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말고 주택 사시는 분들 전기요금 얼마 나오세요?

/..... 조회수 : 2,131
작성일 : 2017-08-18 11:02:48

저희집은 작년기준으로 누진세때문인건지ㅠㅠ

거의 15-20만원이였고

여름이면은 30만원도 넘게 나온 적이 있어요.

한 40나와서 검침원이 오셨던 적도 있던.............



25년된 오래된 주택에 30평 조금 넘고요..

김치냉장고 2대 냉장고 1대

티비 1개 세탁기 그리고 컴퓨터 2대랑 프린트가 항상 켜있어요.(일때문에요)


보통 얼마나 나오나요?

우리집이 좀 많이 나오는 것 같긴해요..

엄마말이 4식구에 기계들이 많아서 어쩔 수 없다고는 하는데


가스요금도 겨울이면 0만원은 당연히 훌쩍 넘기고......... 아낀다고 저녁에만 틀어놨는데도 그래요..ㅠㅠ

.원해 이런가요?


IP : 218.37.xxx.58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흰
    '17.8.18 11:08 AM (59.17.xxx.48)

    새주택이고 전기요금은 헌주택, 새주택하곤 상관없잖아요, 여튼 김냉2, 냉장고1, 식기세척기, 에어컨2대, 선풍기2대, 티비3대, 로봇청소기, 오디오, 세탁기 대충 요렇게 있는데 6만~8만원 정도 나와요.

    원글님넨 너무 많이 나와요.

  • 2. 전기나
    '17.8.18 11:09 AM (203.128.xxx.25) - 삭제된댓글

    가스등은 비교가 불가해요
    쓰는대로 나오는거라서요

    옛날 가전이 전기를 많이 잡아먹긴 해요

  • 3. ........
    '17.8.18 11:11 AM (114.202.xxx.242)

    저희집도 일때문에 컴퓨터 하루 10시간씩 켜져있고, 냉장고 2대에 전기밥솥 많이 사용하고,
    티비도 거의 늘 켜져 있는데,
    5,6만원정도 나오는데요.
    올 여름에는 에어컨을 거의 하루 종일 틀어 놓은 날도 거의 20일 가까이 되었는데 15만원 안넘어요.

  • 4.
    '17.8.18 11:12 AM (211.36.xxx.56) - 삭제된댓글

    옛날 가전이라한다쳐도 너무 많이 나오네요
    점검이 필요해보여요

    주택 등 가전은 주위에서 전기 연결해서 전기 도둑질도 한다고 들었네요, 전기기술자는 가능하다고

  • 5. 뫼오로시
    '17.8.18 11:17 AM (112.219.xxx.68)

    프린터는 절전 모드로 놓으시고요.
    그렇지만 프린터는 전기 얼마 안먹어요.
    대기전력 확인하시고요.

    김치냉장고와 일반 냉장고가 구형이라면
    당장 바꾸세요. 전기 효율 따져보시고요.
    새거 효율 좋은 것으로 바꾸고 아낀 1년치 전기요금으로
    새제품 살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누전 확인해보세요.
    집안의 모든 전기 코드를 다 빼고도 계량기 돌아가면
    누전 있는 겁니다. 한전에 문의해서 확인하세요.

  • 6. 확인
    '17.8.18 11:24 AM (220.123.xxx.166) - 삭제된댓글

    20년된 주택 25평이고 가전은 김냉, 일반 냉장고, tv 큰거, 전자렌지,전기포트 자주 쓰는 집이에요.
    제가 좀 아껴쓰는 편이긴 한데 평소 15000원 벽걸이 에어컨 밤마다 틀고 잤더니 이번달 38000원 나왔어요

  • 7. 확인
    '17.8.18 11:26 AM (220.123.xxx.166)

    20년된 주택 25평이고 가전은 김냉, 일반 냉장고, tv 큰거, 전자렌지,전기포트 자주 쓰는 집이에요.
    제가 좀 아껴쓰는 편이긴 한데 평소 15000원 벽걸이 에어컨 밤마다 틀고 잤더니 이번달 38000원 나왔어요.
    평소 부부만 살고 주말만 아이들이 오는 집이에요.
    가전이 오래되면 전기가 많이 나오기는 하는데 그 수준을 넘어서는거 같은데요?
    어디 전기 누전되는지 점검한번 해보세요.
    가전 중에 냉장고가 오래되면 전기 요금 많이 나온다고 듣긴 했어요.

  • 8.
    '17.8.18 11:39 AM (223.62.xxx.82)

    많이 나오는거맞았군요ㅠㅠ누전인지 확인해봐야겠어요.
    에어컨은 15년되었고 냉장고는 10년된 것 같아요.
    이것도 바꿔봐야겠어요..ㅠ

  • 9. ㅇㅇ
    '17.8.18 11:45 AM (61.75.xxx.217) - 삭제된댓글

    오래된 가전제품이 문제일수도 있어요.
    60평대 아파트에 부모님 두분이 사시는데
    티비 2대, 양문냉장고 1, 소형 일반냉장고 1, 김치냉장고 1, 에어컨 2대, 드럼세탁기, 식기세척기 등등....
    여기서 드럼세탁기와 티비만 10년 된거고 냉장고, 에어컨은 15~20년 된거였는데
    평소 전기요금이 늘 15만 이상, 여름에는 기본 50만원이 나왔는데
    누전검사해도 별탈 없었어요.
    전기요금이 진짜 이해불가였는데, 작년에 집전체를 리모델링하면서
    가전제품 전체를 다 새로 구입하셨는데
    (전기요금 적게 나올거라고 아무리 설득을 해도 전기요금이 아무리 적게 나와봤자 새물건 사는게 더 비싸고
    성능 멀쩡하다고 안 바꾸신다는 것을 오래된 에어컨은 호흡기에 안 좋다. 노안에는 새티비가 좋다 새김치냉장고가 더 맛있다 등등으로 설득해서 겨우 다 바꾸었어요)

