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8.11 교육부 공청회 후기.

8.12 청계광장 함께해요 조회수 : 1,077
작성일 : 2017-08-12 08:51:07
'수능 절대평가를 철회하라' 요구하며 삭발
출처 : 연합뉴스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xRjUIeJ8

오전에 정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 및 대표님 삭발식이 있었습니다. 대표님 삭발 투혼에 감사드립니다. 지난번보다 많은 언론 매체들이 관심을 보였습니다.

오후에 다른 언론 매체로부터 요청이 와서 그곳에서도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그 후 서둘러 공청회장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우리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사걱세 회원들이 진을 치고 구호를 열창하고 있었습니다. 준비해간 피켓 등을 들고 우선 차분하게 패널들의 의견을 경청하였습니다.

패널들의 발언은 제가 전문을 올릴 수는 없으나, 아마 교육부에서 배포할 것이므로, 구해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1. 이찬승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전과목 절대평가 전환(2안)을 조건부 찬성한다.
여기서의 조건이란, 대입전형, 내신평가, 학생부, 학점제 도입, 교과서 편제, 고교체제라는 각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면밀히 검토한 후에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예상하지 못한 큰 부작용과 저항으로 개혁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 이찬승씨는, 수능과 내신의 상대/절대 여부와 5등급/9등급을 각각 조합한 시나리오 1, 2, 3, 4를 내놓고, 각 시나리오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습니다. 요지는, 내신 경쟁도 완화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수능 전과목 절평을 찬성한다는 것입니다(하지만 교육부에서는 내신 절대평가에 대해서는 한참 후에나 고려할 것이라고 하였으므로, 내신 경쟁이 완화되는 것은 요원한 일입니다.)

2. 송현섭 도봉고등학교 교감

제2안보다는 제1안에 찬성한다. 내신의 전면 성취평가제 도입도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해결해 나감이 바람직하다.

**** 이분은 완곡하게 수능 절대평가를 비판하였습니다.

3,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제1안(부분적 절대평가) 찬성

제2안에 대한 문제점 고찰
(1) 공정선발의 한계와 정시전형의 무력화
(2) 평생 가는 고교성적, 기회를 주는 정시인가?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시 정시조차도 교과에 의해 당락이 결정됨을 지적하고, 학생이 평생 바꿀 수 없는 교과 성적의 지배하에 있게 되는 문제점을 지적)
(3) 교사의 진학지도 한계
(4) 중학교에서의 사교육 활성화 우려 (고교 1학년 성적이 대입에 결정적인 역할을 차지하게 되므로, 중학교에서의 선행학습과 같은 사교육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아짐)
(5) 전반적인 사교육 우려 (수능 절대평가를 해도 수능에 대한 사교육이 줄지도 않음. 연도별 수능 난이도에 따른 등급변화가 심한 경우 재수욕구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

**** 안성진 성균관대 교수가, 나직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우리 부모들의 가슴 속에 맺힌 한을 풀어주는, 너무나도 정곡을 찌르는 사이다 발언을 계속하였으며, 이에, 우리 카페 회원들이 아닌 부모들로부터 먼저 시작하여, 쓰나미같은 함성과 환호와 박수 갈채가 터져나왔습니다. 가슴이 터질 것 같은 부모들의 환호와 갈채에 공청회장은 순식간에 교회 부흥회와도 같은 분위기로 급변, 그야말로 흥분의 도가니였습니다. 이때부터 고성이 난무하기 시작하였습니다(그 고성 중에는 저의 고성도 포함.....)

4. 김선희 좋은학교바른학부모회 회장

학업 하향평준화에 대한 우려
학생부를 기록하는 교사들 간의 격차가 두드러짐. 교내 활동의 수준은 고교별로 큰 역량 차이를 보이고 있음.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우려

**** 뭔가 절대평가와 학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듯 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정리가 안 되고 요지를 알 수 없는 발언이었습니다.

이후 의견개진 시간에는, 전교조 교사인 듯한 교사분들의 수능 경쟁 없애야 학교 교육이 정상화된다는 발언이 있었고, 우리 카페 카페지기님과 회원님 그리고 전(?) 회원님의 수능 절대평가 반대 의견이 있었으며, 그 외에 우리 회원이 아닌 다른 분들, 특히 어느 연세 지긋한 분의 사이다 발언이 있어(공교육 정상화 부르짖는 교사들아! 공교육을 정상화시키는 것은 바로 너희들이 할 일이었다. 수능이 도입되고 지금까지 십수년이 흘렀는데, 이제까지 무얼하고 이제와서 겨우 한다는 소리가 수능이 공교육을 망친다는 것이냐, 학생은 수능, 논술, 학생부, 이런 것들 중에 자기가 원하는 전형을 골라 대학을 갈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종의 엄청난 폐해도 주장 등), 이 때도 공감과 부모들의 함성이 터져 나왔습니다. 또한, 어떤 분은 재수 문제는 수능 정시가 아니라 평생학습이력제(?)로 해결하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언론에는 단지 "고성 난무"이렇게 네글자로 나왔지만, 실제 공청회장의 분위기는 부모들의 탄식과 열광이 교차하며 대단했습니다. 직접 그 자리에 계시지 않았던 분들은 그 분위기를 상상하기 어려우실 것입니다. 절대평가를 찬성하는 '리얼' 학부모님은 그자리에 단언컨대 한 분도 안 계셨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들이 외친 것이 우리들만의 절규가 아님을, 다른 부모들도 똑같이 이 문제에 공감하고 분노함을 느꼈습니다. 물론 언론에는 이런 모든 것이 단지 "고성 난무"로 일축되겠지만..

