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등맘님들 17수능개편 다들 이해하셨나요

중딩맘 조회수 : 2,589
작성일 : 2017-08-12 09:08:56
수능개편 기사 보면 어렵고 이해가 아직 안가는데
중등어머님들 다들 이해 하셨나요?
공부도 어렵고 개편되는거 아는것도 어렵네요

IP : 125.186.xxx.42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7.8.12 9:13 AM (211.243.xxx.128)

    시험과목도시험범위도 완벽하게 이해는 못했어요 어제 공통과학 목차보고 이해도 안되고 일반선택에서 뭘 어찌 낸다는건지 어차피 학종할려면 진로 선택과목 듣고 내신 따야하고 고등학교에서 선택과목이 다 가르친다는건지 아니면 몇과목 만 있는건지도 모르겠고. 수능도 수능이지만 학종내신도 관리하기 어럽겠어요

  • 2.
    '17.8.12 9:14 AM (211.243.xxx.128)

    내신상대평가면 선택과목따라 내신 점수 변동 많은건지 좀명확하게 알아야 하는데 아무도 몰라요

  • 3. ㅂㅂㅂ
    '17.8.12 9:29 AM (223.62.xxx.199) - 삭제된댓글

    이과에서 과학2빠지는거 말고는 모르겠어요
    통사 통과는 뭐고
    선택과목은 또 뭘까요
    도대체 학습부담을 뭘 줄여준걸까요?

  • 4. 학원
    '17.8.12 9:40 AM (112.169.xxx.13)

    학원가면 다 알아서 해줄텐데요

  • 5. ..
    '17.8.12 9:43 AM (175.119.xxx.52)

    중학 몇학년부터 적용되는건가요?

  • 6. ~~
    '17.8.12 10:04 AM (58.234.xxx.82)

    지금 중3이요

  • 7. 1001
    '17.8.12 10:14 AM (211.206.xxx.11)

    시험범위는 나중에 발표될거에요 3년 예고제로 대입제도는 미리 발표해야 되서 급하게 다들 반대라고 하는대도 지 하고 싶은대로 절평하겠다고 발표한거에요.

  • 8. 저도
    '17.8.12 10:17 A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중2 아이 있는데 수시냐 정시냐를 정해야지 같이 밀고 나가기 힘들겠더라고요.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아무리 절대평가라지만 공부 분량이 적지 않을 거 같아요.
    그런데 이건 1학년 과목이니 사실 고3 때는 이과 갈 아이들은 선택으로 과학2 듣고 있을 때 아닌가요?
    지금도 사실 과학2는 정시로 갈 아이들 버리는 경우 많은데 이젠 더할 거 같다는 생각 들더라고요.
    학종 생각하고 끝까지 내신 챙기려다 수능은 망하는 경우가 많이 생길 거 같아요.

  • 9. 저도
    '17.8.12 10:18 A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중2 아이 있는데 수시냐 정시냐를 정해야지 같이 밀고 나가기 힘들겠더라고요.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아무리 절대평가라지만 공부 분량이 적지 않을 거 같아요.
    그런데 이건 1학년 과목이니 사실 고3 때는 이과 갈 아이들은 선택으로 과학2 듣고 있을 때 아닌가요?
    지금도 사실 정시로 갈 아이들 과학2는 버리는 경우 많은데 이젠 더할 거 같다는 생각 들더라고요.
    반대로 학종 생각하고 끝까지 내신 챙기려다 수능은 망하는 경우가 많이 생길 거 같아요.

  • 10. ...
    '17.8.12 10:23 AM (220.75.xxx.29)

    수능이 절평이면 뭐합니까..
    영어도 통과 통사도 다 내신이 문제라서 못 놓는거에요.
    절평이면 90넘는다는 보장은 또 있나요?
    이래저래 최상위권 빼고는 애나 엄마나 다 죽는 거에요.

