고 명퇴하시는 분들도 봤어요.
    교사도 사람에 따라 정년 꽉 채워 퇴직하시는 분도 있고, 명퇴하는 분들도 있는데
    몇 년전부터 명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퇴직금, 연금이 불리하게 되었어요.
    저희 아버지도 그래서 연금받기 좋은 조건으로 명퇴하셨는데, 너무 잘한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자녀인 제가 봐도 연세가 드실 수록 교사 자리에 있는 것은 좀 아니라고 봅니다.
    예전과 달리 지금은 변화에 민감하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연구하는 젊은 사람들이 많이 있더라구요.
    저희 아버지, 어머니 역시 잘 물러났다라고 표현 합니다.

  • 10. 의문
    '17.8.21 5:32 PM (110.70.xxx.66) - 삭제된댓글

    교사 외 다른 공무원도 정년보장 되는거죠?
    보장되는 만큼 권리일테고 잘 하는 사람까지 퉁쳐서
    나이많으니 나가라는 분위기?
    좋은 사회인가요? 남녀성차별에 나이까지 넣는 직업논란....
    건강한 담론같진 않다는 불편함이 생겨요.

  • 11. 이어
    '17.8.21 5:40 PM (110.70.xxx.66) - 삭제된댓글

    울 아버지 작은 회사에서 나이많단 이유로 50초반 실직하셨던 생각에 울컥하네요. 무능하셨겠죠만 유능의 영광스런 자리는 기회가 적고.
    사회도 학교마냥 평범한 성적으로 조용히 착실히 살아가기 힘들죠만,
    왜 우리는 더 나아가는게 아니라 비교해서 더 악화시키는데 바쁠까요?
    살기 퍽퍽해서? 이유, 당위성 많겠죠만,
    이른바 선진국에선 교사 공무원 나이제한논란 없지 않나요?
    그나라들은 구식으로만 살아서요?

    원래 공무원이 사기업 고용의 나아갈 방향을 먼저 제시하는걸로 아는데 사회분위기가.....무서워요....결국 돌고돌아 내 권리도 같이 명분에 사라질까봐요.

  • 12. 이어
    '17.8.21 5:45 PM (110.70.xxx.66) - 삭제된댓글

    울 아버지 작은 회사에서 나이많단 이유로 50초반 실직하셨던 생각에 울컥하네요. 무능하셨겠죠만 유능의 영광스런 자리는 기회가 적고.
    사회도 학교마냥 평범한 성적으로 조용히 착실히 살아가기 힘들죠만,
    왜 우리는 더 나아가는게 아니라 비교해서 더 악화시키는데 바쁠까요?
    살기 퍽퍽해서? 이유, 당위성 많겠죠만,
    이른바 선진국에선 교사 공무원 나이제한논란 없지 않나요?
    그나라들은 구식으로만 살아서요?

    원래 공무원이 사기업 고용의 나아갈 방향을 먼저 제시하는걸로 아는데 사회분위기가.....무서워요....
    결국 돌고돌아 내 권리도 나이 등등 명분에 사라지고 당연시하는 사회....그게 워가 되던 이런 식으로 여론 형성되면 권리보다 당연하듯 될까봐.

  • 13. whanfwnrk
    '17.8.21 6:05 PM (117.111.xxx.221)

    하는것도 별로없다던데요.지인이 상사 비위맞추는게 일이라고..
    세금 갉아먹는 벌레들이랍디다;;;

  • 14.
    '17.8.21 6:55 PM (223.62.xxx.151)

    정년은 법으로 정해져있는데 내부적으로 어떻게 65세까지 일한다는 건지..

  • 15. ........
    '17.8.24 2:32 AM (59.13.xxx.220)

    인사혁신처에 통계나오다는데
    지방직 포함인지 모르겠는데
    퇴직연령이 거의 52-3 그쯤이라고 하네요
    정확한 자료가 궁금하시면 인사혁신처에 정보공개청구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0633 한의원 추천좀 부탁 강남지역이요 1 베니 2017/10/23 884
740632 1주년 촛불집회는 국회로 12 .. 2017/10/23 1,153
740631 빌라 살던 제 친구가 잠실 아파트로 이사간다네요. 40 ㅇㅇ 2017/10/23 23,967
740630 여유자금없으면 월세집 연장하는게낫겠죠? 1 힘들어요 2017/10/23 965
740629 바리스타자격증따는게 날까요? 아니면 바로 창업반? 6 커피 2017/10/23 2,271
740628 남대문 갈치조림골목 원래 이렇게 짠가요 3 무명 2017/10/23 1,660
740627 핸드폰 몇년 주기로 바꾸세요? 5 2017/10/23 1,337
740626 팟캐스트 황심소 듣는데.. 대실망 2 2017/10/23 1,367
740625 부탄이란 나라 뭔가요 헐 4 외사친 2017/10/23 4,336
740624 급질)삽겹살 넣고 김치볶음밥 할 때 삼겹살 기름에 밥 볶나요? 4 궁금 2017/10/23 1,536
740623 1주년 촛불집회는 여의도에서 5 ........ 2017/10/23 876
740622 천하의 송혜교도 남편이 집해오네요.ㅋ 37 2017/10/23 28,383
740621 대출 최고로 내서 ㅠㅠ집 장만 예정이에요. 한 아파트네 두 동 .. 15 ... 2017/10/23 5,275
740620 구르미 그린 달빛 보고있어요 2 재밌네 2017/10/23 1,166
740619 서울역에서 그 반대편으로 건너려면 지하 밖에 없나요 3 왜살까 2017/10/23 886
740618 지금 논란인 촛불 1주년 행사 포스터.. 11 뭐하는짓인지.. 2017/10/23 2,494
740617 공부... 중요해요. 19 중요합니다 2017/10/23 4,960
740616 신호무시하고 우회전하던 버스에 20대여성 치어서 사망 11 케이트 2017/10/23 4,727
740615 요즘 사진 인화 보관 어디서 어떻게 하시나요? 하늘 2017/10/23 658
740614 [2010년 기사]현역 육군장교. 연평도 포격은 이명박 정부가 .. 고딩맘 2017/10/23 1,121
740613 사실 집값이 서울 일부만 빼고는 비싸다고 할 수 없지 32 않나요? 2017/10/23 3,793
740612 막상 여행을 가려니 돈이 아깝네요 19 ... 2017/10/23 4,993
740611 이수근 아들 태준 태서. 윤후~ 12 .. 2017/10/23 6,593
740610 집이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으면 불안하신 분들 계세요? 9 질문 2017/10/23 2,941
740609 고백부부 보고 부모님 과일을 보내드리려는데 어디서.. 3 고고 2017/10/23 2,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