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콩국수에 국수는 어떤 게 맛있어요?

... 조회수 : 2,291
작성일 : 2017-08-11 18:15:27
소면은 별로고 풀ㅇㅇ 생면 해봤는데
이 생면은 끓인후 씻으니까
맛이 이것도 별로예요.
풀ㅇㅇ은 온면으로 해먹어야 맛있네요.
여러분들은 어떤 국수 해서 드세요?
IP : 61.79.xxx.96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marco
    '17.8.11 6:19 PM (14.37.xxx.183)

    생면은 끓은 물의 온도를 많이 떨어뜨리기 때문에 물을 아주 넉넉히 잡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끓는 시간이 길어져서 불어 버립니다.
    생면무게의 10배이상의 물 20배면 더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차라리 건면을 쓰는 것이 수월합니다.
    건면은 무게의 10배면 충분합니다.
    어떤면이냐가 아니라 어떻게 삶느냐가 관건입니다...

  • 2. ,
    '17.8.11 6:23 PM (115.140.xxx.74)

    오래전 중국집에서 콩국수를 먹었는데
    면이 맛있더라구요.
    아마, 쫄면? 짜장면면? 둘중 하나였던걸로
    기억합니다.

  • 3. marco
    '17.8.11 6:28 PM (14.37.xxx.183)

    중국집 면솥이 엄청 큽니다.
    그리고 화력은 외식업종 가운데 가장 쎈것을 씁니다.
    그래서 면이 쫄깃하게 삶아지는 것이지요...

  • 4. **
    '17.8.11 6:31 PM (220.76.xxx.80)

    오 macro 님 전문가 포스가~~ 건면으로 하면 왠지 맛이 없을 것 같았는데, 오히려 더 수월하고 결국은 삶는 것이 관건이군요.

  • 5. marco
    '17.8.11 6:38 PM (14.37.xxx.183)

    콩국수처럼 차게 먹는 면은 봉지에 쓰여 있는 것보다 30-40초 정도 더 끓이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에 얼음물로 헹군다면 꼭 더 끓여야 딱 알맞는 식감이 됩니다...

  • 6. ...
    '17.8.11 6:45 PM (61.79.xxx.96)

    먹어보면서 면이 풀어졌다는 느낌나올때까지 삶은후 찬물에 씻었는데도 콩국에넣으니까 너무 질기게 빳빳하게 되더라구요

  • 7. marco
    '17.8.11 6:49 PM (14.37.xxx.183)

    온면 즉 잔치국수는 봉지에 쓰인 조리시간이 맞습니다.
    그러나 차게 먹는 면은 좀 더 끓여야 좋은 식감이 됩니다...

  • 8.
    '17.8.11 6:52 PM (116.125.xxx.180)

    칼국수면이 맛있어요

  • 9. marco
    '17.8.11 6:53 PM (14.37.xxx.183)

    또 한가지는
    집에서 쓰는 가스렌지 화력으로는
    건면으로 따지면 4인분 이상(사실 이것도 약간 무리이기는 하지만)
    400그램 이상 끓이면 맛있는 국수를 만들 수 없습니다...
    화력이 그 정도까지이기 때문입니다.
    시험삼아 물2리터에 소면 100그램정도 삶아 건져서 드새보세요...
    전혀 다른 면이 나옵니다...

  • 10. ....
    '17.8.11 7:01 PM (180.71.xxx.236)

    오뚜기 생소면으로하니 맛있었습니다

  • 11. 소면말고
    '17.8.11 7:30 PM (119.149.xxx.110)

    중면으로 해보세요.
    전 콩국수는 중면입니다.

  • 12. 우리는 수십년 오뚜기 중면
    '17.8.11 9:20 PM (218.154.xxx.155)

    오뚜기 중면으로하면 맛잇어요 우리는 소면은 절대 안사요 맛없어요
    오뚜기 중면 잘삶아서 하면 맛잇어요 제일 나아요 어느국수보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0879 스마트폰에 혁신은 어디까지일까요 3 스마트폰 2017/10/24 960
740878 캐시미어100% 코트 100만원이면 살 만 한가요? 3 질문 2017/10/24 2,782
740877 초등아이들 어떤 옷 입혀보내세요? 9 ... 2017/10/24 1,603
740876 천재들은 사랑도 평범하지 않을 거 같아요 15 궁금 2017/10/24 5,120
740875 초등 고학년 남아 옷 어디서 사나요 6 ... 2017/10/24 1,131
740874 옷 유행이 정말 빠르네요 7 2017/10/24 4,607
740873 방송에 나오는 연예인, 일반인 카메라 마사지 효과는 무엇일까요?.. 2 카메라 2017/10/24 2,257
740872 사랑의 온도 삽입곡 찾으셨던 분 3 좋아 2017/10/24 1,018
740871 자신을 위한 생일상 메뉴 추천부탁드려요 17 이제부터시작.. 2017/10/24 2,257
740870 항상 내걱정 하는 사람 11 .. 2017/10/24 3,580
740869 오사카 패케지인데 많이 걸을까요? 4 효도 2017/10/24 1,935
740868 문재인 대통령 최대의 욕이 이보세요가 아니랍니다 9 ... 2017/10/24 3,596
740867 물대포 맞은 손... 2 고딩맘 2017/10/24 1,323
740866 대체동 수시 면접 강사료 5 고 3 엄마.. 2017/10/24 1,789
740865 전업이신분들 ᆢ요리에 시간 얼마나 들이시나요 13 노력중 2017/10/24 3,635
740864 공부얘기 나와서..지금 어떤 공부들 14 공부얘기 2017/10/24 2,827
740863 위크앤드 인 파리 보신분 계세요? 영화 2017/10/24 768
740862 오래된 아파트 난방 툭하면 고장 4 지역난방 2017/10/24 2,342
740861 저는 개 만나는 것을 아주 많이 싫어합니다 13 샬랄라 2017/10/24 2,904
740860 시어머니가 전혀 몰랐대요.. 98 .. 2017/10/24 27,324
740859 자다깨서 우는 아들을 보며 8 자장 2017/10/24 2,681
740858 나 자신을 사랑하고 챙기기. . 위해 어떤 걸 하시나요? 32 호호 2017/10/24 7,326
740857 차량 1 Buy 2017/10/24 721
740856 주변에 재외 국민 특례로 대학간 경우 보셨어요 (조언절실해요) 14 .. 2017/10/24 4,555
740855 청산되지 않은 과거 1 지나가다가 2017/10/24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