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목사님 스님들에게 과세를 하다니요

귀리부인 조회수 : 3,841
작성일 : 2017-08-10 01:14:03
목사님 스님 소득에 대해 과세 당연합니다.
그런데 말이죠 그 분들 명목 소득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일반 목사님 신부님 스님들 월급이 얼마나 되겠냐구요.아마도 과세기준 아래거나 최저과세구간소득자들이 대부분일겁니다.

그렇다면 일부 잘나가는 목사와 스님들이 과세타겟인데 말이죠.
이 분들이 월급으로 삽니까? 그렇지 않을겁니다. 기압회장님들 뺨치게 각종 다른 명목으로 비용차리되는 암암리에 묵인되는 부분이 있을겁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건 정말 종교인 개개인에 대한 과세보다 사실 더 중요한문제인데 개인 과세도 과세지만 교회와 사찰들의 소득과 재산 그리고 사용에 대한 문제와 과세검토입니다. 주위를 돌아보세요 내가 서 있는 지점에서 반경 1킬로내만 하더라도 얼마나 많은 교회들이 있으며 우리 구에 아니 동에는 큰 교회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 교회와 사찰들 명의로 된 땅과 건물 심지어 주식 채권들까지...

고려말 조선초에도 하도 사찰과 스님들의 숫자가 늘어나고 사찰에서 주택이고 농경지고 사들여 묶어 두는 바람에 백상들은 소작농으로 전락하는등 사회문제가심각해지자 사찰들이 소유하고 있던 땅과 재산을 몰수하고 승려시험을 만들어 승려들의 수를 조절하고 관리하기에 이릅니다. 지금 시대에 교회와 사찰들이 축적한 부동산과 재산들을 강제로 몰수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종교인 개개인에 대한 과세뿐 아니라 교회와 사찰들 자체의 소득과 재산에도 과세하여야 마땅하다고 봅니다.
IP : 211.49.xxx.177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10 1:15 AM (39.112.xxx.205)

    불로소득인가요?그럼?
    저 엄청난 헌금들요.

  • 2. 종교
    '17.8.10 1:25 AM (180.69.xxx.123)

    진짜 교회땅 사찰땅 세금만 해도
    육아보육비 충당 하고도 남겠네요
    교회소유 땅 건물 사업체 공동체랍시고
    기부금받고 돈버는 일들

    이렇게 다 걷어들이면
    아주 풍족한 대한민국이 되겠어요
    포퓰리즘으로 시작한 정부니까
    세금을 여기서 충당해서 쓰면
    국민들이 환호성을 지를겁니다

  • 3.
    '17.8.10 1:43 AM (175.223.xxx.134) - 삭제된댓글

    이거 반어법이죠?
    국민일보도 여의도 순복음 거고
    웬만한 기업 지분 대형 세습 교회가 다 가지고 있어요

    길가면서 보세요
    교회 건물이 제일 크고 화려하죠

  • 4. 왜들이러나
    '17.8.10 2:03 AM (125.177.xxx.147)

    아파트 들어설때 이미 한자리 먹고 들어오는 교회들 부지기수
    기업이잖수

  • 5. ..
    '17.8.10 2:07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목사, 스님들 카지노 들락거리는 거.
    일단 재정운영이 투명하지 않아, 그 돈이 목사, 스님 주머니로 흘러갔다는 증거.
    둘째, 목사, 스님 돈이 너무 많다는 거.
    목사, 스님도 연봉만 가져가게 하고, 교회, 절 돈에는 일절 손 대지 않고.
    들어온 수입에 대해서는 운영 관련 세금 공제 받고 나서, 나머지 순이익?에 대해서는
    회사처럼 세금 내야죠.
    교회, 절의 공동체 기여도가 낮고, 헌금장사, 신도장사하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고 싶지가 않아요. 장사했으면 그 이익은 국가에 내야한다는 생각뿐.
    그거라도 해서 공동체에 기여했으면.

