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위장례식 장인장모는

사위 조회수 : 10,967
작성일 : 2017-08-12 18:20:42
사위 장례식에 장인장모는 안오는건가요?
제 시부모님 올 봄 큰사위 장례식장에 안오셨어요

큰사위랑은 사이가 좋았는데
암으로 몇년 투병하다 가셨어요
장례식 안오는 것보니 참씁쓸합니다
저한테 늘 그러시네요
우리 며느리가 최고다 하시는데
저 죽어도 장례식에는 안오시겠죠
남편한테 왜 장례식에 안오시나 물으니 자기도 왜 그런지 모르겠다고 그러네요
예법을 중시하는 경북 양반가문 출신들이십니다
혹시 장례식 안오신게 유교적인 의미가 있나요?
요즘 자꾸 생각나고 괴롭네요
아주버님 암투병하시는걸로 저한테 푸념하신게 있어서
시부모님 얼굴보기도 괴롭네요
이해할수있는 이유로 납득받고싶어요

IP : 211.33.xxx.128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12 6:21 PM (1.245.xxx.33)

    너무 슬퍼서 아니실까요????

  • 2. ㅇㅇ
    '17.8.12 6:23 PM (121.168.xxx.41)

    저희 할아버지 할머니.. 작은 아버지 돌아가셨을 때 장례식 안오셨어요..

  • 3. .....
    '17.8.12 6:23 PM (115.138.xxx.195) - 삭제된댓글

    헉... 사돈이 돌아가셔도 가야 정상인데 사위 장례에 안온다니요

  • 4. 무비짱
    '17.8.12 6:25 PM (223.39.xxx.99)

    사위 장례식에는 안가더라구요..

  • 5.
    '17.8.12 6:25 PM (210.94.xxx.156)

    자식 장례식에 부모님은 안가는 거랍니다.
    사위도 자식이니,
    자식앞세운 꼴이어서
    안간거 아닐까요?
    장례식에 오는 것보다는,
    가장없이 살아야하는 남은 가족들 챙겨주는게
    더 나을것같아요.

  • 6. 병환중이
    '17.8.12 6:26 PM (61.98.xxx.144)

    아니시라면 가야 맞죠

    연세 많으셔도 거동 불편하지 않으면 자식 장례에 가야지 싶네요

  • 7. ..
    '17.8.12 6:26 PM (110.10.xxx.23) - 삭제된댓글

    죄많다고 생각해서 안오신다 들었어요.
    저희 친정아버지때 할머니 안오셧어요.

  • 8. 그런가요?
    '17.8.12 6:28 PM (61.98.xxx.144)

    몇달전 오빠가 잡자기 저 세상으로 갔는데
    아버지 다녀가셨어요 엄마는 거동을 못하시고 정신이 없어 말씀도 못드리고...

    저희 아버지도 유교예법에 정통하신 분인데 이상하네요

  • 9. ...........
    '17.8.12 6:29 PM (175.112.xxx.180)

    사이도 좋았는데 안갔을 때는 무슨 이유가 있겠죠.

  • 10. 어른들
    '17.8.12 6:32 PM (125.180.xxx.52)

    예전에는 자식앞세웠다고 너무 괴로와서 안가시긴했어요
    요즘 세월이바뀌면서 생각들도 바뀌니 가는분들은 가겠지만...

  • 11. 제가 보기에는
    '17.8.12 6:33 PM (1.237.xxx.175)

    사돈댁 만나는 부담때문인 것 같은데..
    장례식장가면 사돈어른. 그 일가들이 있잖아요.
    얼굴보기 껄끄러웠을 것 같아요. 잠시 앉았다 온다하더라도

  • 12. 자식 장례식에는
    '17.8.12 6:35 PM (126.235.xxx.6) - 삭제된댓글

    자식을 먼저 앞세웠기에 자식 장례식에는 안 가는거라 들었어요.
    울 엄마가 할머니보다 먼저 가셨는데
    할머니는 영안실에서는 계속 계셨지만
    엄마 산속에 묻을 때는 안 오셨어요,
    갑자기 엄마 생각나서 울컥해집니다.

  • 13. ...
    '17.8.12 6:37 PM (58.231.xxx.175) - 삭제된댓글

    오래전에 외할머니께 비슷한 이야기 들은 적 있는 것 같네요.
    자식 앞세운 부모가 죄인이라 그랬다는 것 같은데...

