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펌)8.11 교육부 공청회 후기.

8.12 청계광장 함께해요 조회수 : 1,082
작성일 : 2017-08-12 08:51:07
'수능 절대평가를 철회하라' 요구하며 삭발
출처 : 연합뉴스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xRjUIeJ8

오전에 정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 및 대표님 삭발식이 있었습니다. 대표님 삭발 투혼에 감사드립니다. 지난번보다 많은 언론 매체들이 관심을 보였습니다.

오후에 다른 언론 매체로부터 요청이 와서 그곳에서도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그 후 서둘러 공청회장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우리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사걱세 회원들이 진을 치고 구호를 열창하고 있었습니다. 준비해간 피켓 등을 들고 우선 차분하게 패널들의 의견을 경청하였습니다.

패널들의 발언은 제가 전문을 올릴 수는 없으나, 아마 교육부에서 배포할 것이므로, 구해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1. 이찬승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전과목 절대평가 전환(2안)을 조건부 찬성한다.
여기서의 조건이란, 대입전형, 내신평가, 학생부, 학점제 도입, 교과서 편제, 고교체제라는 각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면밀히 검토한 후에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예상하지 못한 큰 부작용과 저항으로 개혁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 이찬승씨는, 수능과 내신의 상대/절대 여부와 5등급/9등급을 각각 조합한 시나리오 1, 2, 3, 4를 내놓고, 각 시나리오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습니다. 요지는, 내신 경쟁도 완화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수능 전과목 절평을 찬성한다는 것입니다(하지만 교육부에서는 내신 절대평가에 대해서는 한참 후에나 고려할 것이라고 하였으므로, 내신 경쟁이 완화되는 것은 요원한 일입니다.)

2. 송현섭 도봉고등학교 교감

제2안보다는 제1안에 찬성한다. 내신의 전면 성취평가제 도입도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해결해 나감이 바람직하다.

**** 이분은 완곡하게 수능 절대평가를 비판하였습니다.

3,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제1안(부분적 절대평가) 찬성

제2안에 대한 문제점 고찰
(1) 공정선발의 한계와 정시전형의 무력화
(2) 평생 가는 고교성적, 기회를 주는 정시인가?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시 정시조차도 교과에 의해 당락이 결정됨을 지적하고, 학생이 평생 바꿀 수 없는 교과 성적의 지배하에 있게 되는 문제점을 지적)
(3) 교사의 진학지도 한계
(4) 중학교에서의 사교육 활성화 우려 (고교 1학년 성적이 대입에 결정적인 역할을 차지하게 되므로, 중학교에서의 선행학습과 같은 사교육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아짐)
(5) 전반적인 사교육 우려 (수능 절대평가를 해도 수능에 대한 사교육이 줄지도 않음. 연도별 수능 난이도에 따른 등급변화가 심한 경우 재수욕구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

**** 안성진 성균관대 교수가, 나직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우리 부모들의 가슴 속에 맺힌 한을 풀어주는, 너무나도 정곡을 찌르는 사이다 발언을 계속하였으며, 이에, 우리 카페 회원들이 아닌 부모들로부터 먼저 시작하여, 쓰나미같은 함성과 환호와 박수 갈채가 터져나왔습니다. 가슴이 터질 것 같은 부모들의 환호와 갈채에 공청회장은 순식간에 교회 부흥회와도 같은 분위기로 급변, 그야말로 흥분의 도가니였습니다. 이때부터 고성이 난무하기 시작하였습니다(그 고성 중에는 저의 고성도 포함.....)

4. 김선희 좋은학교바른학부모회 회장

학업 하향평준화에 대한 우려
학생부를 기록하는 교사들 간의 격차가 두드러짐. 교내 활동의 수준은 고교별로 큰 역량 차이를 보이고 있음.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우려

**** 뭔가 절대평가와 학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듯 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정리가 안 되고 요지를 알 수 없는 발언이었습니다.

이후 의견개진 시간에는, 전교조 교사인 듯한 교사분들의 수능 경쟁 없애야 학교 교육이 정상화된다는 발언이 있었고, 우리 카페 카페지기님과 회원님 그리고 전(?) 회원님의 수능 절대평가 반대 의견이 있었으며, 그 외에 우리 회원이 아닌 다른 분들, 특히 어느 연세 지긋한 분의 사이다 발언이 있어(공교육 정상화 부르짖는 교사들아! 공교육을 정상화시키는 것은 바로 너희들이 할 일이었다. 수능이 도입되고 지금까지 십수년이 흘렀는데, 이제까지 무얼하고 이제와서 겨우 한다는 소리가 수능이 공교육을 망친다는 것이냐, 학생은 수능, 논술, 학생부, 이런 것들 중에 자기가 원하는 전형을 골라 대학을 갈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종의 엄청난 폐해도 주장 등), 이 때도 공감과 부모들의 함성이 터져 나왔습니다. 또한, 어떤 분은 재수 문제는 수능 정시가 아니라 평생학습이력제(?)로 해결하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언론에는 단지 "고성 난무"이렇게 네글자로 나왔지만, 실제 공청회장의 분위기는 부모들의 탄식과 열광이 교차하며 대단했습니다. 직접 그 자리에 계시지 않았던 분들은 그 분위기를 상상하기 어려우실 것입니다. 절대평가를 찬성하는 '리얼' 학부모님은 그자리에 단언컨대 한 분도 안 계셨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들이 외친 것이 우리들만의 절규가 아님을, 다른 부모들도 똑같이 이 문제에 공감하고 분노함을 느꼈습니다. 물론 언론에는 이런 모든 것이 단지 "고성 난무"로 일축되겠지만..