  • 6. .....
    '17.8.10 2:09 AM (121.174.xxx.144) - 삭제된댓글

    천천히 진행 하겠죠..... 기다려봅시다요.. 첫술에 배부를순 없잖아요....

  • 7. ..
    '17.8.10 2:10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목사, 스님들 카지노 들락거리는 거.
    일단 재정운영이 투명하지 않아, 그 돈이 목사, 스님 주머니로 흘러갔다는 증거.
    둘째, 목사, 스님 돈이 너무 많다는 거.
    목사, 스님도 연봉만 가져가게 하고, 교회, 절 돈에는 일절 손 대지 않고.
    들어온 수입에 대해서는 운영 관련 세금 공제 받고 나서, 나머지 순이익?에 대해서는
    회사처럼 세금 내야죠.
    교회, 절의 공동체 기여도가 낮고, 헌금장사, 신도장사하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고 싶지가 않아요. 장사했으면 그 이익은 국가에 내야한다는 생각뿐.
    그거라도 해서 공동체에 기여했으면.
    우리 사회가 힘든 이유가 사회의 공동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는데,
    종교가 제 역할을 했으면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을 리 있나요?
    그 넓은 교회당, 절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쓰인 적이 없고,
    교회당의 그 넓은 주차장에서 공동체의 화합과 지속에 기여한 적이 없죠.
    그리고, 교회당, 절의 건축과 땅 부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과세도 없고..

  • 8. ..
    '17.8.10 2:13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목사, 스님들 카지노 들락거리는 거.
    일단 재정운영이 투명하지 않아, 그 돈이 목사, 스님 주머니로 흘러갔다는 증거.
    둘째, 목사, 스님 돈이 너무 많다는 거.
    목사, 스님도 연봉만 가져가게 하고, 교회, 절 돈에는 일절 손 대지 않고.
    들어온 수입에 대해서는 운영 관련 세금 공제 받고 나서, 나머지 순이익?에 대해서는
    회사처럼 세금 내야죠.
    교회, 절의 공동체 기여도가 낮고, 헌금장사, 신도장사하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고 싶지가 않아요. 장사했으면 그 이익은 국가에 내야한다는 생각뿐.
    그거라도 해서 공동체에 기여했으면.
    우리 사회가 힘든 이유가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는데,
    종교가 제 역할을 했으면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을 리 있나요?
    그 넓은 교회당, 절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쓰인 적이 없고,
    교회당의 그 넓은 주차장은 공동체의 화합과 지속에 기여한 적이 없죠.
    오직 신도 유치? 에만 쓰이고. 일요일 그 하루, 주중 저녁 하루이틀.. 그 시간을 위해 황금 노다지 땅에 주차장을 운영중이죠. 주민에 오픈도 안 합니다.
    그리고, 교회당, 절의 건축과 땅 부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과세도 없고..

  • 9. ..
    '17.8.10 2:14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목사, 스님들 카지노 들락거리는 거.
    일단 재정운영이 투명하지 않아, 그 돈이 목사, 스님 주머니로 흘러갔다는 증거.
    둘째, 목사, 스님 돈이 너무 많다는 거.
    목사, 스님도 연봉만 가져가게 하고, 교회, 절 돈에는 일절 손 대지 않고.
    들어온 수입에 대해서는 운영 관련 세금 공제 받고 나서, 나머지 순이익?에 대해서는
    회사처럼 세금 내야죠.
    교회, 절의 공동체 기여도가 낮고, 헌금장사, 신도장사하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고 싶지가 않아요. 장사했으면 그 이익은 국가에 내야한다는 생각뿐.
    그거라도 해서 공동체에 기여했으면.
    우리 사회가 힘든 이유가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는데,
    종교가 제 역할을 했으면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을 리 있나요?
    그 넓은 교회당, 절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쓰인 적이 없고,
    교회당의 그 넓은 주차장은 공동체의 화합과 지속에 기여한 적이 없죠.
    오직 신도 유치? 에만 쓰이고. 일요일 그 하루, 주중 저녁 하루이틀.. 그 시간을 위해 황금 노다지 땅에 주차장을 운영중이죠. 주민에 오픈도 안 합니다.
    그리고, 교회당, 절의 건축과 땅 부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과세도 없고요.
    인근 양극화된 주민들간의 상부상조, 교육 프로그램, 복지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는데도 전무합니다.

