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택시운전사와 광주 비디오

기억 조회수 : 1,334
작성일 : 2017-08-14 19:53:00

80년대 중반에 대학에 들어갔어요.

5월이 되면 학생회관에서는 연례행사로 이른바 '광주 비디오'를 틀어줬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거 잘 몰랐던 우리 세대에서 말하자면 '의식화'가 되는 것은 대부분 이 광주 비디오라고 하는 이들이 많죠.

저는 그런 유형은 아니었지만 광주 비디오를 볼 때 비장했던 심경만은 분명히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리 시절에는 요즘 같은 큰 대형 화면이 없었구요. 진짜 두툼한 브라운관의 칼라 티비, 아마도 방송반에서 옮겨왔을 그런 작은 화면을 통해 봤었어요,  비디오란 게 아주 잘 사는 애들 집엔 있긴 있었지만 사실은 돌려보는 기계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를 그런 시기에 제가 본 게 비디오 영상이었는지 필름이었는지도 불분명하네요. 조그만 티비로 봤으니 비디오로 연결해서 봤을 거라고 추정할 뿐입니다.

그런데 보기는 봤으나 뭘 봤는지 확실하지 않아요. 앞자리는 이미 가득 차 있었고 뒷자리에서 겨우 보이는 조그만 화면은 영상이 뭉개지고 소리는 찢어지고 온통 뿌옇고 누렇고 그랬거든요. 학생회 사람들이 설명은 해 주지만 그 영상만으로는 뒷자리의 제게는 충격이 충분히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우리 학교에만 유달리 화질이 나쁜 게 왔을지도 모르죠. 그 귀하디 귀한 화면을 얼마나 복사를 많이 했으면 그 정도로 가시성이 떨어졌을까요? 택시 운전사의 몇몇 장면은 제가 본 장면이었는지 아니었는지조차 흐릿하군요. ㅠㅠ

제게는 비디오 관람은 상징에 그쳤고, 황석영 이름으로 나온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가 오히려 비디오가 포착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상상력을 자극했었습니다. 지금에야 상상도 못한 기술 발전과  광주 항쟁이 어떤 의미였는지 역사적으로 하나씩 밝혀지고, 폭도 빨갱이로 매도된 이들의 명예회복이 이루어져서 그런 영상을 얼마든지 마음 놓고 볼 수 있게 되었지만 그때는 정말 1년에 한번도 어려웠어요. 그 영상을 틀어준 학생회 사람들도 엄청난 비밀작전하듯이 영상회를 했겠지요. 그 장면을 찍은 사람은 직업은 몰라도 외국인이란 얘기는 그때도 들었구요. 

그래서 택시 운전사를 보니 감회가 새로운 건 말할 것도 없죠. 그런데 그 원본이 어떤 것이었는지 도무지 찾아볼 길이 없어요. 2003년 노무현 대통령 재임시, 정연주 사장 재임시 제작된 kbs 다큐 '푸른 눈의 목격자'는 그 이후 이야기에 포인트를 두고 있고 화면은 중간중간 나옵니다.

제가 봤던 그 뭉개지고 뿌연 영상은 과연 힌츠페터의 작품이었는지 아닌지도 알 수가 없습니다. 광주 비디오가 버전이 많은 것은 아닐테고 학생들 사이에서 보여진 영상은 바로 그것이라 하니 오리지날이 있을 법도 한테 유튜브 등에선 찾아볼 수 없네요. 사진만 편집한 것, 다큐 영상 등은 있으나 힌츠페터가 독일에서 방영했다는 그 기사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나마 Gwangju Massacre(광주 대학살)이란 영상이 제 기억에서 비교적 가까운 편이라고 여겨집니다만 워낙 원본에 대한 기억 자체가 그렇게 흐린지라...

1987년 문대통령이 노대통령과 함께 부산 카톨릭 센터에서 처음으로 그 영상 틀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짐작컨대 부산이라고 해도 이미 대학가에선 서울, 지방 막론하고 그 이전부터 상영회가 있었을 겁니다. 대학 캠퍼스 이외의 장소에서 시민 대상으로 한 '최초'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무튼 그걸 최초라고 포장하기는 좀 그렇구요. 문통의 지지자로서 팩트 지적은 제대로 해야 될 것 같아요.

아무튼 혹시 저와 비슷한 연배로 비슷한 경험이 있는 분이 계신지 궁금해서 글 올려봤습니다. 만일 오리지널을 볼 수 있다면 어떻게 검색해 보면 될까요?



     

IP : 119.64.xxx.19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14 7:58 PM (58.230.xxx.234) - 삭제된댓글

    유튜브에 다 올라와 있었는데..
    지금도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 2. +++
    '17.8.14 7:58 PM (58.230.xxx.234) - 삭제된댓글

    유튜브에 다 올라와 있었는데..
    지금도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그 비디오의 대부분 분량이 페터 기자가 찍은 것 맞구요.

  • 3. +++
    '17.8.14 8:00 PM (58.230.xxx.234) - 삭제된댓글

    유튜브에 다 올라와 있었는데..
    지금도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그 비디오의 대부분 분량이 한즈페터 기자가 찍은 것 맞구요.

  • 4. +++
    '17.8.14 8:01 PM (58.230.xxx.234)

    유튜브에 다 올라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나 보네요.
    그 비디오의 대부분 분량이 한즈페터 기자가 찍은 것 맞구요.

