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개천이 따뜻하지 않아 내려올 수 없다면 그 입 다물라

보노보노 조회수 : 1,589
작성일 : 2017-08-03 03:35:16
아들 다 대학 보낸 엄마예요.
특목고 외고 폐지에는 찬성하고(학비 비싸잖아요)
수능 정시 확대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일보 36.5
내가 사는 서울 동작구의 작은 보습학원 앞에는 몇 년째 똑같은 현수막 하나가 내걸려 있다. ‘축! ○○고 ○○○양 서울대 ○○과 합격.’ 굳이 분류하자면 하위권 학과에 해당하지만, 최초의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한 동네학원 원장님의 벅찬 보람과 긍지가 자간마다 흘러 넘친다. 출퇴근길 지나칠 때마다 나도 모르게 흐뭇한 웃음이 삐져나오며 혼잣말을 다 중얼거릴 정도. ‘○○아, 공부는 잘하고 있니? 훌륭한 사람으로 자라 한국사회의 역군이 되어다오. 강남 금수저들한테 기죽지 말고.’ 남들은 저런 플래카드가 눈꼴사납다지만, 나는 볼 때마다 대치동에 가지 않은 ○○양과 그 부모님, 학원 원장님의 어깨를 안아주고 싶은 기분이다. 학군 안 좋은 평준화 지역 일반고에서 동네학원에 다니며 이룬 저 성취가 더 없이 대견하다.

어떤 반론들이 나올지 능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서울대 입학이 성취의 잣대가 되는 구시대적 학벌 이데올로기를 타파해야 한다, 교육을 신분상승의 수단으로 보는 저렴한 사고방식에 한숨이 나올 지경이다, 개천에서 용 나기보다는 살 만한 개천을 만드는 데 주력해야 한다 등등. 말인즉슨 구구절절 옳다. 그러나 발화(發話)라는 행위는 그 내용보다 형식, 주체, 시점, 상황이 더 많은 정보를 발신한다. 누가 저 말을 하는가. 왜 저 말을 하는 사람들은 한결같이 대학교수들이며, 거개가 서울대를 나왔고, 자기 자식을 특목고와 로스쿨, 의전원에 보낸 사람들인가.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을 싫어한다는 사람들 중 개천 출신을 본 일이 없다. 모두가 용이 될 필요가 없다고 웅변하는 사람들의 마지막 문장 뒤엔 ‘그러나 나는 어쩔 수 없이 저절로 용이 되고 말았네. 미안~’이 생략돼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악의적 생각마저 든다.

교육은 역사상 신분상승의 수단이 아니었던 적이 한번도 없다. 그것만이 교육의 목적이라고 말하면 옳지 않으나, 그리 돼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것도 위선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왜 교육만이 성공의 사다리인가, 교육 말고도 개천에서 강으로 거슬러 오를 더 많은 사다리들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지, 교육은 신분상승의 수단이 아니라며 사다리를 걷어차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자신과 그 자식은 이미 올라온 사다리. 개천용 반대론자들에겐 개천의 정서에 대한 이해가 너무 부족하다. 유토피아적 미래를 그려내는 논리적 전망만 승할 뿐 현재를 지배하는 가난의 울분을 너무 모른다. 그러니 내가 하는 사교육은 아이의 재능을 꽃피워주려는 고상한 욕망이고, 네가 하는 사교육은 신분상승에 목을 건 저렴한 욕망이 된다.

내 주제에 이만하면 용이지 생각하는 나로서는 개천에서 아등바등 기어올라 여기라도 와보니 이렇게 좋을 수가 없다. 이곳은 살기가 이토록 좋구나. 내 가족, 친구, 친척, 이웃들도 다 건너오면 좋겠다, 나만 건너와 슬프고 미안하고 외롭다, 교육 말고 다른 방편으로 이 강을 건널 수는 없을까,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 개천용들은 쉽게 개천을 저버린다고 ‘내추럴 본 드래곤’들은 함부로 말하지만, 떠나 돌아오지 않을지언정 한 명이라도 더 위로 올려 보내고 싶은 게 개천의 애틋한 마음이다.

“모두가 용이 될 수 없으며, 또한 그럴 필요도 없다. 더 중요한 것은 용이 되어 구름 위로 날아오르지 않아도, 개천에서 붕어, 개구리, 가재로 살아도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하늘의 구름 쳐다보며 출혈경쟁 하지 말고 예쁘고 따뜻한 개천 만드는 데 힘을 쏟자!” 몇 해 전 트위터에서 화제가 됐던 어느 유명인사의 문장들이다. 그의 말마따나 모두가 용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아직 모두가 용이 될 필요가 없는 사회는 도래하지 않았다. 너희들은 올라오지 말라는 사다리 걷어차기가 아니라면, 개천용을 더 이상 꿈꾸지 말라는 말을 아직은 할 때가 아니라는 말이다. 정히 그 말을 하고 싶다면, 당신들이 먼저 아이들 손 꼭 잡고 개천으로 내려오라. 아직은 개천이 따뜻하지 않아 올 수 없다면, 그 입 다물라.

박선영 기획취재부 차장대우 aurevoir@hankookilbo.com
IP : 218.152.xxx.16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3 4:48 AM (50.67.xxx.52) - 삭제된댓글

    그래서 조국 교수가 용이고 개천으로 내려오려면 서울대 교수직 그만 두라는 말인가요?
    칼럼 작가 자체가 서울대가 용들이 가는데라는 구시대적 사고방식을 갖고 있으니 문제네요.

