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돌침대나 흙친대 쓰신분들께 문의드립니다.

돌침대 조회수 : 4,720
작성일 : 2011-09-06 11:10:17
남편이 저를 위해서 돌침대나 흑침대를 사주려고 합니다.그런데 저는 마른편이라 일반 침대를 원하는데 혹시 돌침대 쓰시고 계시면 장 단점 부탁드려요.전자파 여러가지 등등 꼭 도움이 필요 합니다.저 지금 동대문에 가요. 커텐 하러요 . 집에 오면 답변 줄줄히 부탁드립니다.
IP : 110.47.xxx.14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난다데스
    '11.9.6 11:18 AM (121.135.xxx.158)

    저는 결혼하면서 돌침대를 살지 흙침대를 살지 고민했었어요.
    그냥 매트리스는 아무리 좋은 매트리스라도 몇 년지나면 상태가 안좋아진다고 생각해서 그랬었구요.
    제가 그때 알아봤을때 돌침대는 가격이 조금 천차만별이라고 들었어요.
    중국에서 가져온 돌을 쓰는 경우도 있어서...오히려 좀 꺼리게 되었구요.
    흙침대는 예전에 온돌 쓰는거라고 생각해서 차라리 이게 나을 것 같아서 구입했습니다.
    전자파는...사실 체감하는 부분이 없어서 말씀드리긴 어렵네요..

  • 난다데스
    '11.9.6 11:36 AM (121.135.xxx.158)

    흙침대 사용하게 된 가장 큰 이유가.
    바닥을 뜨끈뜨끈하게 데워서 자려고 한거거든요.
    중앙난방이라 전체적으로 따뜻하기는 하지만, 등을 지진다는 느낌으로 따끈하게 자려면
    어쩔 수 없이 전기장판을 써야하는데, 전기장판 전자파가 걱정이돼서 흙침대로 했습니다.
    조금 딱딱한 면은 있지만, 돌침대만큼 돌에 부딪힌다는 느낌의 딱딱한 건 아니었구요.
    아래 Irene님처럼 신랑이 너무 딱딱한건 싫다고 해서 한...7cm정도 되는 얇은 패드 깔고 자는데,
    조금 무겁다보니까 패드가 쉽게 움직이진 않아요. 그냥 한 번씩 밀려있으면 옮겨주는정도...였어요.

  • 돌침대
    '11.9.6 10:43 PM (110.47.xxx.140)

    난다데스님 댓글 감사드려요.
    선택하기가 정말 어렵군요.
    저도 흑침대 생각하고 ,있긴한데요.
    썩맘이 가질 않아요.

  • 2. Irene
    '11.9.6 11:24 AM (203.241.xxx.40)

    돌침대써요.
    장점은 몸 안좋을때(마법 포함) 지지면 눈물 날정도로 좋아요.
    단점은 딱딱하다는거? 항상 뭘 깔고 자야하는데 고정시킬 수 있는것도 없고..
    얇은 매트리스를 사서 깔고자는데 이게 휙휙 움직이니 불편해요.

    전자파는 깊이 생각해보질 않았어요.

  • Irene
    '11.9.6 11:26 AM (203.241.xxx.40)

    돌침대의 단점 하나더~
    이사갈때 전담팀을 불러야합니다. 10만원이에요.
    해체해서 촥촥싣고 먼저 떠나더군요.
    이게 같은집안에서 이방에서 저방으로 옮길때도 해당하는 금액이에요.

  • 3. 전자파측정
    '11.9.6 11:24 AM (211.114.xxx.82)

    기계 사용해보니 계기판 주변에서 측정되더군요..
    전원 스위치가 벽마다 차이가 있어서 접지가 되는 스위치는 괜찮은데 길이가 짧아서 익스텐젼코드에 꽂은경우 돌판에서 찌릿한게 손바닥에서 느껴지더군요..
    혹시 익스텐젼코드 사용하실때 접지 되는거 코드 사용하시고요..
    몸살기 돌때 한번씩 지지고나면 개운해서 잘사용했는데 지금은 남줘버렸어요..
    가장 큰 문제점중하나가 버릴때 아무도 안가져가요..
    처치곤란이더라고요..
    재활용센타도 안가져 가더군요..
    옮길때 이사비용15만원정도 따로 줘야 하고요..

  • 4. 흙침대
    '11.9.6 11:34 AM (211.51.xxx.98)

    흙침대 사용하고 있는데, 전자파 없어요. 전자파가 감지되지
    않는 걸 확인해줘요. 그리고 느끼기에도 전혀 전자파가 없어요.
    보통 전기장판이나 요같은 건 느껴지거든요.