  • 14. 원글
    '17.8.12 6:39 PM (211.33.xxx.128)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아버님이 거길 어떡해가냐고 하셨거든요
    대강 이해가 됩니다
    마음이 많이 풀리네요
    아주버님 투병중
    어차피 죽을꺼 너무 비싼 진료받는다
    남은 가족 생각안한다 이런말로
    저한테 푸념하셔서 제가 맘이 많이 비딱해져 있고
    가끔 생각나면 괴로웠어요
    부모니 딸 생각해서 그러실수 있지만 생각에 그치셔야지
    그걸 저한테 말해서 전 그후로 조카들 보기도 괴로웠네요

  • 15.
    '17.8.12 6:43 PM (223.33.xxx.228) - 삭제된댓글

    친자식이면 갔겠죠 ‥

  • 16.
    '17.8.12 6:54 PM (210.94.xxx.156)

    전 시부모님 마음 이해가 가요.
    말 안했으면
    좋았겠지만,
    딸과 남은 아이들 생각에
    푸념처럼 나왔겠죠.
    아는 댁 막내딸이
    아이 7살에 혼자됐는데,
    젊은 사람이 암이라 정말 할 수있는건
    다해본듯 해요.
    그러다보니
    집한칸 없는 신세.
    청상과부된 막내딸도 안쓰럽고
    아직 한창인데 세상등진 사위도 불쌍하고
    홀로 남은 철부지 아이도 안쓰럽고.
    그와중에 치료비로 온 재산 다 날리고
    간병하느라 직장도 잃어
    친정부모형제들이 십시일반 모아
    전세집을 마련해주었는데‥
    그집 어르신이 그러더라구요.
    살 사람은 살아야하는데
    한도 끝도 없는 병원비가
    야속하고 한스럽다고요.

  • 17. ㅡㅡ
    '17.8.12 6:56 PM (1.238.xxx.253) - 삭제된댓글

    비슷한 경우 봤는데요..
    사돈을 무슨 낯으로 보냐고 못 가셨어요.
    어른들은 그러신 경우 많아요..

    그리고 윗분 친자식에 자식없으면 사실상 상 치르는건데
    친자식이면 갔겠지라뇨. 말씀 참..

  • 18. ....
    '17.8.12 7:16 PM (1.227.xxx.251)

    장성한 자식 장례식에 노부모는 안오더라구요 알리지않기도 하구요

  • 19. ㅇㅇㅇ
    '17.8.12 7:24 PM (182.231.xxx.100) - 삭제된댓글

    큰시누이가 암으로 세상떠나자 친정부모님이신 제 시부모님께서 장례식장 안가셨어요. 친딸 장례식 안 가신거죠.
    자식 앞세운 죄인이라고 안가셨어요. 집에서 엄청 우셨어요.

  • 20. 00
    '17.8.12 7:31 PM (1.247.xxx.54)

    시할머님도 맏사위 상에 안오셨어요. 평소에 맏사위. . 저에겐 큰고모부님이 그렇게 잘했다고 들었거든요. 윗분들 말씀처럼 자식 앞세우면 장례에 안간다고 들어써요.

  • 21. 그런가봐요.
    '17.8.12 7:34 PM (119.69.xxx.60)

    형님(동서) 돌아가셨을 때 양가에서 손님 오시기 전 5분 쯤 계시다 장례식장 차려진 것 보고 그냥 가셨어요.

  • 22. ,,,
    '17.8.12 7:50 PM (1.240.xxx.14)

    산 사람은 살아야죠
    희망도 없는데 있는돈 없는돈 다 쓰는거
    반대할 수도 있죠

  • 23. 에고
    '17.8.12 7:51 PM (211.110.xxx.188)

    이해해드리세요 친구남편 56에 갑자기 의문사했는데 장례식장에 양가어머니들 머리허연 노인분들 안가고 계시는데 안좋아보였어요

  • 24. 이해하세요
    '17.8.12 8:31 PM (59.24.xxx.122)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가면 장례식에 안가더군요
    친자식이라도....
    사위도 자식이니깐요

    그리고 가망없는데 병원비 계속 나가는건
    환자 본인도 원하지않을듯요
    제가 환자라도 더이상 쓰지말라고 할것같네요
    그게 남은 가족을 위하는거지요

  • 25. ...
    '17.8.12 8:56 PM (223.33.xxx.228)

