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0년대 중반부터 선거방송에서 본 전라도 몰표의 추억

그렇다 조회수 : 620
작성일 : 2017-08-11 10:23:22

80년대 중반 무렵부터..선거방송을 보면 득표 추세 나오는데

전라도는 무조건 한 당  90% 넘는 몰표였었죠. 그리고 그 추세를 지역별로 두드러지게 강조하는 방송사의 의도적 그래픽

어떻게 저렇게 표가 획일적으로 나올 수 있나 무슨 공산당인가 하는 생각 가진 분들 많았을텐데

나중에 대학 들어가고서야 눈치를 챘네요

택시운전사 보면서 이제서야 고개 끄덕끄덕 하는 분들 많을듯

그런 세월을 살아낸 전라도였기에 너무나도 당연한 것, 내가 당신이 그때 그날 그곳에 살았더라면

나 같아도 그러지 않았겠습니까?

그렇게 지역주의의 희생자였으면서도 지역주의의 상징처럼 손가락질 받던 곳,

지금은 또다시 호남홀대의 희한한 프레임에 이용당하는 곳

다시금 깨닫습니다. 대한민국 정치의 진정한 발전은 지역주의부터 산산조각내야 한다는 것을..

그게 진정한 새정치의 시작이라는 것을요

IP : 125.177.xxx.5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17.8.11 10:26 AM (222.239.xxx.38)

    거긴 눈앞에서 사람을 죽였던 걸 목격했던 사람들이 사는 곳입니다.
    그걸 자행했고 또 옹호했던 당에는 표를 줄 수 없는 곳입니다.

  • 2. --
    '17.8.11 10:31 AM (125.179.xxx.41)

    불과 40년도 안된 일이에요. 유족들도 다 살아있고, 보고 겪은 이들이 다 살아있는...(사망자 빼고는..ㅠㅠ)
    절대 표를 주기가 어렵죠... 사과도 못받았고 여전히 호남을 이용하고 있는데요..

  • 3. 문재인 당선되면서
    '17.8.11 10:33 AM (211.243.xxx.4) - 삭제된댓글

    강고한 것 처럼 보였던 지역주의의 벽이 훅~얇아졌어요. 닭까기 이후 이번 대선처럼 탈지역화했던 적은 제 기억에는 없어요.
    앞으로도 계속 대구 경북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민주당이 우세를 지켜낸다면 한국에서 고질병인 지역주의는 아주 먼 과거의 얘기가 될 날이 그리 멀지 않아요.
    그 가능성을 엿보게한 것이 이번 대선이 거둔 최대의 성과라고 감히 얘기해요.

  • 4. ....
    '17.8.11 10:44 AM (125.186.xxx.152)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사과, 보상 없이
    지역주의 없애자고 하는것은
    일본위안부협상과 똑같은거죠.
    오히려 호남의 상처가 제대로 알려져서 공감대가 넓어져야...지역주의가 없어져요.

  • 5. 지역주의를
    '17.8.11 10:48 AM (125.177.xxx.55)

    없애자고 하는 것은 지역차별을 없애자는 것입니다
    적폐세력이 암암리에 우리 국민의 정서에 퍼뜨려왔던 호남차별과 정서를 우리 주변에서 지워내고
    정의롭고 공정한 나라를 다시 세워나가는 길....그동안 있었던 호남차별을 기록하는 것은 당연히 역사에 남겨야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 길이기에 두말할 필요도 없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6056 중학교 1학년인데 과학도 선행해야 되나요? 중1 과학 .. 2017/10/09 913
736055 저도 휴게소 화장실에서 황당한 경험.. .. 2017/10/09 1,937
736054 소득 5천만원에 집 10채, 빚이 7억.."유동성 줄면.. 1 민폐종자들 2017/10/09 2,941
736053 억지쓰는 남에게 호되게 무안당한 경험 9 내지 2017/10/09 2,416
736052 과외나 학원 보내는 분들께 여쭙니다. 7 열흘전으로 2017/10/09 2,188
736051 내 집 6 1억 2017/10/09 1,608
736050 아기고양이는 언제즘.... 4 양이 맘 2017/10/09 1,259
736049 부모님 아이들까지 3대 해외가족여행 가보신분 어디로 가셨었나요?.. 17 청순가련하게.. 2017/10/09 3,578
736048 만성빈혈로 살았는데 중년 들어서 빈혈 증상으로 괴로운 분? 4 how 2017/10/09 2,708
736047 영양제 무엇을 먹어야 할까요? 3 눈떨림 2017/10/09 1,370
736046 드롱기 반자동머신. 2 거래할려구요.. 2017/10/09 1,259
736045 달콤한 원수 재미있나요? 12 ... 2017/10/09 1,826
736044 (추가)조금 부담스러운 언니 38 ..... 2017/10/09 14,377
736043 살고 있는집 도배 가능할까요? 8 .. 2017/10/09 2,620
736042 갑자기 자라 옷에 꽂혔네요 9 나후져진거야.. 2017/10/09 4,315
736041 잇몸치료할 때 스케일링을 하고 잇몸치료를 하나요? 4 때인뜨 2017/10/09 2,338
736040 유용한 자격증 뭐가 있을까요? 2 자격증 2017/10/09 2,089
736039 알츠하이머 초기에서 중기로 넘어가는 심각한 환자인데 5 ... 2017/10/09 2,146
736038 얼마 후 친정아빠 칠순인데 8 ㅇㅇㅇㅇ 2017/10/09 2,634
736037 동서랑 언제쯤 나눠하면 될까요? 31 제사음식 2017/10/09 6,240
736036 50 대분들 체중변화 없어도 바지 사이즈도 커지나요? 10 노화 2017/10/09 4,144
736035 금요일에 연대 5 도움주세요 2017/10/09 1,216
736034 보그맘 어때요 6 2017/10/09 2,838
736033 사골국 색깔이 검어요 3 열심엄마 2017/10/09 1,720
736032 나이먹고 결혼안한 남자 실제로 주위에있으신분. 28 ..... 2017/10/09 14,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