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무현정부때 강남집값 상승한 이유가 뭔가요

질문 조회수 : 2,374
작성일 : 2017-08-20 23:33:03
노무현때 강남집값이며 신도시 까지 집값고공행진해서
박탈감 때문에 이명박찍은 사람 많은데
세종시땜에 토지보상금이다 뭐다해서
돈이 몰린거 아닌가요?



IP : 110.70.xxx.235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쵸
    '17.8.20 11:34 PM (121.159.xxx.67) - 삭제된댓글

    세종시땜에 토지보상금이 엄청 풀렸어요

  • 2. ??
    '17.8.20 11:38 PM (183.96.xxx.122)

    집값이 오르는데 정부가 억제책 펴니 더 오르는갑다 사재낀 거 아닌가요? 이명박이 온 서울에 뉴타운한다고 바람도 잔뜩 넣었구요. 그 바람이 계속 되길 바라서 이명박 찍은거죠. 집값 잡히길 바라고 이명박 찍은 사람이 있나요?

  • 3.
    '17.8.20 11:41 PM (221.138.xxx.83)

    국썅뇬 그 동네도 국썅이 집값 올려준다해서 뽑은 거라면서요.....

  • 4. 그때는
    '17.8.20 11:44 PM (218.236.xxx.162)

    경제 상황도 좋았죠 집 살 여력이 되기도 했지만 투기세력 장난도 있었겠다 싶어요 보통 집값의 20%(?) 정도 대출 받았던 듯 한데 어느순간 집값이 막 오르더니 집값의 반 정도까지도 대출 받기 시작한 듯 해요

  • 5. 당시에
    '17.8.20 11:51 PM (115.140.xxx.187)

    당시는 모든 나라의 부동산이 유동성 팽창으로 급등한 때였어요.
    거의 전세계적인 트랜드였고요,
    그러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왔고요, 미국에서 시작된건데
    당시 미국 주택 구입 시 자기돈 5%만 있으면 빚 지고 집 살 수 있었던 걸로 기억해요.
    그게 미국 금융위기를 가져왔고요,
    우리는 참여정부 때 다소 늦게라도 LTV DTI 조절을 시작했기에
    글로벌 금융위기에 휩쓸리지 않았다고 저는 생각해요.

  • 6. 되는대로
    '17.8.20 11:55 PM (121.185.xxx.47)

    그때 미국의 달러 찍어내기 정책으로 전세계 유동성이 풍부해진게 외부적인 요인이었고 내부적으로 노무현 정권은 친재벌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부동산투기는 집권자의 의지만 있으면 얼마든지 잡을 수 있습니다.

  • 7. ...
    '17.8.21 12:10 AM (218.236.xxx.162)

    그때는 집사지 말라고 정부에서 국민들 말렸어요
    그리고 LTV(Loan to Value ratio -담보 물건의 가치안에서 정해진 비율내로 빌릴 수 있음) DTI (Debit to Income - 연봉 고려해서 일정 비율내로만 상환 가능한 대출 제한) 정책 진정성있었죠

  • 8. 제 생각엔
    '17.8.21 1:28 AM (61.252.xxx.73) - 삭제된댓글

    1.이명박 서울시장이 청계천 개발하면서 시세의 3배를 보상금으로 주자 이 돈이 부동산에 돌아 수도권 집값 상승.

    2. 참여정부 경제 호황기. Imf 때 코스피 500, 참여정부때 코스피 2천까지 상승, 코스피 정신없이 오르고 이때 적립식펀드니 하는 각종 펀드상품 최초로 출시. gdp 2만불 돌파, 경제 상황이 좋았음. 수출도 잘되고 억대연봉자도 이때 많이 늘어나 가계에도 돈이 많이 돔. 특히 여의도 증권가엔 코스피 대박으로 억대연봉자 많았음.

    3. 참여정부때 주택담보대출 최초 출시. 2002년에 국내 최초로 미국계 씨티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함. 그전엔 이런 상품이 없었음. 대출은 주로 기업 대상이었음. 시중 국내은행들은 다들 지켜봄. 씨티은행 대박침. 2004년경부터 국내은행 너도나도 상품 출시. 그전엔 집을 사려면 순수 저축으로만 구입했으나 이때부터 대출로 구입함. 대출이 집값 상승 가속화.

    총선에서 강북 뉴타운 만들어주겠다고 해서 당선됐는데 당선후 백지화한 국회의원도 있었고 대출로 인한 집값 거품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건 으로 한풀 꺾임.
    가계파산으로 나라 망하지 않은건 dti ltv덕분. 신의 한수였음.

  • 9. ...
    '17.8.21 1:31 AM (61.252.xxx.73) - 삭제된댓글

    .이명박 서울시장이 청계천 개발하면서 시세의 3배를 보상금으로 주자 이 돈이 부동산에 돌아 수도권 집값 상승.

    2. 참여정부 경제 호황기. Imf 때 코스피 500, 참여정부때 코스피 2천까지 상승, 코스피 정신없이 오르고 이때 적립식펀드니 하는 각종 펀드상품 최초로 출시. gdp 2만불 돌파, 경제 상황이 좋았음. 수출도 잘되고 억대연봉자도 이때 많이 늘어나 가계에도 돈이 많이 돔. 특히 여의도 증권가엔 코스피 대박으로 억대연봉자 많았음.