  • 10. ..
    '17.8.10 2:15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목사, 스님들 카지노 들락거리는 거.
    일단 재정운영이 투명하지 않아, 그 돈이 목사, 스님 주머니로 흘러갔다는 증거.
    둘째, 목사, 스님 돈이 너무 많다는 거.
    목사, 스님도 연봉만 가져가게 하고, 교회, 절 돈에는 일절 손 대지 않고.
    들어온 수입에 대해서는 운영 관련 세금 공제 받고 나서, 나머지 순이익?에 대해서는
    회사처럼 세금 내야죠.
    교회, 절의 공동체 기여도가 낮고, 헌금장사, 신도장사하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고 싶지가 않아요. 장사했으면 그 이익의 일부는 국가에 내야한다는 생각뿐.
    그거라도 해서 공동체에 기여했으면.
    우리 사회가 힘든 이유가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는데,
    종교가 제 역할을 했으면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을 리 있나요?
    그 넓은 교회당, 절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쓰인 적이 없고,
    교회당의 그 넓은 주차장은 공동체의 화합과 지속에 기여한 적이 없죠.
    오직 신도 유치? 에만 쓰이고. 일요일 그 하루, 주중 저녁 하루이틀.. 그 시간을 위해 황금 노다지 땅에 주차장을 운영중이죠. 주민에 오픈도 안 합니다.
    그리고, 교회당, 절의 건축과 땅 부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과세도 없고요.
    인근 양극화된 주민들간의 상부상조, 교육 프로그램, 복지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는데도 전무합니다.

  • 11. ..
    '17.8.10 2:18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목사, 스님들 카지노 들락거리는 거.
    일단 재정운영이 투명하지 않아, 그 돈이 목사, 스님 주머니로 흘러갔다는 증거.
    둘째, 목사, 스님 돈이 너무 많다는 거.
    목사, 스님도 연봉만 가져가게 하고, 교회, 절 돈에는 일절 손 대지 않고.
    들어온 수입에 대해서는 운영 관련 세금 공제 받고 나서, 나머지 순이익?에 대해서는
    회사처럼 세금 내야죠.
    교회, 절의 공동체 기여도가 낮고, 헌금장사, 신도장사하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고 싶지가 않아요. 장사했으면 그 이익의 일부는 국가에 내야한다는 생각뿐.
    그거라도 해서 공동체에 기여했으면.
    우리 사회가 힘든 이유가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는데,
    종교가 제 역할을 했으면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을 리 있나요?
    그 넓은 교회당, 절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쓰인 적이 없고,
    교회당의 그 넓은 주차장은 공동체의 화합과 지속에 기여한 적이 없죠.
    오직 신도 유치? 에만 쓰이고. 일요일 그 하루, 주중 저녁 하루이틀.. 그 시간을 위해 황금 노다지 땅에 주차장을 운영중이죠. 주민에 오픈도 안 합니다.
    그리고, 교회당, 절의 건축과 땅 부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과세도 없고요.
    인근 양극화된 주민들간의 상부상조, 교육 프로그램, 복지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는데도 전무합니다.
    절은.. 건축비 절반이 국가돈이죠. 절 건축이 전통문화 보존입니까? 절이 국가와 공동체에 뭔 기여를 하나요? 고려적 포교 수준의 종교서비스에 머물러 .. 피폐해준 현대인의 영혼과 삶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까요? 종교가 간절히 필요로 할 때 존재의 가치를 증명하지 못한 근무태만한 세력입니다.

