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에게 학업의 중요성 어떻게 조언하시는지요

아진 조회수 : 1,781
작성일 : 2017-08-09 07:21:12
중1딸 요새 사춘기 생각도 많아지고 친구좋아하고 외모에 아주 지대한 관심보이죠

공부는 적당히 하면 되지않아 엄마? 되묻고 공부의 필요성 알긴알지만 전과목을 그리 열심히 달달 외울 머리도 욕심도 안나 그럽니다

초등때는 같이 앉아서 끼고 공부하고 단원평가 시험공부는 닽달외우고 문제집 진짜열심히 해서 거의 틀리는게 없었어요
외우고 반복하는 것을 엄마가 인도할때 잘 따라와 주었죠

그런데 이제 중학교에 오니 초등때처럼 꼼꼼히 문제집을 풀고 외우는거 자신없고 꼭 이렇게까지 해야되냐 반문하는데

저는

누구나 자신의 역할이 있다 . 학생때는 학업이 그 역할이고
그때의 성적이 너의 청소년기의 성실성을 보여준다
... 로 얘기를 했는데
맞는 말씀인데 자기는 최선을 다해 달달외우고 공부할자신은 좀 없고 어쩌고 .. 합니다

학업의 필요성 당위성 설명 설득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180.68.xxx.18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 경우
    '17.8.9 8:50 AM (223.33.xxx.247)

    저는 공부를 엄청 못했다가 갑자기 올라가 서울안에 있는 대학을 갈 수 있었어요. 선생님이 엄마에게 전국에 얘가 갈 대학이 없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저는 사실 갑자기가 아니라 어떤 계기가 있었어요. 아 내가 핟교에선 그냥 쓰레기구나. 하는. 그걸로 공부 시작했는데 첨엔 성적도 안오르고 같은 날라리인데 공부만 하니 우스워보였을거 같아요
    어쨌든 몇개월 바지가 구멍나게 앉아있으니 성적이 학기가 넘어가니 일등이더라구요.
    그 뒤로는 그냥저냥 오육등이지만
    전 그 경험을 늘 이야기 해줬어요.
    그때 내 옆에 이쁘게 화장하고 공부 안하던 애들 (지금이야 전부 그러지만 ) 대학때 만났는데 그땐 그렇게 예쁘더니 그저그런거에요.
    그리고 그때 만났던 남자애들하고는 다 헤어지고
    지금은 서로 어찌 사는지도 모르고 살고 그렇겠죠.
    그러니까 인생에 노력해야 할 스팟이 몇개 있는데
    그 부분을 놓치면 안될거 같다고 말했어요
    지금은 얼굴도 기억안나는 남자애들때문에. 그리고 화장품은 좋은거 계속 나오고 나중에 훨씬 더 잘 할수 있고 하여간 지나고 나면 사소한 모든것을 중요하다 생각한 사람들은 나중에 살이 달라지더라구요
    인생에 뭐가 중요한지 어느때가 중요한지
    니가 지금 모양내고 친구 만나더라도 생각하고 살자구요
    우리애도 저 닮았는지 막판에 오개월이 눈이 진무르게 공부하더니 처음엔 어느대학도 안뜨더니 서울안에 그래도 중간은 가는 대학 갔어요.
    걔는 애 낳으면 그렇게 말해줄거래요
    노력엔 양이 있어야 한다고 천재가 아닌한은
    그래서 어짜피 고생은 해야 하니까 나눠서 하라고요. ㅎㅎ
    진짜 힘들었나봐요. 엉덩이 터지고 이불이 피투성이 되고그랬거든요
    수재도 아니고 영재도 아니고
    그냥 보통의 아이는 어느정도 양이 채워져야 해요
    그 양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사람과 아닌 사람이 차이가 없으면 되겠어요
    노력은 중요해요.
    그러나 저 같으면 예쁘게 꾸미는거 외모도 자신감의 하나라 생각해요. 사실 공부할때 아빠가 안경말고 렌즈로 바꿔주신것도 한몫했었어요
    어쨌든 자신을 위해 외모던 공부던 노력하지 않으면 일반인은 얻을수 있는게 없으니까 그런 부분을 늘 이야기 했었어요

  • 2. 제 경우
    '17.8.9 8:52 AM (223.33.xxx.247)

    아. 이게 학업을 필요성 이야기군요.
    어쨌든 그건 대학을 가고 나면 다 알게 되요.
    갑자기 같이 공부하던 친구랑 여러가지로 갭이 생기니까요.
    사회 나가보면 또 틀려지구요.
    그걸 또 알고 노력하는 사람과 아닌 사람이 차이가 생기죠.
    그런데 그걸 대학 가기전에 안다면 얼마나 도움이 되겠어요. 대학의 수준차이가 그정도의 크기라는거요.
    사실 가기전엔 가기가 바쁘잖아요.
    전 그랬거든요.
    대학 간다음에 하아 이런 차이가 있는지 진작 알았다면. 이런 느낌으로 확 와닿는걸 진작 알았다면 진작 공부했지. 싶더라구요.