  • 5.
    '17.8.14 8:42 PM (14.39.xxx.232) - 삭제된댓글

    최초였길래 문통과 노통이 광주항쟁 유공자로 천거 되었겠지요.
    문통은 유공자로 추천되는 것을 애써 고사했다고합니다만.
    당연히 해야 할 일이었다고요.

  • 6. 윗님
    '17.8.14 9:54 PM (118.33.xxx.79)

    문통이 광주 유공자 자격이 있는것은 80년 5.18당시 서울 시위참가했다 구속되었기 때문 아닌가요? 이후 광주 특별법에 의해 구속 수감됐던 사람들 다 유공자 자격부여 한댔는데 문통은 그걸 바라고 시위했던게 아니라서 거절했다고하죠.
    천거되었다느니 노통도 유공자니 이런말은 첨 듣네요. 그리고 영상을 튼일이 뭐라고 유공자 자격을 주겠어요.

  • 7. 원글
    '17.8.14 10:26 PM (119.64.xxx.194)

    님, 유튜브에서 만일 사라졌다면 왜 그랬는지 궁금하네요. ㅜㅜ

    음님은 사실 관계를 잘못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문통은 80년 당시 계엄령포고 위반으로 투옥되었다고 하지요. 감옥에서 고시 합격 발표가 되어 운 좋게(?) 풀려나왔습니다. 이 일을 두고 자신을 비롯해 광주 문제로 당시 계엄령 위반자들은 모두 유공자 자격이 있지만 신청하지 않았다고 말한 것으로 압니다. 광주 비디오 틀어주는 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그래서 세번째 답글 쓰신 분 말씀이 맞습니다. 또한 본글에서도 언급했다시피 1987년은 이미 대학가에서 광주 비디오는 많이 돌고 있었고요. 그래서 제가 최초라는 표현에 응? 했던 겁니다. 굳이 말하자면 대학가 밖에서, 그것도 부산이라는 지역에서라면 최초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요. 중요한 건 전후 맥락도 없이 최초라는 말로만 포장하면 문통에게 누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분이야 그 일 말고도 파파미야 수도 없이 많으니 침소봉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을 튼 것으로 유공자 자격을 받지는 못하겠지만 전두환 독재 정권 서슬이 가장 퍼렇던 1984~1987년 사이 비디오를 트는 것은 사실 매우 위험한 일이긴 했습니다. 답글 다신 분들이 다들 한참 연령대가 어리신지 제 질문에는 답을 얻기가 어렵네요. 그만큼 비디오를 본 사람이 적었다는 반증이기도 한가 봅니다.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1893 이더리움 들어보셨나요? 6 비니맘 2017/10/27 1,672
741892 해외송금 수수료 가장싼은행 어디에요? 궁금 2017/10/27 469
741891 샌드위치 비밀레시피 풀어주세요~ 42 샌드위치 2017/10/27 7,012
741890 아침 출근해서 주차하는데 고양이가 차 뒤 박스 6 ㅂㅅ 2017/10/27 1,515
741889 머리카락 잘 흡수하는 로봇 청소기 1 6769 2017/10/27 1,098
741888 다이어트중인분들 아침 10 뭘로 2017/10/27 2,434
741887 마트에서 붕어빵 믹스 보신분~~ 4 겨울채비 2017/10/27 1,075
741886 가장 이기적인 엄마는 어떤 엄마라고 생각하세요? 10 엄마 2017/10/27 5,835
741885 자려고누우면 팔다리가저려요 6 수채화75 2017/10/27 1,620
741884 혐로스런 마츠코의 일생 봤어요 9 하~ 2017/10/27 2,842
741883 실손보험 부활시킬까요 다시 들까요? 3 고민 2017/10/27 1,932
741882 매트리스커버랑 패드가화이트인데 ㅇㅇ 2017/10/27 593
741881 82 좋은글 저장은 어떻게 합니까? 14 .. 2017/10/27 2,104
741880 평창 올림픽 티켓 구매하신 분 계신가요? 5 혹시 2017/10/27 903
741879 한글파일관련.. 컴퓨터 잘 아시는 분 조언 부탁드려요. ,,, 2017/10/27 534
741878 스코틀랜드와 영국역사 재미있게 읽을수있는 책 있을까요? 5 가고픈 2017/10/27 1,057
741877 여대생 어학연수 유학원 통하지 않고 7 ... 2017/10/27 1,605
741876 실손보험 십년전에 든게 통원비 십만원이네요ㅠ 15 십년전 2017/10/27 4,461
741875 고기를 익혀도 색이 붉어요 ... 3 ^^ 2017/10/27 1,816
741874 아래에 층간소음 얘기 나와서 말인데요 14 궁금 2017/10/27 2,756
741873 거미가 내려왔는데요 7 2017/10/27 2,065
741872 혼자 아이 키우며 살 수 있을까요. 14 ... 2017/10/27 3,560
741871 오늘 초미세먼지 대박이네요 7 날씨 2017/10/27 3,627
741870 부암동 복수자 클럽 웹툰 보신분. 결말 얘기해 주세요 3 재밌어 2017/10/27 8,066
741869 초등4학년 1박2일 캠프에 어떤 가방을 가져갈까요? 13 1박2일 2017/10/27 1,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