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자꾸 핀트가 어긋난단 느낌이에요

... 조회수 : 2,023
작성일 : 2017-08-16 05:32:03

일부 나라는 파트타임으로 일을 해도 인사제도, 복지제도가 정립이 되어있어 정규직과의 보수적인 차이가 별로 없어요.

계약직이 서러운 건
일하는 만큼 보수 보장 안되고(직원 복지 해당 안되는 경우가 많으니)
갑질 대응이 어렵고(재계약의 문제)
정규직은 일정 연수에 승진을 하니 보수도 올라가는데
계약직은 재계약 시 그런거 반영이 어렵고, 의무화가 되면 더 재계약율이 떨어질꺼고

등등의 문제인데 이런 문제 개선 보다는 자꾸 정규직 전환으로 이목이 집중되다보니 계층간 갈등만 생긴간 느낌이에요.

현재 정규직 전환은 9개월 이상 근무, 수행 중 사업의 지속성 검토에 따라 진행되는거고
저도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데 이번에 정규직 전환 대상 풀엔
정말 됐으면 좋겠을 기존 계약직 직원들을 넣긴했어요.
그치만 아쉬운건 계약직 직원들에 대한 처우거든요.
노동조합을 통해 강하게 이야기하지만 사측은 기재부에서 '방만경연'으로 몰아갈 수도 있어서 눈치보인단 입장이고요
전 전환보다는 여타 개선 제도, 그리고 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봐요.

업무 수행능력의 다양한 평가제도,
이를 반영한 보수와 동일한 사내 복지,
그리고 사회적 보장

전 이런게 있다면 경력단절되는 사람도 많이 없을 것 같고
업무가 맞지 않아서 다른 직종으로 갈아탈 때도 부담이 많이 줄 것 같고
그럴 것 같아요...


제가 이쪽분야 전문가는 아니지만
현 상황을 보니 좀 아쉽네요..^^;;
IP : 180.66.xxx.65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리고
    '17.8.16 5:54 AM (223.62.xxx.172) - 삭제된댓글

    기간제 교사들 정규직 전환은 말도 안됩니다.그사람들 이미 교사들이랑 월급 같고, 1년 기간제는 방학때도 월급 나와요.현재 심의위원회에서 법령까지 고쳐가며 정규직 해주려는 거예요.시험봐서 붙을 자신은 없고 ,노조 앞세워서 무임 승차 하려는거예요.

  • 2. 이런 글만 나오면
    '17.8.16 7:21 AM (117.110.xxx.72)

    확실히 나온 것도 없는데 무조건 기간제 정규직 전환 말 따라나오네요. 원글님은 그 얘기도 아니구만요. 지겹게도 따라 나오네요. 좀 그만 하세요. 기간제 교사는 지금 이 시점에도 9월1일부터 계약일인데도 오늘부터 나와서 일 배우는 게 어떻냐고 학교에서 말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나가야 하지 않겠냐는 글 올라옵디다.(당연히 무급으로) 댓글 보니 부당하다고 9월1일부터 출근하라고 해도 원글을 올린 사람은 그게 그렇지 않은가보던데 이런 거 좀 없어져야 하지 않나요? 아무리 뭐라 해도 지금은 기간제 교사, 강사들 확실히 약자는 맞습니다.

  • 3. 첫댓글
    '17.8.16 7:25 AM (183.101.xxx.159) - 삭제된댓글

    고마해라.
    전생에 기간제와 원수였니?

  • 4. 행복한라이프
    '17.8.16 7:32 AM (211.189.xxx.115)

    정규직되며뉴원수가 될거 같네요 기간제 무분별한 정규직전환이 문제입니다

  • 5.
    '17.8.16 7:45 AM (116.125.xxx.180)

    기간제교사, 정규직 반대합니다

    그쪽이나 글싸지르지마세요 !
    결정된게 없다니

    밀실 패스 하겠지

    우리 이니 밀실 패스!

  • 6.
    '17.8.16 7:49 AM (221.154.xxx.47)

    현행 교육공무원법 제 32조 "기간제 교원은 임용 기간이 끝나면 퇴직한다" 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기간제교사가 무기직 정규직전환을 요구하는 것은 명백한 위법입니다.