  • 12. ..
    '17.8.10 2:25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목사, 스님들 카지노 들락거리는 거.
    일단 재정운영이 투명하지 않아, 그 돈이 목사, 스님 주머니로 흘러갔다는 증거.
    둘째, 목사, 스님 돈이 너무 많다는 거.
    목사, 스님도 연봉만 가져가게 하고, 교회, 절 돈에는 일절 손 대지 않고.
    들어온 수입에 대해서는 운영 관련 세금 공제 받고 나서, 나머지 순이익?에 대해서는
    회사처럼 세금 내야죠.
    교회, 절의 공동체 기여도가 낮고, 헌금장사, 신도장사하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고 싶지가 않아요. 장사했으면 그 이익의 일부는 국가에 내야한다는 생각뿐.
    그거라도 해서 공동체에 기여했으면.
    우리 사회가 힘든 이유가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는데,
    종교가 제 역할을 했으면 사회 공동의 가치가 없을 리 있나요?
    그 넓은 교회당, 절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쓰인 적이 없고,
    교회당의 그 넓은 주차장은 공동체의 화합과 지속에 기여한 적이 없죠.
    오직 신도 유치? 에만 쓰이고. 일요일 그 하루, 주중 저녁 하루이틀.. 그 시간을 위해 황금 노다지 땅에 주차장을 운영중이죠. 주민에 오픈도 안 합니다.
    그리고는 교회당, 절의 건축과 땅 부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과세도 없고요.
    인근 양극화된 주민들간의 상부상조, 교육 프로그램, 복지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는데도 전무합니다.
    절은.. 건축비 절반이 국가돈이죠. 절 건축이 전통문화 보존입니까? 절이 국가와 공동체에 뭔 기여를 하나요? 고려적 포교 수준의 종교서비스에 머물러 .. 피폐해준 현대인의 영혼과 삶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까요? 종교가 간절히 필요로 할 때 존재의 가치를 증명하지 못한 근무태만한 세력입니다.
    목사가 일요일날 정권 비판조로 설교하면 표가 우수수 떨어나가니까, 그거 하나 때문에.. 지금 하나님의 나라를 지금 이땅에도 세울 수 있는데도, 있는지 없는지도 모를 저세상에 좋은 자리 분양받아 죽어서 가겠다고.. 종교인과 교회만 반질반질 닦아주고 넓혀 있어요.

  • 13.
    '17.8.10 4:01 AM (112.161.xxx.58)

    천주교는 그나마 재단(?)이 노후보장까지 해준다던데...
    목사와 스님들, 특히 스님들은 노후보장 힘든걸로 알아요.
    특정 대형교회 목사같은 케이스만 잡으면 될거같은데...
    일괄적으로 해결할일은 아닌거같아요. 전 무교입니다.

  • 14. 솔로몬 ^^
    '17.8.10 5:35 AM (125.180.xxx.160) - 삭제된댓글

    고액헌금하는 신자들에게 양도세 같은 걸 내게 해야죠.

  • 15. 별걱정을
    '17.8.10 6:31 AM (59.5.xxx.186) - 삭제된댓글

    소득세 구간이 있는데 목사, 스님도 그 기준에서 내는데
    뭐갚문제인가요? 비과세 구간인 사람은 안내면 ㄷ실테고
    고소득자는 내면되고.

  • 16. ....
    '17.8.10 7:36 AM (1.227.xxx.251)

    함 까봅시다
    너무 신비주의였잖아요
    검소한 분들은 무슨 걱정이겠어요. 자식 유학보내고 호화생활하던 일부 대형교회 세습목사들이 떨리겠죠

  • 17. 별걱정을
    '17.8.10 7:59 AM (59.5.xxx.186)

    다하십니다 그려.
    일반인들처럼 소득세 내는 구간을 기준으로 과세할텐데
    구간 아래면 비과세일테고,
    소득이 있는 곳에 과세 당연한거 아닌가요?
    도대체 왜 때문에 비과세였는지 이해가 안되는데 잘 준비해서 조속히 시행되기를 바랍니다.

  • 18. 나나
    '17.8.10 9:14 AM (125.177.xxx.163)

    저 기독교신자인데
    종교계 과세 적극 찬성입니다
    종교인 개인과 종교 단체 시설 모두에 다 꼼꼼하게 과세해야한다고 봅니다!!