  • 11. ...........
    '17.8.12 10:57 AM (175.112.xxx.180)

    이렇게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등급제를 왜 하는걸까?
    그냥 자기가 나온 점수 액면가 그대로 하면 누가 불평함?
    딱 그등급에 턱걸이하게 최소한도로 공부할 수도 없는거고 죽어라 공부해야하는 건 마찬가지

  • 12.
    '17.8.12 11:02 AM (211.243.xxx.128)

    자기들이 만들고도 이해못할듯 대학다 보낸 어머니들 부럽습니다

  • 13. ..
    '17.8.12 11:13 AM (121.137.xxx.82)

    우리나라 말인데 읽어도 이해가 안되는 메뉴얼은 정말 의도가 의심스러울 지경입니다.
    보험약관과 파생상품 메뉴얼이 읽어도 읽어도 모르겠는건 모르라고 만든거라 그렇다는데
    입시메뉴얼을 읽을 때마다 모르라고 만든걸 알려고하니 이렇게 힘든거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 14. 모르라고 만든거
    '17.8.12 11:19 AM (223.62.xxx.220)

    맞는말같아요 이렇게 해놓고 엄마의 정보력 운운하게 만들고 결국 돈싸들고 학원이니 컨설팅업체니 찾아가게 만드는거잖아요.내가 지지한 분들이 어떻게 이렇게 모를수가 있죠? 다들 애들 대학보내고 난 후라 현실을 정녕 모르는건가요?

  • 15. ............
    '17.8.12 11:39 AM (175.112.xxx.180)

    옛날 학력고사가 심플하니 좋았는데..
    시골농부 우리 아부지도 척척 이해하고 셀프 컨설팅 가능.
    하긴 뭐 컨설팅이라 할것도 없음 . 공부해라 이 한마디면 다 커버됨.
    그 학력고사에 내신반영 비율만 더 높이면 지방이고 서울이고 서로 윈윈인데.

  • 16. 중3맘
    '17.8.12 11:43 AM (223.33.xxx.130) - 삭제된댓글

    더 복잡해진 이유가 2015개정수학과 같이 실행되서 일거에요
    수능 자체만으론 그리 복잡하진 않아요
    기존에 없던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생겼고
    기존 문과는 사탐2과목 , 이과는 과탐2 과목선택이였는데
    한과목씩으로 바뀌고.
    몇과목 절대평가로 바뀌고.
    문이과 통합이라는 말은 거의 헛소리였단 얘기고

    근데 문제는 수학인데, 대학에서 과별로 요구하는 수학 과목이 달라질거라는거죠.
    예전에는 문 이과에 따라 수학 범위가 달랐는데..
    이제는 문이과가 아닌 학과계열별로 대학에서 요구하는 수학이 달라질거라는거죠.

    문과중에서도 어학쪽, 경영쪽, 예체능쪽이 수학선택과목중 어디까지 원할지는 아직 아무것도 나온게 없어요
    아마 대부분의 학교는 문과여도 '개정후' 수학2 까지는 원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요
    개정후 수학2면 현재수학 미적분1 과 내용이 비슷해요

    게다가 기존 미적분2 의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가
    '개정후'에는 수학1에 들어가 있으니, 문과생들의 수학부담이 커진건 맞는거 같아요

    만약 문과중에서도 경영 경제 통계쪽 학과는 경제수학을 추가로 해야하구요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문제는 학종이 확대됨으로 해서
    고등입학하는 순간부터 3년내내 아이들은 엄청난 학습량과 비교과로 힘들어질거에요

    대충 정리해봤는데 혹시 틀린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셔요

  • 17. 윗님
    '17.8.12 12:02 PM (175.112.xxx.180)

    확률통계도 문과에 포함인가요?
    지금 미적분1에 해당하는 수2만 아직 모르는 건가요?

  • 18. ..
    '17.8.12 12:23 PM (125.178.xxx.196)

    잘은 모르겠지만 과목수가 많아서 잘하는애는 엄청 잘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다 비슷비슷 그리고 완전 포기하는애들도 많고...

  • 19. 수학뿐아니라
    '17.8.12 12:26 PM (211.243.xxx.128)

    영어 국어도 선택있어요

  • 20. 제 생각에도
    '17.8.12 12:31 PM (39.7.xxx.166)

    학력고사에 내신반영 비율만 더 높이면 지방이고 서울이고 서로 윈윈인데....2222222

  • 21. 중3맘
    '17.8.12 12:41 PM (223.62.xxx.159) - 삭제된댓글

    175.112 님
    아직 확정된게 없어요
    대학별로 입시안이 나오면 그때나 알거같아요
    확통은 어문계열이나 예체능에서는 포함될수 있구요

    만약 수능에서 어문계열이나 예체능계열이 개정된
    수1/ 확통정도만 범위로 들어간다면 수학 부담이 조금 덜될수도 있겠죠.. 물론 정시일때.
    학종이면 내신이 중요하니 모두 잘해야하는거고.
    좋은 학교는 문과라도 거기에 개정된 수2도 원하지않을까요?
    경영 경제는 확통이 빠지는 대신 개정 수2는 들어갈것같고.
    그러니 현 중학생은 확통은 분위기 봐서 나중에 하시는것도 요령일수도 있어요

    하지만 이 모든것은 대학별로 입시안이 나와야 정확히 알수있을것 같습니다.

