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클래식 음악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클래식 조회수 : 1,049
작성일 : 2017-08-13 11:48:59
취향적인 문제와는 별개로
이선희 노래 스타일이
요즘 시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견들도 있는데..
클래식 음악에도
클래식 피아노를 예로 들자면
옛날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요즘 세대의 조성진의 음악에도
그런 세대차 같은 게 존재할까요?

IP : 110.70.xxx.22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13 11:50 AM (58.230.xxx.234)

    연주에도 조류라는 게 엄연히 있죠.
    20세기 초에 녹음된 피아노 연주 지금 들어보면
    생소할 정도죠.
    하지만 개인적인 성향의 차이가 더 클 겁니다.

  • 2. 아무리
    '17.8.13 11:59 AM (175.223.xxx.91)

    개성이 중요한 시대라지만, 가끔 클래식의 본질을 잃어버린것 같은 특이한 해석?의 연주자는 거부감이 들기도 해요.

  • 3. 당연하죠
    '17.8.13 12:03 PM (59.14.xxx.103)

    당연하죠. 클래식도 유행타요. 연주기법등도 그렇고 악기도 그렇고,
    아티스트들도 시대에 따라 각광받는 스타일이 조금씩 달라요.

    팝페라나 팝접목하는 아티스트가 계속 나오는것도 그 흐름중하나라 볼수있죠.
    다만 클래식은 워낙 오랫동안 다듬어져왔고,
    듣는 인원이 한정되어있어서 대증음악처럼 확확 변하진 않죠.

    어느시대던 이미자나 심수봉을 듣는 소수는 있는것처럼요

  • 4. 유행
    '17.8.13 12:12 PM (68.129.xxx.37)

    클래식음악 예전에 녹음된것과 최근에 젊은 인기있는 연주자를 비교해서 들어보세요.
    속도가 굉장히 빨라졌고 시대마다 요구하는 톤도 달라져 왔습니다.
    조성이 달리 편곡되어 녹음되는 경우도 있어요 경우에 따라..
    연주기법 해석방법 레코딩스타일도 틀리구요.

    컨서트에서는 앵콜곡 선택에서도 달라짐을 바로 느낄 수 있구요.

  • 5. 제 생각엔
    '17.8.13 12:12 PM (223.39.xxx.90)

    클레식.
    고전이 사랑받고 살아 남았다는건.시간을 견뎌내고
    오랜시간 인간의 정서와 감정을 예술적 기호로 담아냈기에 가능한것이겠죠.
    우리가 좋아하는 음악가들의 곡도 그 당시엔
    파격이었고. 이단이었죠.
    언제나 새로운것들은 쉽게 받아들여지지가 않죠.
    연주자들도 나름 자신만의 해석이 있어야
    살아남는거죠.
    그저그런 남과 같은 연주는 모방밖에 안되니까요.
    연주자도 어쨋건 자신만의 색깔이 있어야 .
    대중과 시장에서 인정받으니까요

  • 6. 시대에 따라
    '17.8.13 12:15 PM (58.230.xxx.234)

    계속 변화하고 새로운 해석의 시도를 하며
    또다른 모습을 보여줬기에 클래식입니다.
    작곡자조차도 클래식의 '본질' 운운한 사람 없어요..

  • 7. ㅎㅎ
    '17.8.13 1:07 PM (124.51.xxx.155)

    피아니스트 클라라 하스킬이 생각나는데요 젊었을 때 별로 인정 못 받았는데 할머니 돼서 위대한 피아니스트라고 극찬을 받았었죠. 하스킬 왈, 자기는 똑같이 쳤는데 관객들 반응이 달라졌다고.

  • 8. ..
    '17.8.13 2:24 PM (211.36.xxx.214) - 삭제된댓글

    완전 요즘 세대 아이인 우리 딸은(전공자는 아니지만 음악애호가^^)
    조성진보다 백건우의 연주를 더 좋아하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2274 놀러가는데 옷 어떻게 입을까요? 2017/10/28 903
742273 아이들끼리 영화보러가기 1 A 2017/10/28 706
742272 중딩있는 둘째는 어디 한번 놀러가기 참 그렇네요ᆢ 11 차이 2017/10/28 2,060
742271 내신때문에 대학 낮춰간 경우 있을까요 10 ㅇㅇ 2017/10/28 2,748
742270 [속보] 유엔 북핵결의안 압도적 채택-한국은 기권 30 뭐죠 2017/10/28 2,904
742269 띠어리 바지 사이즈 4 하마콧구멍 2017/10/28 3,029
742268 어머님들 집안일 요령좀 알려주세요~~ 18 으헉 2017/10/28 4,715
742267 민중총궐기투쟁본부는 뭐하는 덴가요? 11 대체 2017/10/28 1,359
742266 아직도 정신 못차린 동생 19 43세 2017/10/28 6,173
742265 아들애들 앉아서 오줌누나요? 44 ㅇㅇ 2017/10/28 3,732
742264 알쓸신잡 유시#때문에 안보시는 분 계세요? 134 ... 2017/10/28 13,833
742263 나이가 드니 복잡하고 힘든일은 대번 짐이되지만 1 ㅠㅠ 2017/10/28 1,624
742262 티구안 신형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2 7인승 2017/10/28 1,505
742261 자꾸 자기 돈 쓴 얘기 하는 사람 11 789 2017/10/28 5,075
742260 노회찬, 한국당 보이콧에 국감 중단?…결석한 학생이 수업하지 말.. 5 고딩맘 2017/10/28 1,616
742259 양쪽손 세번째 네번째 손가락 마지막 마디가 구부리면 아파요 1 무서워요 2017/10/28 1,890
742258 MD학원 아시는 분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2 머랭 2017/10/28 719
742257 로봇물걸레청소기요 1 ㅇㅇ 2017/10/28 1,351
742256 조카 과외하던중 생긴일이예요 10 오늘은익명 2017/10/28 6,107
742255 어제 관악산 연주대에 갔었는데요 1 길냥이들~ 2017/10/28 1,283
742254 바이타믹스 살까요? 괜히 지름신이 ㅠㅠ 9 왜그런지; 2017/10/28 2,896
742253 해외유학으로 꼭 사고가 넓어지는것만은 5 ㅇㅇ 2017/10/28 2,111
742252 문재인 대통령님이 오늘 UN에서 큰 일 하셨네요 5 UN 2017/10/28 2,501
742251 신경민 의원에게 질책받은 방문진 고영주 1 ... 2017/10/28 1,153
742250 읍 단위 건물vs반포 재건축 7 고민 2017/10/28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