    3. 참여정부때 주택담보대출 최초 출시. 2002년에 국내 최초로 미국계 씨티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함. 그전엔 이런 상품이 없었음. 대출은 주로 기업 대상이었음. 시중 국내은행들은 다들 지켜봄. 씨티은행 대박침. 2004년경부터 국내은행 너도나도 상품 출시. 그전엔 집을 사려면 순수 저축으로만 구입했으나 이때부터 대출로 구입함. 2006년경부터 너도나도 주택대출로 주택 구입 폭발. 대출이 집값 상승 가속화.

    총선에서 강북 뉴타운 만들어주겠다고 해서 당선됐는데 당선후 백지화한 국회의원도 있었고 대출로 인한 집값 거품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건 으로 한풀 꺾임.
    가계파산으로 나라 망하지 않은건 dti ltv덕분. 신의 한수였음.

  • 10. 제 생각엔
    '17.8.21 1:31 AM (61.252.xxx.73)

    1. 이명박 서울시장이 청계천 개발하면서 시세의 3배를 보상금으로 주자 이 돈이 부동산에 돌아 서울 집값 상승.

    2. 참여정부 경제 호황기. Imf 때 코스피 500, 참여정부때 코스피 2천까지 상승, 코스피 정신없이 오르고 이때 적립식펀드니 하는 각종 펀드상품 최초로 출시. gdp 2만불 돌파, 경제 상황이 좋았음. 수출도 잘되고 억대연봉자도 이때 많이 늘어나 가계에도 돈이 많이 돔. 특히 여의도 증권가엔 코스피 대박으로 억대연봉자 많았음.

    3. 참여정부때 주택담보대출 최초 출시. 2002년에 국내 최초로 미국계 씨티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함. 그전엔 이런 상품이 없었음. 대출은 주로 기업 대상이었음. 시중 국내은행들은 다들 지켜봄. 씨티은행 대박침. 2004년경부터 국내은행 너도나도 상품 출시. 그전엔 집을 사려면 순수 저축으로만 구입했으나 이때부터 대출로 구입함. 2006년경부터 너도나도 주택대출로 주택 구입 폭발. 대출이 집값 상승 가속화.

    총선에서 강북 뉴타운 만들어주겠다고 해서 당선됐는데 당선후 백지화한 국회의원도 있었고 대출로 인한 집값 거품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건 으로 한풀 꺾임.
    가계파산으로 나라 망하지 않은건 dti ltv덕분. 신의 한수였음.

  • 11. 그때는
    '17.8.21 9:56 AM (112.170.xxx.99)

    절대 공급이 부족했었습니다....그래서 위례, 판교신도시가 개발되었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1912 남편들 밖에서 이빨좀 못쑤시게하세요 ! 16 역대급 2017/08/24 2,326
721911 161인데 56키로 때가 제일 나았대요 23 mdfgh 2017/08/24 5,682
721910 간장 깻잎절임 맛있게 하는법 좀 알려주세요~~ 9 깻잎절임 2017/08/24 2,204
721909 환불사태라고 다 해주는건 아니네요 2 생리대 2017/08/24 1,422
721908 탄핵반대서울대인연대 제5차 대자보 길벗1 2017/08/24 549
721907 어제가 처서였는데... 6 ㅇㅇ 2017/08/24 951
721906 항공권 국공항변경이면 고객이 이동해야 되나요? 2 항공권 2017/08/24 336
721905 교육 수능 학종 100퍼 기간제 건강보험 재정문제 공무원 증원 4 아자 2017/08/24 565
721904 파마 가격이 25만원이면 커트비 포함이겠죠? 6 2017/08/24 2,645
721903 운동하기 전 드라이는 왜 할까요?? 8 응?? 2017/08/24 2,520
721902 빨래 안마르는 날씨 너무 싫어요 7 redan 2017/08/24 1,614
721901 철수와 혜훈이 저 꼬라지 되나요?? 2 닭쫓던 개 2017/08/24 1,250
721900 니 똥 굵어, 니 팔뚝 굵어,, 이 말 아세요? 6 ㅋㅋㅋ 2017/08/24 1,335
721899 기간제 교사들 간호조무사가 간호사 대우 해달라는거랑 똑같네요 18 2017/08/24 2,874
721898 한석규씨가 이상형이신분들 어떤남편들과 살고 계시는지 궁금해요 8 좋아좋아 2017/08/24 1,669
721897 수능/정시 교육문제가 더 크게 이슈화 못되는 이유는... 13 내 맘 나도.. 2017/08/24 1,081
721896 김사복씨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분을 기자가 만났네요 4 고딩맘 2017/08/24 3,131
721895 까르띠에 펜더 단종됐나요? 시계 2017/08/24 1,524
721894 두부조림 어떻게해야 맛있나요? 15 두부 2017/08/24 3,945
721893 출근길 지하철 이상한 여자 3 2017/08/24 2,850
721892 이미연씨는 왜 작품 안할까요 9 궁금 2017/08/24 7,609
721891 이건희가 한 말 때문에 저는 삼성 제품 안쓰네요 7 불매 이유 2017/08/24 3,680
721890 국내여행 중에 가장 맛있게 먹었던 음식점 기억나는 곳 있나요? 12 맛집 2017/08/24 3,228
721889 출산 6개월인데 머리가 너무 많이 빠져요. 7 머리머리 2017/08/24 1,237
721888 실외기소음 8 습도가라 2017/08/24 1,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