  • 19. 꿈꾸며~
    '17.8.10 9:14 AM (112.95.xxx.157)

    그들은 우리나라 국민 아닌가요?
    그동안 안한걸 너무 당연시 생각하네요.
    정말 검소하신 분들도 많지만 아닌분들이 훨씬 많죠.
    정권의 권력이따라 움직이는 양심없는 종교인들도 있었고,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이번기회에 잘 준비해서 조속히 시행되기를 바랍니다.

  • 20. ^^
    '17.8.10 9:15 AM (39.115.xxx.243)

    김어준이 오늘 뉴스공장에서 한 말이예요 한 사람이 예수님께 "우리도 세금을 내는게 맞습니까? " 하니 예수님께서 "가이샤의 것은 가이샤에게 라고 하신말씀 저도 맞다고 생각해요

  • 21. ....
    '17.8.10 11:25 AM (1.227.xxx.251)

    뉴스공장
    카이사르 것은 카이사르에게...예는 좀 잘못된것같아요 들으면서 아 저건 아닌데 털보 했음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3703 작업거는 여자와 넘어가는 남자 8 글쎄요 2017/09/29 3,490
733702 부모님 안계신 데 사람들이 물어보면 18 ㅇㅇ 2017/09/29 4,773
733701 관계가 너무 하기싫은데 남편의 요구 52 2017/09/29 31,465
733700 건물이나 상가 소유하면 연 세금은 얼마나 3 나오나요? 2017/09/29 2,529
733699 노견과의 이별준비 22 강아지 2017/09/29 5,027
733698 어서와 한국은 첨이지에 이다도시나 로버트할리도 나오면 좋겠어요 7 ㅇㅇ 2017/09/29 3,242
733697 당신 동생은 도련'님'인데 내 동생은 왜 그냥 '처남'이야? 16 ㅎㅎㅎ 2017/09/29 4,046
733696 [펌] 정치신세계 주진우편, 많이 퍼뜨려주세요. 9 흠.... 2017/09/29 1,662
733695 신형 모닝, 야간에 불빛때매 미치겟네요 6 cakflf.. 2017/09/29 2,758
733694 내용은 펑합니다 32 ... 2017/09/29 8,174
733693 정신건강의학과의원? 다니는 중인데요. 5 ... 2017/09/29 1,921
733692 연휴중 강원도 길 안막힐까요 4 모모 2017/09/29 1,310
733691 키위를 먹었는대 혓바닥이 얼얼해요.. 8 아프당. 2017/09/29 3,263
733690 노란색 계열 화운데이션 추천 부탁~ 4 ..... 2017/09/29 1,431
733689 참여정부 국정홍보처 댓글 vs MB 국정원 댓글 비교해보니 3 고딩맘 2017/09/29 782
733688 자기 시어른 다 돌아가신 시누이..계신분!!! 9 명절재앙 2017/09/29 3,963
733687 피부색 누런 분들 파운데이션 종류 어떤 거 바르시나요? 9 질문 2017/09/29 3,277
733686 해석 좀 부탁드려요.. 6 궁금 2017/09/29 472
733685 학원들이 시험기간엔 몇주간 내신공부만 시키나요? 4 보통 2017/09/29 1,792
733684 정말 어이없는 지인 남편(맞벌이가사분담) 3 .. 2017/09/29 2,693
733683 호텔이나 게스트하우스냐 결정장애.. 6 ㅠㅠ 2017/09/29 1,369
733682 소음에 예민하신 분은 제주신라 꼭 마운틴뷰로 6 스트레스 2017/09/29 2,823
733681 주변에 해외 여행가신분 7 2017/09/29 2,388
733680 명절음식은 주로 누가 먹나요? 12 명절 2017/09/29 3,357
733679 연휴에 아이와 오롯이 둘만 있는 집 있나요? 2 오롯이 2017/09/29 1,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