    참 안타깝네요

  • 26. 그게
    '17.8.12 9:40 PM (175.210.xxx.151) - 삭제된댓글

    우리 시이모님 아들이 봄에 자살했어요 뉴스에도 나왔었네요
    시이모님 이모부님 두분다 안오셨어요
    우리시어머니도 시누 남편 돌아가셨는데 안가셨구요

  • 27. 저도
    '17.8.12 10:58 PM (1.241.xxx.222)

    몰랐는데‥ 젊은 사람 장례식에는 노인들은 안오는거라고 많이들 그러시더라고요ㆍ어떤 의미인지 알겠더라고요ㆍ 최근에 사촌 오빠가 사고로 돌아가셨는데 고모는 안오셨어요ㆍ 제일 사랑하는 큰아들이였는데 그 마음을 아니 왜 안왔지 뭐지?? 라는 생각도 안들고 안타깝더라고요ㆍ연세 많으신 친척들 안오셨고요ㆍ

  • 28. ....
    '17.8.12 11:35 PM (39.118.xxx.145)

    사위 장례식에 장인 장모가 참석하지 않는 것이 경상도 양반의 법도입니다.

  • 29. 자식이나 그 배우자의 상에만
    '17.8.13 2:27 AM (123.254.xxx.238) - 삭제된댓글

    유교에서 부모가 일가를 이룬 자식(배우자 포함)의 상에는 안가는 거라고 들었어요.
    젊은 사람 장례식에 노인들은 안가는 법도는 없지만 대체로 많이 안가긴 해요.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상에 갔을 때도 절은 꼭 올려야 되고요. 살아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죽은 후에는 망자에 대한 예의라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4910 '남한산성','변호인' 8 네가 좋다... 2017/10/05 2,440
734909 연설장면에서 애국심 불러일으켜 많은 사람들이 죽는데요........ 덕혜옹주 2017/10/05 642
734908 '변호인' 마지막 장면 관련 뒷이야기 15 .. 2017/10/04 6,195
734907 1인가구 우울증이신분들 밥 잘 챙겨드시나요? 18 먹는것도 번.. 2017/10/04 5,344
734906 장신영 커플은 참 닭살이네요 9 2017/10/04 6,264
734905 도저히 이해가--사서고생 프로그램 못하게해야하는것 아닌가요? 5 ... 2017/10/04 2,430
734904 네비버, 다음, 네이트 실검 1위가 변호인 3 ... 2017/10/04 1,694
734903 정신적으로 너무 힘든게 지속되니까 좀 멍해진 느낌.. 10 2017/10/04 3,724
734902 문대통령님 목소리 1 <&g.. 2017/10/04 1,149
734901 소고기 1인분 몇그람인가요? 1 ... 2017/10/04 1,901
734900 결혼한 딸만 있는 집의 아버지 제사 33 이럴땐 2017/10/04 11,967
734899 저렴한 이천쌀밥 추천 부탁드려요 000 2017/10/04 539
734898 진정한 사랑과 결혼해서 후회없이 사시는 분 계신가요? 21 싱글이 좋아.. 2017/10/04 8,380
734897 변호인 다시 보니 속 더 터지네요 13 jaqjaq.. 2017/10/04 3,794
734896 만기는 11월 29일인데 계약연장 물으니 10월29일 이사한다고.. 10 세입자 이사.. 2017/10/04 1,524
734895 창원에서 가까운 도시 어디가볼만 할까요? 12 ㅇㅇㅇ 2017/10/04 2,063
734894 군함도 VOD로봤는데, 실패한 이유를 알겠음 5 2017/10/04 4,731
734893 여자 안경사가 별로 없는 이유가 뭔가요? 5 안경점 2017/10/04 4,021
734892 며칠전네 사랑하는 강아지 하늘나라로 보내고 12 야미네 2017/10/04 2,459
734891 의지박약=게으름인가요? 4 ㅇㅇ 2017/10/04 2,155
734890 저는 며느리라는 단어 자체가 싫습니다 26 이런... 2017/10/04 6,429
734889 요가 동영상 혹시 보시는 것 있으세요? 5 ..... 2017/10/04 2,192
734888 건치이신 분들 피부도 건강한 편 아니신가요? 7 건치 2017/10/04 1,784
734887 범죄도시 재미있네요 2 00 2017/10/04 1,543
734886 통 이불장에 옷 보관할 때 좋은 보관 방법 있을까요? 3 이불장 사용.. 2017/10/04 1,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