    그게 작년 6월이었는데 평소에는 전기요금이 4~5만원 나오고 이번 여름에는 전기요금 12만원(거실과 주방이 넓으니 이 정도면 선방) 나왔다고
    놀라워하셨어요. 오래된 에어컨과 김치냉장고가 생각하는 것보다 전기요금이 많이 나왔던 거였어요

  • 10. 에어컨
    '17.8.18 11:54 AM (118.40.xxx.79)

    에어컨2대 빵빵 틀고
    청구서 127,000원 나왔네요.

  • 11. 원글님, 하나 말씀드려요.
    '17.8.18 12:29 PM (165.225.xxx.69)

    우리집 전기세든 남의 집 전기세든, 전기세가 나오시다가 아니구요, 전기세가 나와요입니다.

  • 12. 그게요
    '17.8.18 1:43 PM (221.165.xxx.119)

    아파트는 단독주택보다 기본적으로 요금이 쌀거에요.
    저도 요금이 많이 나와서 전화해보니 고압, 저압전기 해서
    더 싼요금이 있는데 단독주택은 해당이 안된대요.

  • 13. 살림사랑
    '17.8.18 1:55 PM (222.237.xxx.110)

    저희는 아파트긴 하지만 원글님댁보다 더 많은 제품을 쓰거든요
    그래도 매월6~7만원 정도 나와요

  • 14.
    '17.8.18 2:45 PM (121.159.xxx.91)

    저희집도 그정도 나와요
    근데 웃긴건 이사오기전 2배 나와요
    다 똑같고 집만 바궜는데요
    이사 오기전은 10년된 주택이였고 지금 집은 70년에 지은 집이네요 50년이 다 되어가네요
    전기업자 불러 고차려고 알아보니까 집이 낡아 전기공사 위험하다네요

  • 15. 우리는
    '17.8.18 5:51 PM (59.8.xxx.237) - 삭제된댓글

    이사오기전에는 보통 전기세를 5만원선 냈어요
    제일 적은게 4만5천원선이고요
    단독으로 이사가고는 1만8천원도 내봤어요
    보통 2만원대
    더 웃긴건 이사가서 단독에 살면서는 인버터를 쓴다는거지요
    먼저집에서는 가스렌지를 썼구요
    단독가서 2만원이상 줄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5461 헉 한쪽팔에 두드러기같은 발진이 쫙 올라왔어요! 18 어찌해야 하.. 2017/10/07 12,296
735460 세모치마 울샴푸로 세탁해도 되나요 3 스커트 2017/10/07 882
735459 문재인 대통령 탈춤 추는 사진을 보고 5 어제 2017/10/07 2,538
735458 이명박 정부 부패사건 일지 (417가지) 11 ........ 2017/10/07 2,091
735457 잠실새내역 치과선택 도와주세요...ㅠㅠ 6 치과치료 급.. 2017/10/07 2,303
735456 우리네 인생 한번 안오나요? 14 ㅇㅇ 2017/10/07 2,927
735455 해외 여행 안 된다는 형부 28 성역 2017/10/07 9,573
735454 연휴내내 놀기만 하고도.. 1 .. 2017/10/07 1,111
735453 어제 발레 예능 보신분~ 22 .. 2017/10/07 5,225
735452 사는것도 죽는것도 그 이후도 다 무서워요 11 ........ 2017/10/07 3,525
735451 에어프라이어 신세계네요 11 2017/10/07 6,014
735450 영화 내사랑 보신분 계세요...? 21 볼까말까 2017/10/07 2,709
735449 홈쇼핑 구스이불 괜찮을까요? 2 구스 2017/10/07 1,482
735448 매생이 얼려놓은게 세덩어리 있는데요 5 매생이 2017/10/07 1,208
735447 지금 풍기~ 82회원분 친정 어머니가 하신다는 불고기집 가요~ 12 후~ 2017/10/07 2,478
735446 반포리체랑 엘스 가격차이 궁금합니다. 7 ㅇㅇ 2017/10/07 2,714
735445 사과 구워 먹기 4 사과 2017/10/07 2,765
735444 분당에서 가까운 바다전경 보이는 카페 어딜까요? 12 요요 2017/10/07 4,225
735443 한예리 넘 못생겼어요 79 . 2017/10/07 15,796
735442 우리에게는 아직 한글날이 남아있네요 ㅎㅎ 워킹맘 2017/10/07 758
735441 손해사정사란 직업이 그렇게도 욕먹나요? 6 엄마 2017/10/07 4,040
735440 봉하마을 2 선음당 김씨.. 2017/10/07 990
735439 아들이 방금 기숙사로 떠났는데 21 토끼방석 2017/10/07 8,605
735438 저도 이제 시댁 안갈려구요 장남이 종인 집 21 아이고 시원.. 2017/10/07 8,679
735437 문 되면 집단망명하겠다! 11 3000명 2017/10/07 4,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