  • 7. ㅠㅠ
    '17.8.16 8:10 AM (39.17.xxx.227)

    제 이야긴 그게 아닌데 또 선생님 이야기 ㅠㅠ
    암튼 정규직 비정규직 문화가 좀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 8. marco
    '17.8.16 8:48 AM (14.37.xxx.183)

    동일노동 동일임금이 보장 되어야 하고
    비정규직이나 파트타임으로 고용할 경우 정규직보다 더 임금이 올라가는 구조가 되어야 하지요.
    더불어 호봉제도 개선되어야 합니다.
    같은 일을 하는데 입사가 20년된 사람과 초임과의 차이가 대푹 줄어 들어야 합니다.
    이런 호봉제는 오래 근무한 직원을 내보내고 싶은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 9. 동의해요
    '17.8.16 8:51 AM (121.141.xxx.161)

    저도 계약직에 대한 처우 개선이 중요하다 생각하지
    정규직에 목을 멜게 아니라고 봅니다.
    괜히 포커스를 거기에 맞추니 이렇게 분란이 나죠.
    왜 정부와 이해관계자들은 거기에 포커를 맞추는지 모르겠어요.

    여기 맨날 자기들 유리할때만 유럽사례 드는데
    유럽에 계약직 제도 얼마나 잘돼 있나요.
    계약직 제도가 유연하면서 급여체계나 고용인들의
    처우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에
    정부가 힘써야한다 생각해요.

  • 10. 저희 회사
    '17.8.16 8:52 AM (59.14.xxx.103)

    저희 회사도 맘에드는 계약직 하나가 있는데,
    일을 너무 잘해서 직원으로 쓰고싶었지만, 직원은 절대 안된다는게 회사 방침이랍니다.
    2년계약끝나면 잘라야해요. 본인도 정규직 되고싶고 저희도 쓰고싶고 그런데 안된데요.
    정작 정직원도 시험보고 뽑진 않아요 그냥 면접이에요.

    기간제 문제도 결국은 원글님의 본문처럼 똑같이 "비정규직, 계약직"의 문제인데,
    자꾸 핀트가 어긋난다는 말이 맞아요.

    절대 반대를 하는 분들 논리가 그거잖아요. 누군 임용힘들게 뽑는데 누군 공으로 선생되냐고...

    사실 기간제교사 핵심문제는 사립이에요. 임용으로 뽑는 국공립쪽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아요.
    국공립은 기간제 비율 자체가 현저히 낮고, 말 그대로 임시직이니까요.

    사립은, 애들 준다고 정교사들 퇴직해도 새로 안뽑고 계속 기간제랑 임시강사로 뽑아 돌리는데,
    그 비율이 심각하더라구요. 정교사 퇴직후 신규채용수가 20%도 안되요.

    논리가 사기업들이 정규직 안뽑고 알바랑 계약직 돌리는 논리랑 똑같아요.
    그냥 싸게쓰고 쉽게 자를수 있는거니까 쓰는거에요.
    기업이나 학교나 윗사람들은 숙련된 노하우보단 싼게 더 좋은가봐요.

    지금 이 상태로 계속 유지되면,
    사립 배정받는 아이들의 교육문제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라고 봐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학교던 기업이던 임시직을 쓰는걸 힘들게 만들어야한다고 봅니다.
    싸고 쉽게 자를수 있으니까 계속 정규직 자리를 줄이고 비정규직으로 채워넣는거죠.

    이걸로 펄펄 뛰며 싸우는 건, 그냥 노동자-노동자끼리의 싸움이에요.
    겨우 쥐꼬리만한 파이 내꺼 뺏길까봐 난리인거지만,
    장기적으로보면 결국 파이를 줄이고 이윤을 얻는건 다른 놈들이에요.