  • 2. 보노보노
    '17.8.3 5:58 AM (218.152.xxx.164)

    음.... 서울대 교수를 그만두라는 얘기는 아니겠죠?!

  • 3. ㅆㄹㄱㄷ
    '17.8.3 7:40 AM (110.70.xxx.1)

    하나하나 너무 공감가요
    그동안 뭔가 이상하고 답답했었는데
    이 칼럼쓰신분이 제 속을 대신 풀어 주셨네요

    선한 얼굴과 교양있는 말투로 신분상승따위 꿈꾸지 말라고 돌려깠던 조국이나 개천용 비하했던 서천석에게 이 글을 보내고 싶네요

    이사람들 속으로 문재인도 비웃고 있을지 모르죠
    문재인대통령도 개천용이니
    본투비는 아니니까

    자기 자식은 타고난 영재라 그냥 용인거고
    남 자식은 개천것이라 그냥 개천에서 살아야 한다는거죠

  • 4.
    '17.8.3 7:49 AM (119.69.xxx.63)

    저도 구구절절 동감합니다.

  • 5. ㅎㅎ
    '17.8.3 7:56 AM (121.168.xxx.236) - 삭제된댓글

    그 사걱세 이사는 더 웃겨요.
    자기를 가지고 그러는 게 문재인정부 흔들기래요.
    현 교육에 답답한 부모들의 한풀이지 자기때문에 그런 게 아니래요.
    그가 그럴만한 영향력이나 있는 사람인가요?
    생전 잘 달지도 않던 답댓글 일일이 다느라
    정신없더만요..동조해주는 댓글러에게 잘 보여야겠죠..

    사걱세 대표는 이 고통을 이겨내서 이루리라..하나님이나 찾고 앉았고. .그들만의 세상..참 볼 만 하더이다

  • 6. 기독교
    '17.8.3 8:16 AM (115.140.xxx.180)

    그래서 사걱세가 그냥 싫었던거군요 조국교수의 저말은 정말 어처구니가없었는데 거기에 동조하는 사람들도 있대요 ㅋㅋㅋ

  • 7. 아파트도 마찬가지
    '17.8.3 9:17 AM (210.223.xxx.17) - 삭제된댓글

    아파트 여러채 가진 자들 부동산 정책 나올때 그냥 입다물고 가만 있길..

  • 8. 0000
    '17.8.3 10:06 AM (116.33.xxx.68)

    진짜 분노가 치밀어요
    가진자들의 술수에 놀아나고 있는느낌
    저같은 엄마는 진짜 죄인같아요

  • 9. 속시원
    '17.8.3 10:23 AM (180.69.xxx.90) - 삭제된댓글

    누구신지 아주 속시원하네요
    정말이지 본인들은 전혀 그럴생각이 없으면서
    남의 자식은 개천에서 살라고 하네요...
    내로남불의 대표적사례로 보여요
    그런사람들이 요직에 많아서그런가요
    이번정부는 교육문제 만큼은 귀닫고 눈감는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6267 루이보스를 상시 식수대신 이용하시는분 9 2017/08/07 2,492
716266 오피스텔이 관리비가 그렇게 마니 나오나요? 7 2017/08/07 2,672
716265 프로듀스2 워너원 오늘 데뷔네요. 14 미니미니 2017/08/07 2,546
716264 품위있는 그녀 역주행중인데요 3 ... 2017/08/07 2,665
716263 진정한 미니멀리즘은 정말 어렵네요 6 비움의미학 2017/08/07 5,148
716262 조언구합니다. 4 써니 2017/08/07 1,273
716261 가족보다 남에 연연했던 나 13 .. 2017/08/07 4,137
716260 깻잎짱아찌 레시피 좀 부탁드려요 3 요리 2017/08/07 1,694
716259 택시운전사의 주인공 힌츠 페터, 사복경찰 구타로 중상 당한 거 .. 13 ㅠㅠ 2017/08/07 4,876
716258 괜히 봤다싶은 영화가 있으신가요? 69 영화가 좋아.. 2017/08/07 5,408
716257 전기 아껴 쓰시는 문재인 대통령님 ^^ 9 지구를 2017/08/07 2,968
716256 아들부심? 26 rㅠㅠ 2017/08/07 4,494
716255 드리마 무궁화꽃? 에 나오는 남주 보느라 빠졌어요 ㅋㅋ 1 ㅋㅋ 2017/08/07 805
716254 나이트 가고 외제차 타고.. 유흥에 혈세 쓴 요양원들 2 샬랄라 2017/08/07 1,509
716253 남자도 피부가 중요시 되나요? 14 ㅇㅇ 2017/08/07 2,638
716252 이재용, 눈물의 최후진술 4 고딩맘 2017/08/07 3,061
716251 대입시 전형 이해좀 도와주세요..이해가 안돼요 13 이해 2017/08/07 2,197
716250 폐경이 가까운 사람인데 생리 늦출수 있나요? 2 ,,,, 2017/08/07 1,957
716249 12월말 1월초중 언제 이사하는게 나을까요? 2 ... 2017/08/07 676
716248 알콜중독환자 자율퇴원? 5 내가 죽고싶.. 2017/08/07 1,139
716247 안철수 "나는 새사람 돼가고 있다" 41 ... 2017/08/07 4,360
716246 칼 융의 기억 꿈 사상 19 tree1 2017/08/07 2,261
716245 너무 슬픈 꿈을 꿨어요 세월호 관련 2 너무 2017/08/07 684
716244 아들못낳은죄 24 아들 2017/08/07 5,418
716243 안철수 만난 의원들 "벽에 얘기 한 것 같다".. 26 ... 2017/08/07 4,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