  • 22.
    '17.8.12 12:49 P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수능 수학은 가형 나형밖에 없으니 어문계열 예체능계열만 따로 보는 시험은 없을 테고
    문과 수능도 공통수학에 수1, 수2까지 들어가게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학종으로 갈 경우에 수능 최저 없는 전형이면 수1 정도까지만 들어도 괜찮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고등학교가 선택과목을 당장 다양하게 제공할 수가 없을 테니
    수2까지 들어야 하는 우수한 학생들의 내신을 위해서
    문과 전체가 수2까지는 듣게 하기가 쉬울 거 같아요.

  • 23. ㅇㅇ
    '17.8.12 1:57 PM (223.62.xxx.21)

    큰 애가 쓰던 자습서들 또 다 못쓰게 만드네요.지겹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8764 닭하고 계란 다 못먹으면 우째요? 5 또난리 2017/08/15 2,101
718763 1980년대의 랜드로바, 영에이지 신발 7 신발 2017/08/15 2,868
718762 공영방송 '잃어버린 10년' 그린 영화 《공범자들》 샬랄라 2017/08/15 583
718761 이니 하고싶은 거 다해~ 8.14 (월) 9 이니 2017/08/15 533
718760 수프리모 생두 굽는 법 4 수프리모 2017/08/15 637
718759 채소나 과일주스 뭘로 드세요? 2 .. 2017/08/15 1,069
718758 얼마전에 이효리 옷 궁금해하신분보세요~ 7 ㅅㄷᆞ 2017/08/15 4,969
718757 육영수는 박정희 두번째 부인인가요 세번째 부인인가요? 12 궁금 2017/08/15 5,609
718756 시판김치 익혀서 냉장고에 넣으려는데요. 포장을 뜯어야 하나요? 6 .... 2017/08/15 1,238
718755 허수경처럼 정자은행으로 아기 낳는거 합법인가요? 18 ... 2017/08/15 8,060
718754 기사) 경비직, 강사, 방과후코디 다 들고 일어났다!!! 정규직.. 36 2017/08/15 3,960
718753 [단독] 친일파 이완용 재산 최초 확인…여의도 7.7배 땅 고딩맘 2017/08/15 736
718752 오늘은 택배 안 오죠? 6 택배 2017/08/15 1,164
718751 류석춘 "대한민국 1948년 건국은 자명..文대통령 앞.. 11 샬랄라 2017/08/15 1,354
718750 급 ebs 영화 동주... 관련 질문 봐주세요 6 .... 2017/08/15 1,125
718749 계란 어디서 사요? 3 ㄲㄲ 2017/08/15 1,599
718748 대학생아들 원룸에 에어매트가 나을까요? 매트리스 받침대 .. 24 ***** 2017/08/15 5,518
718747 남편이 사정이 안되는데 19 11 ㅜㅜ 2017/08/15 10,026
718746 이제 판사들한테도 마구 물병 던져도 되겠네요 5 ㅇㅇ 2017/08/15 1,674
718745 이소라씨 정~말 노래 잘 하네요 11 어머 2017/08/15 3,022
718744 82쿡님 도움요청합니다.감사해요. 2 서천 2017/08/15 609
718743 랜드로바 매장에서 본거, 인터넷에서 사도 똑같을까요? 5 신발 2017/08/15 1,353
718742 정세현, 8월 위기설은 미 군산복합체의 장삿속에서 나온 가짜뉴스.. 4 고딩맘 2017/08/15 777
718741 종가집 김치 인터넷에서 파는거 맛이 다르네요 7 .. 2017/08/15 3,253
718740 토씨 하나 안다른 똑같은 글이 4년만에 올라왔네요 51 2017/08/15 16,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