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부에서 전세제도를 없애면 안될까요?

조회수 : 1,936
작성일 : 2017-08-08 02:54:05
갭투자의 방법 또는 집값상승의 원인이 전세제도 아닌가요?
집값도 하락하고 세수도 많이 확보하는 방법이 전세제도를 없애면 되죠
정부에서 복잡한정책 만들지만 전세제도라는걸 없애는게 차라리 그게 더나을것같은데요
잠깐의 여파가 크겠지만 집값 안정화를 위해서는 그게 낫지 않을까요
IP : 175.192.xxx.45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어려워요
    '17.8.8 3:01 AM (211.218.xxx.143)

    대신 공공 임대아파트를 대량 공급하고,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시키고, 지방 국립대학을 육성시키면
    집값이 안정될 겁니다.
    특히 공공 임대아파트만 많이 공급하면 집사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 거예요.

  • 2.
    '17.8.8 3:08 AM (175.192.xxx.45)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보내도 기숙사 따로 마련돼있고요
    지방국립대던 어디던 학생수가 줄어들고 지방대 대다수가 부실대학으로 평가가 안좋아요
    나같아서도 지방대말고 인서울 갈껀데 우리나라의 뿌리깊은 인서울대학 사랑이 과연 없어질까요
    공공임대 아파트는 사실상 저소득층 소외계층 우선이지 일반사람들은 거의 되기도 힘들뿐더러 우리나라 정서상 우리동네에서 임대 반대많이하죠
    아예 나라가 민간기업처럼 동네를 크게 재개발처럼 임대를 만들면 모를까 특히 서울땅에서 그러기 쉽지가않죠

  • 3.
    '17.8.8 3:46 AM (46.92.xxx.211) - 삭제된댓글

    전세제도 없어지면 집 없는 사람은 한달에 100만원, 200만원 이상 월세 내면서 살라구요?
    저야 집 있고 소형아파트 한채 더 구입해서 월세 받을 생각이라 땡큡니다만 전세제도 없어지면 집 없는 사람들에겐 헬게이트 열리는 겁니다.
    해외 거주 중인데 여기 사람들 보면 맞벌이해서 한사람의 월급은 월세로 날라갑니다.

  • 4. 인서울 대학
    '17.8.8 4:32 AM (211.218.xxx.143)

    졸업해도 취업에 별도움 안돼요.
    요즘은 지방에서 인서울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외국 유학을 가는 학생들이 늘고 있어요.
    웬만큼 사는 집에서는 다 유학보내요.
    유학중 같이 살거나 서로 집을 왕래해서 그런지 유학 동창들 사이가 돈독해요.
    전국 어디에서 살든 경조사에 열심히 참석합니다.
    무엇보다 대화가 통해서 그런지 중고등학교 친구들보다 더 친해요.
    몇 년 안으로 인서울 상위 몇 개의 대학말고는 2학년부터는 정원 채우기도 힘들 겁니다.
    어쩌면 지금도 못 채우고 있을 겁니다.
    신입생은 정원을 채우지만 2학년부터는 편입으로 빠지고, 지방에서 학생들이 와줘야하는데
    유학쪽으로 빠지기 때문에 정원채우기가 힘들 겁니다.

  • 5. 공공 임대아파트를
    '17.8.8 5:06 AM (73.13.xxx.192) - 삭제된댓글

    어디다 지을까요?
    부동산은 전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원칙으로 움직이는 겁니다.
    사람들이 살고싶은 동네, 살고싶은 환경은 한정되어있는데 공공임대주택 짓는다고 해결이됩니까?
    강남에 보금자리 주택 지어서 강남 집값이 안정되었나요?
    공공기관들 지방이전해서 만든 세종시가 이번에 투기과열지역으로 지정된건 어떻게 설명할건가요?
    불가능한 일이겠지만 이론적으로는 전국을 강남화하면 당장은 집값이 안정될테지만 소위 강남이 상대적인거라 전국을 강남화해도 또다시 불루칩지역이 생길겁니다.
    전세제도는 세입자들을 위한 제도예요.
    전세 없애고 월세로만 임대방식늘 바꾸면 손해는 세입자가 보는거고요.
    원글처럼 단순한 생각으로 부동산문제가 해결되면 진작에 해결되었어요.

