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말고 주택 사시는 분들 전기요금 얼마 나오세요?

/..... 조회수 : 2,157
작성일 : 2017-08-18 11:02:48

저희집은 작년기준으로 누진세때문인건지ㅠㅠ

거의 15-20만원이였고

여름이면은 30만원도 넘게 나온 적이 있어요.

한 40나와서 검침원이 오셨던 적도 있던.............



25년된 오래된 주택에 30평 조금 넘고요..

김치냉장고 2대 냉장고 1대

티비 1개 세탁기 그리고 컴퓨터 2대랑 프린트가 항상 켜있어요.(일때문에요)


보통 얼마나 나오나요?

우리집이 좀 많이 나오는 것 같긴해요..

엄마말이 4식구에 기계들이 많아서 어쩔 수 없다고는 하는데


가스요금도 겨울이면 0만원은 당연히 훌쩍 넘기고......... 아낀다고 저녁에만 틀어놨는데도 그래요..ㅠㅠ

.원해 이런가요?


IP : 218.37.xxx.58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흰
    '17.8.18 11:08 AM (59.17.xxx.48)

    새주택이고 전기요금은 헌주택, 새주택하곤 상관없잖아요, 여튼 김냉2, 냉장고1, 식기세척기, 에어컨2대, 선풍기2대, 티비3대, 로봇청소기, 오디오, 세탁기 대충 요렇게 있는데 6만~8만원 정도 나와요.

    원글님넨 너무 많이 나와요.

  • 2. 전기나
    '17.8.18 11:09 AM (203.128.xxx.25) - 삭제된댓글

    가스등은 비교가 불가해요
    쓰는대로 나오는거라서요

    옛날 가전이 전기를 많이 잡아먹긴 해요

  • 3. ........
    '17.8.18 11:11 AM (114.202.xxx.242)

    저희집도 일때문에 컴퓨터 하루 10시간씩 켜져있고, 냉장고 2대에 전기밥솥 많이 사용하고,
    티비도 거의 늘 켜져 있는데,
    5,6만원정도 나오는데요.
    올 여름에는 에어컨을 거의 하루 종일 틀어 놓은 날도 거의 20일 가까이 되었는데 15만원 안넘어요.

  • 4.
    '17.8.18 11:12 AM (211.36.xxx.56) - 삭제된댓글

    옛날 가전이라한다쳐도 너무 많이 나오네요
    점검이 필요해보여요

    주택 등 가전은 주위에서 전기 연결해서 전기 도둑질도 한다고 들었네요, 전기기술자는 가능하다고

  • 5. 뫼오로시
    '17.8.18 11:17 AM (112.219.xxx.68)

    프린터는 절전 모드로 놓으시고요.
    그렇지만 프린터는 전기 얼마 안먹어요.
    대기전력 확인하시고요.

    김치냉장고와 일반 냉장고가 구형이라면
    당장 바꾸세요. 전기 효율 따져보시고요.
    새거 효율 좋은 것으로 바꾸고 아낀 1년치 전기요금으로
    새제품 살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누전 확인해보세요.
    집안의 모든 전기 코드를 다 빼고도 계량기 돌아가면
    누전 있는 겁니다. 한전에 문의해서 확인하세요.

  • 6. 확인
    '17.8.18 11:24 AM (220.123.xxx.166) - 삭제된댓글

    20년된 주택 25평이고 가전은 김냉, 일반 냉장고, tv 큰거, 전자렌지,전기포트 자주 쓰는 집이에요.
    제가 좀 아껴쓰는 편이긴 한데 평소 15000원 벽걸이 에어컨 밤마다 틀고 잤더니 이번달 38000원 나왔어요

  • 7. 확인
    '17.8.18 11:26 AM (220.123.xxx.166)

    20년된 주택 25평이고 가전은 김냉, 일반 냉장고, tv 큰거, 전자렌지,전기포트 자주 쓰는 집이에요.
    제가 좀 아껴쓰는 편이긴 한데 평소 15000원 벽걸이 에어컨 밤마다 틀고 잤더니 이번달 38000원 나왔어요.
    평소 부부만 살고 주말만 아이들이 오는 집이에요.
    가전이 오래되면 전기가 많이 나오기는 하는데 그 수준을 넘어서는거 같은데요?
    어디 전기 누전되는지 점검한번 해보세요.
    가전 중에 냉장고가 오래되면 전기 요금 많이 나온다고 듣긴 했어요.

  • 8.
    '17.8.18 11:39 AM (223.62.xxx.82)

    많이 나오는거맞았군요ㅠㅠ누전인지 확인해봐야겠어요.
    에어컨은 15년되었고 냉장고는 10년된 것 같아요.
    이것도 바꿔봐야겠어요..ㅠ

  • 9. ㅇㅇ
    '17.8.18 11:45 AM (61.75.xxx.217) - 삭제된댓글

    오래된 가전제품이 문제일수도 있어요.
    60평대 아파트에 부모님 두분이 사시는데
    티비 2대, 양문냉장고 1, 소형 일반냉장고 1, 김치냉장고 1, 에어컨 2대, 드럼세탁기, 식기세척기 등등....
    여기서 드럼세탁기와 티비만 10년 된거고 냉장고, 에어컨은 15~20년 된거였는데
    평소 전기요금이 늘 15만 이상, 여름에는 기본 50만원이 나왔는데
    누전검사해도 별탈 없었어요.
    전기요금이 진짜 이해불가였는데, 작년에 집전체를 리모델링하면서
    가전제품 전체를 다 새로 구입하셨는데
    (전기요금 적게 나올거라고 아무리 설득을 해도 전기요금이 아무리 적게 나와봤자 새물건 사는게 더 비싸고
    성능 멀쩡하다고 안 바꾸신다는 것을 오래된 에어컨은 호흡기에 안 좋다. 노안에는 새티비가 좋다 새김치냉장고가 더 맛있다 등등으로 설득해서 겨우 다 바꾸었어요)