    저는 두꺼운 거실바닥용 자가드 깔개를 깔고 그 위에
    베드스커트와 패드를 깔기 땜에 움직이는 건 전혀 없어요.
    특히 진드기 걱정이 덜 해서 그게 참 좋고, 별로 딱딱하지 않아요.
    처음엔 조금 딱딱하다 싶은데 금방 적응되구요.
    무엇보다 제일 좋은 건 따뜻하니까 이불 두꺼운게 필요없구요.
    자고 일어나면 몸이 개운해요. 낮잠잘 때는 정말
    따뜻하게 잘 수 있고 개운해서 진가를 느낄 수 있네요.
    10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데 이동이 불편한 거 빼곤 정말
    잘샀다 싶어요.

  • 5. ...
    '11.9.6 11:34 AM (118.222.xxx.175)

    흙침대 쓰고 있었는데요
    무겁고 딱딱하고 옮기기 힘들고 등등의 단점도 있지만
    몸 아플때나 환절기때 푹 자고 나면
    몸이 개운해지는거에요
    그래서 버리지 않고 방 하나에 따로 넣어두고 가끔 씁니다
    14~5년전쯤 큰수술이 있어서 수술후 몸조리용으로 샀었는데
    그때 너무 많이 도움이 되어서 아마 끝까지 같이 쓰게 될것 같습니다.

  • 6. loveahm
    '11.9.6 5:18 PM (175.210.xxx.34)

    저도 흙 침대 쓰고 있어요.

    첨엔 좀 딱딱해서 힘들었는데 2주정도 지나니 적응이 되더라구요.
    무엇보다 진드기 걱정없고 청소하기 편해요. 방바닥처럼 걸레질 하면되고, 여름에도 크게 차가운 느낌없구요. 환절기에 정말 좋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164 MB 방빼`..박원순표 서울시, 청와대에 토지보상 요구[펌] 22 굿 2011/11/07 2,688
35163 김치냉장고의 진리는 딤채 인가요? 7 주부 2011/11/07 2,993
35162 메가스터디 만든 손주은, "차라리 깽판을 쳐라” 5 아침 2011/11/07 3,570
35161 대검찰청 사기 전화 2 무배추 2011/11/07 1,526
35160 헛개나무를 그냥 보리차 처럼 끓여 먹어도? 1 좋은 물 2011/11/07 2,212
35159 어디서 살아보고싶으세요? 24 .. 2011/11/07 2,785
35158 어머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2 김태선 2011/11/07 1,259
35157 남편생일날 1 활력소 2011/11/07 1,243
35156 김장할때 청각넣기 20 무배추 2011/11/07 30,222
35155 진짜 초코파이 5 맛있어요. 2011/11/07 1,886
35154 작년문제집 1 싸게 안파나.. 2011/11/07 1,279
35153 임신 7개월인데 비행기 타도 되나요? 2 비행기 2011/11/07 2,906
35152 태권도 3품심사봤어요. 그만두려구요 4 이제운동안해.. 2011/11/07 3,402
35151 면세점에서 필수구매아이템 알려주세요(골라놓은 귀걸이도 함께요) 3 인터넷면세점.. 2011/11/07 2,605
35150 이번 방미 시 연설문 작성을 미 업체에 5200만원 주고 맡겨... 2 ... 2011/11/07 1,539
35149 내 아이가 수능보면 다른데 찹쌀떡 사주면 안 되나요? 13 고3맘 2011/11/07 2,631
35148 맛있는 햅쌀은 어떻게 드세요? 5 호오~ 2011/11/07 2,128
35147 11월 7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3 세우실 2011/11/07 1,534
35146 나꼼수...지속 가능할까 10 트위터에올라.. 2011/11/07 3,419
35145 '싸늘한 노숙인의 주검앞에서'- 조문하는 박원순시장님! 8 아름답습니다.. 2011/11/07 2,410
35144 MB 미 의회 연설문은 '로비업체' 작품이었답니다. 5 우언 2011/11/07 1,650
35143 디올 파운데이션, 베네피트 틴트 쓰시는 분들요... 4 궁금 2011/11/07 3,618
35142 원글 펑했어요(댓글 감사합니다) 14 .. 2011/11/07 2,614
35141 중학교입학할때 독립유공자서류 궁금 2011/11/07 1,376
35140 조안면에 사시는 분 계신가요? 8 남양주시 2011/11/07 2,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