  • 11. ㅉㅉ
    '17.8.16 9:08 AM (122.36.xxx.122)

    정규직이 문제가 아니라 임금만 올려줘도 되요

    원래 계약직에게 임금 더 많이 줘야하는데 울나라는 전문계약직 종사자 아니면

    일반 계약직은 임금도 조금 주잖아요 그게 문제인거죠

    왜 그걸 개선 안하고 정규직화로 해결하는건지

    다음세대 세부담은 생각도 안하나 몰라요

    그래서 제가 문죄인이라고 하고 박원숭이라고 비꼬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노인 인구증가율은 높아질수 밖에 없고

    젊은 연령은 줄어드는데 왜 그걸 정규직화로 해결하려고 하는지

    ㅉㅉㅉ

    지들이 제대로 냉정한 사회생활 안해보고 남들보다 좀 수월하고 올라가니까 실정을 모르는거죠

    마치 5 세훈이 서울 시장으로 취임하면서 행정에 대해 아는것도 없는 주제에

    고집만 세서 여러 공무원들 힘들게 만든거처럼

  • 12. ㅉㅉ
    '17.8.16 9:09 AM (122.36.xxx.122)

    서울시 산하기관 비정규직 2천명 넘는 사람들 정규직화 ㅎㅎㅎㅎㅎ

    그거 채용자체가 내정자가 정해진 경우가 수두룩한데

    필기셤봐서 들어간 사람들 뭐가 되라고 정규직화입니까

  • 13. ㅇㅇㅇㅇ
    '17.8.16 9:16 AM (122.36.xxx.122)

    채용의 공정성만 있더라도 이렇게 분노하지 않을거에요

    다 연줄입니다.

  • 14. 미친
    '17.8.16 9:20 AM (122.36.xxx.122)

    몇년사이 노인들 폭풍 증가한 느낌

    이대로 가다간

    남의집 자식들이 모르는 노인 부담해야하는 꼴이 될거에요.....

    세부담은 늘어갈수밖에 없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9536 음식 비법 5 조미료 2017/10/20 2,206
739535 kt->sk 위약금 지원비 3 ㅠㅠ 2017/10/20 1,084
739534 clean &dirty 노래 아시는분 10 이연복은 동.. 2017/10/20 993
739533 시부모님한테 잘하면 제 자식이 복받는말.... 25 .. 2017/10/20 5,006
739532 자동차 - 출고 년수와 운행 km가 어떻게 되나요? 9 자동차 2017/10/20 1,059
739531 저 생일이에요 추천좀 해 주세요 7 추천감사 2017/10/19 918
739530 신해철 VS 진중권 한번 들어보세요 1 꼭들으시길 2017/10/19 1,182
739529 국내에서 중국소화제 어디가면 살 수 있나요? 2 중국 2017/10/19 1,093
739528 몇 만원 하는 천연 수제비누 쓰는 분들~ 4 . 2017/10/19 2,699
739527 추선희, CJ에 돈 요구하는 자리에 "청와대·국정원 관.. ... 2017/10/19 787
739526 스타우브에 군고구마 해보신 분~ 3 2017/10/19 2,110
739525 고백부부 라는 드라마를 봤는데 1 ... 2017/10/19 1,938
739524 이혼소송 해보신분들...... 3 2017/10/19 2,276
739523 마르고 위가 안좋은 고등아들 뭘 먹일까요? 24 한약? 2017/10/19 3,019
739522 촛불정국을 지나며 다른곳 구경을 1 하나 2017/10/19 760
739521 아이 성적이 너무 떨어졌어요. ㅠㅠ 6 이슬 2017/10/19 2,977
739520 강아지 미용할때 발톱 너무 짧게 잘라서 계속 핥아요 5 강아지 2017/10/19 1,515
739519 블라인드 채용의 위험성을 민주당에서 지적 했네요 5 맞다 2017/10/19 1,720
739518 그저께 플랭크 5번하고 뱃가죽이 너무 아파요 5 ... 2017/10/19 2,319
739517 남편이 동남아 골프여행 간대요 ㅠ 22 답답 2017/10/19 11,441
739516 30대초반 여자면 결혼 염두해두고 사람 만나죠? 4 ㅇㅇ 2017/10/19 2,787
739515 저희 숙모 미역국 비법 53 ... 2017/10/19 26,417
739514 대전 엑스포 아파트 주민들은 잘 모르겠죠?? 8 천박 2017/10/19 3,157
739513 피조개를 해감 안하고 삶았더니..... 14 자취생 2017/10/19 5,271
739512 "가습기살균제 사건, 위에서 올리지 말라고 했다&quo.. 1 정신나간것 2017/10/19 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