    그게 작년 6월이었는데 평소에는 전기요금이 4~5만원 나오고 이번 여름에는 전기요금 12만원(거실과 주방이 넓으니 이 정도면 선방) 나왔다고
    놀라워하셨어요. 오래된 에어컨과 김치냉장고가 생각하는 것보다 전기요금이 많이 나왔던 거였어요

  • 10. 에어컨
    '17.8.18 11:54 AM (118.40.xxx.79)

    에어컨2대 빵빵 틀고
    청구서 127,000원 나왔네요.

  • 11. 원글님, 하나 말씀드려요.
    '17.8.18 12:29 PM (165.225.xxx.69)

    우리집 전기세든 남의 집 전기세든, 전기세가 나오시다가 아니구요, 전기세가 나와요입니다.

  • 12. 그게요
    '17.8.18 1:43 PM (221.165.xxx.119)

    아파트는 단독주택보다 기본적으로 요금이 쌀거에요.
    저도 요금이 많이 나와서 전화해보니 고압, 저압전기 해서
    더 싼요금이 있는데 단독주택은 해당이 안된대요.

  • 13. 살림사랑
    '17.8.18 1:55 PM (222.237.xxx.110)

    저희는 아파트긴 하지만 원글님댁보다 더 많은 제품을 쓰거든요
    그래도 매월6~7만원 정도 나와요

  • 14.
    '17.8.18 2:45 PM (121.159.xxx.91)

    저희집도 그정도 나와요
    근데 웃긴건 이사오기전 2배 나와요
    다 똑같고 집만 바궜는데요
    이사 오기전은 10년된 주택이였고 지금 집은 70년에 지은 집이네요 50년이 다 되어가네요
    전기업자 불러 고차려고 알아보니까 집이 낡아 전기공사 위험하다네요

  • 15. 우리는
    '17.8.18 5:51 PM (59.8.xxx.237) - 삭제된댓글

    이사오기전에는 보통 전기세를 5만원선 냈어요
    제일 적은게 4만5천원선이고요
    단독으로 이사가고는 1만8천원도 내봤어요
    보통 2만원대
    더 웃긴건 이사가서 단독에 살면서는 인버터를 쓴다는거지요
    먼저집에서는 가스렌지를 썼구요
    단독가서 2만원이상 줄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6497 도쿄 사시는 분이나 자주 가시는 분 (드럭스토어) 질문요 ryangi.. 2017/10/10 708
736496 라클라우드 라텍스 사용하시는분 ? 추성훈 2017/10/10 1,747
736495 남친이 결혼에 대해 말도 못꺼내게 하는데요 55 로미 2017/10/10 18,821
736494 재산세 영수증이 없는데요 8 ... 2017/10/10 1,319
736493 지금 뉴스룸 십알단 ㅎㅎㅎ 17 ss 2017/10/10 3,730
736492 주병진 최화정 잘어울리네요 26 음냐 2017/10/10 17,204
736491 구워먹을 소고기 냉동해도 맛 괜찮나요? 9 부채살 2017/10/10 2,350
736490 안감없는 코트 사시나요? 4 안감이없어 2017/10/10 2,607
736489 홈쇼핑옷 살만한가요?.김정숙여사. 추미애 의원도 입던데.. 17 ... 2017/10/10 5,545
736488 손가락으로 여자애들 성기 만지작거리고 도망가는 6살 남아 15 .... 2017/10/10 9,503
736487 인생템에 건식 찜질기? 4 옆에 2017/10/10 2,071
736486 하지불안 증후근이 어뗜 병인지 아시는분 치료법 알려주세요 3 2222 2017/10/10 1,404
736485 사업자는 차 안사고 리스하는게 낫나요? 3 2017/10/10 2,210
736484 월 300만원 적금 들고 싶은데.. 어디가 좋을까요?? 8 아이루77 2017/10/10 4,431
736483 이타카 5 tree1 2017/10/10 1,268
736482 퇴행성 관절염 병원 다니시는 분들께 질문이요! 2 .... 2017/10/10 1,327
736481 이런 표현 어떤지 좀 봐주십시오. 6 이런표현 2017/10/10 1,799
736480 일하면서 아무것도 제대로 할수있는게없네요 ㅜㅜ 6 .. 2017/10/10 2,043
736479 팥주머니 쉽게만들기 8 바나나 2017/10/10 2,376
736478 외국 가정집들은 참 예쁘네요 71 ........ 2017/10/10 21,238
736477 민주당에 악플 신고 하는거요 18 ff 2017/10/10 689
736476 차앤박 프로폴리스 앰플 어떤가요? 8 코스트코 2017/10/10 2,837
736475 20년 좀 넘게 살았어요 남편이랑. 16 2017/10/10 8,228
736474 김혜수를 통해 ‘여성 느와르’의 가능성을 보다 2 oo 2017/10/10 1,423
736473 락스앤 세제...는 담가도 색깔 안 빠지나요? 4 .. 2017/10/10 1,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