단언컨대 지금까지 한번도 정치적인 인간으로 살아온 적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일을 계기로 하여 왜 바른 정치가 필요한 지, 그것이 얼마나 우리의 삶과 밀접한 것인지, 사회가 돌아가는 원리를 탐구하는 것과 방관하지 않고 직접 참여하는 것이 왜 중요한 것인지, 아주 조금씩 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
8.12 오늘 오후 6시 청계광장 절대평가반대! 정시확대! 사시존치 !
궐기대회에 여러분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IP : 223.62.xxx.16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12 9:04 AM (221.139.xxx.166)

    생생한 현장 후기 잘 봤습니다.
    특히 공교육 정상화 부르짖는 선생들아~ 그 부분이 시원섭섭으로 공감됩니다. 선생들 그것들 뭐하는 건지...

  • 2. ^^
    '17.8.12 9:10 AM (39.112.xxx.205)

    이것들 또 알바라고 할라나?

  • 3. ...
    '17.8.12 9:13 AM (221.139.xxx.166)

    개선생들 30년전에도 있었지만, 요즘이 더 많은 듯.
    시험이 없어지면 공교육이 정상화되나?
    진짜 머리가 나쁜 건지.... 잘 가르치고 성의있게 학생 대하면 본인들 영역은 저절로 공교육 정상화될텐데요.

  • 4.
    '17.8.12 9:20 AM (211.243.xxx.128)

    연세 지긋한분의 사이다발언 100번찬성

  • 5. 후기
    '17.8.12 9:54 AM (211.205.xxx.119)

    감사합니다.

    여론 수렴해서 정시늘리고

    절대평가도 재고되길 바랍니다

  • 6. 1001
    '17.8.12 10:15 AM (211.206.xxx.11)

    호남 아니고 서울교대 공청회 즉 서울 경기권 공청회에요 제목 수정 부탁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1183 뇌경색 온 60대 홀시모... 58 어쩌나 2017/10/24 19,282
741182 칼퇴 계약직 하며 공무원 준비 가능할까요? 6 .. 2017/10/24 2,111
741181 나무빗으로 머리빗고 머리결 좋아졌어요~~ 5 우왕 2017/10/24 3,567
741180 아부지에 대한 추억.. 14 아버지 2017/10/24 2,106
741179 부츠 한사이즈 큰거 해결방법 있나요? 5 준비 2017/10/24 1,758
741178 아나운서 황수경 남편 출국금지 34 ㅇㅇ 2017/10/24 33,713
741177 "안철수 국정농단에 침묵"... 안민석 고발건.. 14 민주당을 지.. 2017/10/24 1,997
741176 고덕 주공 토박이셨던 분 아니면 97년쯤 고덕주공 사셨던 분 질.. 13 찾고싶어 2017/10/24 3,259
741175 순대 , 만두5개 먹고 배가 터질것같아요 8 정상인지 2017/10/24 2,219
741174 머드-사랑때문에 진흙같은데에서 못벗어나는분 보세요..ㅎㅎㅎ 5 tree1 2017/10/24 1,103
741173 남자들은 사귈때는 진심으로 헌신하는 여자를 우습게 21 2017/10/24 10,202
741172 막내는 나이를 먹어도 왜이렇게 애기 같이 느껴지나요? 8 막내 2017/10/24 2,367
741171 밝은색 코트 하나 봐주세요 8 이거 어때요.. 2017/10/24 2,352
741170 초등3학년..담임선생님..제가 처신을 어찌해야할까요.. 122 트와일라잇 2017/10/24 23,670
741169 문재인 대통령과 노동계 청와대 간담회 민주노총 불참 SNS 반응.. 4 ... 2017/10/24 1,227
741168 대만 여행 마지막날이에요 11 대만여행 2017/10/24 2,739
741167 이 나이에 다시 공부하고 싶은데 어떡하지요ㅠ 28 35세 엄마.. 2017/10/24 4,253
741166 노광일 씨 인터뷰 시작했어요 9 고딩맘 2017/10/24 2,295
741165 걷기운동할때 저처럼 발뒷꿈치 옆부분이 아프신분 계실까요? 4 긍정지니 2017/10/24 1,451
741164 이렇게 노동계 대우해 준 대통령 있었습니까? 19 ㅇㅁ 2017/10/24 1,983
741163 다크나이트 4 tree1 2017/10/24 980
741162 재산 431억 MB 청계재단, 장학·복지사업 지출 4억원도 안 .. 3 고딩맘 2017/10/24 1,165
741161 시조카 부조금 고민입니다 13 고민 2017/10/24 4,993
741160 인연 6 ..... 2017/10/24 1,981
741159 최시원네는 진짜.뻔뻔함이 도를 지나치네요. 14 보자보자하니.. 2017/10/24 7,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