  • 3. .....
    '17.8.9 9:49 AM (121.157.xxx.240)

    저는 우리애한테 ---이놈아, 공부는 평생해야 하는게 공부야...엄마봐라 지금도 공부하잖니...
    세상의 지식을 배우고 익히는거 재미있어~~ 그렇게 재미있으려면 학생때부터 공부하는 습관을 익혀야 함.
    중고딩때 지식은 모든 분야의 기초가 되는 지식이고 어느 분야에 종사하든 창의적으로 일하려면 그정도 지식은 항상 필요한거임.....문학과 수학이 다르지 않어....수학도 자연원리 인간삶의 원리를 말하고 있는거다...이놈아....공부보다 더 중요한건 잘 먹고, 잘 자고 , 네 육체를 돌보는거다....인스턴트 먹지마라...그럽니다....

  • 4. .....
    '17.8.9 9:52 AM (121.157.xxx.240)

    이놈아....성적에 연연하지 마라,,,,성적은 네가 그걸 이해했는지 점검하는 과정이지 ,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문제는 네 벼락치기 공부습관이다.... (이런말할때는 단호하게 하게 되니, 호칭이 이놈아~~입니다. 평소에는 ~우주에서 가장 완벽한 생명체야~입니다.)

  • 5. ....
    '17.8.9 10:22 PM (59.29.xxx.126)

    제 경우님 조언 감사합니다. 와닫게 쉽게 설명 해 주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7111 이 정부 하는 일마다 참 대단하네요 65 ㅇㅇ 2017/08/10 5,599
717110 여드름 약국 약 추천바랍니다 6 2017/08/10 1,897
717109 시터 이모님 자녀분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좋을까요? 29 00 2017/08/10 4,731
717108 이 고전영화 제목 아시는분 계실까요? 5 궁금 2017/08/10 880
717107 어릴 때 호기심 많고 말썽꾸러기였던 애들이 커서 공부 잘하나요?.. 15 궁금 2017/08/10 2,481
717106 박기영님 임명으로 시끄럽지만 전 달님을 믿습니다. 14 ... 2017/08/10 988
717105 장충기 문자 사건은 볼수록 어이가 없지 않나요? 5 heart 2017/08/10 797
717104 다주택자( 갭투자 )가 없어지려면 전세제도가 없어져야 해요 25 dma 2017/08/10 2,442
717103 모조에스핀같은 브랜드중 좀 더 심플한 브랜드 없을까요? 1 30대 후반.. 2017/08/10 1,609
717102 밥국그릇 추천 부탁드립니다. 7 그릇 2017/08/10 1,118
717101 압구정동에 칼국수 맛있게 하는 집 있나요? 6 칼국수 2017/08/10 1,130
717100 집 값이 떨어지면 왜 전세가가 오르나요? 21 무식 2017/08/10 3,446
717099 헬스하고 있는데 팔뚝이... 승모근이... 7 헬스 2017/08/10 2,917
717098 예전에 스마트폰을 Tv에 연결하여 영화나동영상 보는방법 어떻게 .. 1 ㅇㅇ 2017/08/10 589
717097 국민건강보험은 외국인은 제외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9 ㅇㅇㅇ 2017/08/10 1,768
717096 집 필리게 하는 무슨 속설이 있었는데.. 14 ㅡㅡ 2017/08/10 3,051
717095 당신이라면 호주vs 뉴질랜드, 어느쪽을 선택 하시렵니까? 9 .... 2017/08/10 2,499
717094 호주 시드니 지금 날씨 어떤가요? 6 하늘꽃 2017/08/10 1,106
717093 1구 인덕션의 가격차이만큼 어떤가요? 4 .. 2017/08/10 1,994
717092 편식심한 5세 어린이. 비타민 추천해주세요 3 모모 2017/08/10 700
717091 미역국에 미역이 뻣뻣해요ㅜㅜ 11 미역 2017/08/10 1,863
717090 정관수술 여름에 하면 덧나는 수술인가요? 4 정관 2017/08/10 1,628
717089 그럼 실비 보험 없어도 되나요? 13 2017/08/10 5,764
717088 중 1 용돈 얼마가 적당한지요 7 푸드리 2017/08/10 2,352
717087 미네랄 주사도 급여가 될까요? 2 000 2017/08/10 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