단언컨대 지금까지 한번도 정치적인 인간으로 살아온 적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일을 계기로 하여 왜 바른 정치가 필요한 지, 그것이 얼마나 우리의 삶과 밀접한 것인지, 사회가 돌아가는 원리를 탐구하는 것과 방관하지 않고 직접 참여하는 것이 왜 중요한 것인지, 아주 조금씩 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
8.12 오늘 오후 6시 청계광장 절대평가반대! 정시확대! 사시존치 !
궐기대회에 여러분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IP : 223.62.xxx.16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12 9:04 AM (221.139.xxx.166)

    생생한 현장 후기 잘 봤습니다.
    특히 공교육 정상화 부르짖는 선생들아~ 그 부분이 시원섭섭으로 공감됩니다. 선생들 그것들 뭐하는 건지...

  • 2. ^^
    '17.8.12 9:10 AM (39.112.xxx.205)

    이것들 또 알바라고 할라나?

  • 3. ...
    '17.8.12 9:13 AM (221.139.xxx.166)

    개선생들 30년전에도 있었지만, 요즘이 더 많은 듯.
    시험이 없어지면 공교육이 정상화되나?
    진짜 머리가 나쁜 건지.... 잘 가르치고 성의있게 학생 대하면 본인들 영역은 저절로 공교육 정상화될텐데요.

  • 4.
    '17.8.12 9:20 AM (211.243.xxx.128)

    연세 지긋한분의 사이다발언 100번찬성

  • 5. 후기
    '17.8.12 9:54 AM (211.205.xxx.119)

    감사합니다.

    여론 수렴해서 정시늘리고

    절대평가도 재고되길 바랍니다

  • 6. 1001
    '17.8.12 10:15 AM (211.206.xxx.11)

    호남 아니고 서울교대 공청회 즉 서울 경기권 공청회에요 제목 수정 부탁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4011 직장생활하는 미혼분들, 자녀분들 명절이라고 집에 돈 드렸어요? 8 도리 2017/10/01 2,368
734010 다욧트중인데 배고파 죽겠어요.ㅠㅠ 6 힘드네 2017/10/01 1,837
734009 쥐박이가 빼돌린 국민세금이 200조로 추정된대요 42 ... 2017/10/01 6,398
734008 인천공항도 먹을라고 하지 않았나요? 8 Bb67 2017/10/01 2,604
734007 남편이랑 그것이 알고싶다보고 고구마백개 18 ㅇㅇ 2017/10/01 6,805
734006 다스140억 이명박이 가져간돈요 9 그알 2017/10/01 2,369
734005 문재인과 함께 비를 맞겠다.권순욱.jpg 20 대통령만바뀌.. 2017/10/01 4,230
734004 성인 3식구 25평, 방 3 어찌 활용하세요? 6 넓게 살자 2017/10/01 3,568
734003 인천에 대한 이미지 궁금합니다. 23 ㅇㅇ 2017/10/01 8,882
734002 순하게생겨서 8 ... 2017/10/01 2,423
734001 쥐박이, 검찰, 언론들, 당시 한나라당 모두가 벌인 사기극이죠... 9 ... 2017/10/01 1,432
734000 주진우 기자보니 웃음이 터지네요. 34 그알보고 2017/10/01 13,139
733999 남편한테 서운한 맘 제가 이상한가요ㅠ 26 2017/10/01 6,336
733998 제발 저 새끼 좀 감방갔으면 좋겠네요. 4 둥둥 2017/10/01 1,707
733997 사기꾼을 대통령으로 뽑았네요. 63 사기꾼 2017/10/01 15,548
733996 오늘...그알이 어려우신분들~ 4 꼭보세요! 2017/10/01 2,506
733995 더러운 예수쟁이 장사꾼이 7 ........ 2017/10/01 1,996
733994 오랜만의 글쓰기... 5 2017/10/01 812
733993 BBK 이명박, 박영선 의원에게 "저게 미쳤나?&qu.. 2 ... 2017/10/01 3,900
733992 김경준씨, 감옥에서 7년동안 한국말 많이 늘었네요 9 ... 2017/09/30 4,930
733991 원고지 쓰기 잘 아시는 분~(질문요..) 3 궁금 2017/09/30 741
733990 다즐링(인도의 홍차 생산지) 지역 총파업 단상 5 theoph.. 2017/09/30 1,651
733989 진심 챙피하네요. 국격이 개차반됬네요 13 그것이알고싶.. 2017/09/30 6,002
733988 개산책하면 야경꾼된 기분이에요.ㅎ 12 나무 2017/09/30 3,500
733987 DEWY FRAM 이브렌드 혹시 아시는분 계시나요? 사과 2017/09/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