  • 6. ...
    '17.8.8 5:56 AM (125.178.xxx.117)

    전세 대출을 규제하면 됩니다.
    전세가가 올라간게 전세대출을 확대하고 난 후부터에요
    높아진 전세가가 집값을 밀어올렸고요.
    전세대출도 원금과 같이 갚게해서 갚을수 있을만큼만 빌려주면 됩니다. 지금은 이자만 내면 되서 풀로 대출해서 그걸로 재투자하는 사람도 있거든요

  • 7. 원글이
    '17.8.8 7:00 AM (124.58.xxx.221) - 삭제된댓글

    너무 단순하시네.

  • 8. ..
    '17.8.8 7:06 AM (218.148.xxx.164)

    한국처럼 부동산으로 돈 벌 수 있다는 심리가 있는한 전세제도 없애는게 큰 방법은 안됩니다. 높은 월세 받아 대출 갚으면 되는데 집 여러채 사는게 뭐가 대수일까요. 월세 제도 정착되면 보증금도 낮아질테고 대출 안고 있는 집 리스크도 낮아지겠죠. 오히려 서민들만 내집 마련하기 더 힘들어질 수 있어요. 월세 꼬박 꼬박 내느라.

  • 9. ..
    '17.8.8 8:24 AM (223.38.xxx.189)

    갭투자를 못하게 해야지 전세제도를 왜 없애나요?
    갭투자 못하게 하려고 투기지역 지정한거고요. 효과는 벌써 나타나고 있고요.
    원글님, 빈대 잡자고 초가삼간 태울 분이네요.

  • 10. ...........
    '17.8.8 9:31 AM (180.68.xxx.136) - 삭제된댓글

    ㅋ 아무말 대잔치.
    막 던지는군요.

  • 11. ..
    '17.8.8 11:39 AM (59.6.xxx.219) - 삭제된댓글

    딱 전월세 비율이 은행이자와 동일하다면 괜찮을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9778 지금홈쇼핑강순의김치 5 명인 2017/10/20 3,311
739777 라탄무늬 플라스틱서랍장 쓰시는 분들... 4 ... 2017/10/20 1,287
739776 스타필드에서 강아지 목줄 길게 늘어트리는거요 9 댕댕이 2017/10/20 3,008
739775 성남 무상교복 반대의원 명단 공개 파장 확산..이재명 시장 피소.. 8 ... 2017/10/20 957
739774 영장판사도 임기가 있나요? 4 가고또가고 2017/10/20 1,814
739773 방금 강된장 만들었는데 눈물나게 맛나요 22 강된장 2017/10/20 4,415
739772 띠어리 바지 사이즈 2면 66인가요? 3 속았네 2017/10/20 4,647
739771 엄마 칠순때 갈만한 레스토랑? 6 벌써칠십년 2017/10/20 1,569
739770 아까 국밥에 낮술하신 다던 분 10 낮술 2017/10/20 2,901
739769 체력 좋아진분들 또 있나요?? 9 ^^ 2017/10/20 2,456
739768 삼겹살 좋아하세요? 5 2017/10/20 1,511
739767 데릴사위 2 음... 2017/10/20 1,148
739766 아파트, 땅투기에 미친 나라에 살다보니 7 참... 2017/10/20 2,403
739765 아기 낳고 싶어지는 영상 1 싱글녀 2017/10/20 2,691
739764 전 정리 잘 못해요 3 5656 2017/10/20 2,029
739763 비쥬얼이 좋다는 말이 외모가 좋다뜻이에요? 5 . . . .. 2017/10/20 4,319
739762 미술 과외 시세가 요즘 어떻게 되죠? a 2017/10/20 551
739761 형제들 시부모님 돌아가시면 남편하고 당연히 가야하는거 아닌가요?.. 22 kkk 2017/10/20 8,643
739760 그래도 뭔가를 마시면 덜 먹게되긴 하는데요. 2017/10/20 742
739759 베란다결로 페인트칠 셀프로 하신분 있나요? 4 2017/10/20 1,180
739758 비염이 있으면 담배냄새가 나기도 하나요?? 4 오렌지 2017/10/20 1,608
739757 쌍수 예약했는데 겁나요ㅠㅠ 7 .. 2017/10/20 2,459
739756 한우 사태피빼기 어떻게 하나요? 1 ... 2017/10/20 560
739755 아이가 친구 안경을 망가트렸다는데요 얼마를 보상해주면 될까요? 22 Dd 2017/10/20 5,424
739754 에이미 살 엄청 쪘네요 12 ........ 2017/10/20 8,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