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탈원전 관련한 자칭 진보 언론들의 무지와 선동

길벗1 조회수 : 684
작성일 : 2017-07-11 16:12:49
 

탈원전 관련한 자칭 진보 언론들의 무지와 선동


                                                                   2017.07.10



문재인이 탈원전을 선언하자,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우려하는 전문가들이 드디어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전국의 원자력 관련 교수 400여명이 1,2차에 걸쳐 성명서를 발표하고 근본주의적 환경론자들의 무지를 질타하고 탈원전의 무모함을 과학적으로 공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치기 기자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편견에 사로잡혀 전문가들의 의견에 과학적으로는 반박하지 못하면서 어설픈 주작으로 국민들을 호도하고 있습니다.

탈원전을 주장하고 친환경을 주장하는 자칭 진보 언론들이 주로 이런 짓을 일삼는데 이들이 쓴 기사에는 과학은 없고 주장만 있을 뿐입니다. 아래는 탈원전을 다룬 경향신문의 최근 기사인데, 이 기사를 쓴 기자나 인터뷰한 인물들은 자신들이 얼마나 무식한 줄 모르는 모양입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7081514001&code=...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7081514011&code=...


1. 기형적인 지원제도와 세금 때문에 원전이 싼 것처럼 느껴지는 착시현상이 일어난다고?

이성호 세종대 기후변화 센터 연구위원은 원자력 연료(우라늄)에 대한 세금이 없고 기형적인 지원제도 때문에 원전이 LNG나 신재생에너지보다 싸게 보일 뿐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과연 이 주장이 맞을까요?

원자력은 연료에 대해 관세나 지방세 등의 세금이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보험료, 지역지원금 등 부담금이 LNG에 붙는 세금보다 훨씬 많아 에너지원별 kwh당 국세&지방세, 부담금은 원자력이 11.70원, 유연탄이 12.24원, LNG가 13.22원으로 거의 비슷하게 나옵니다.

에너지원별 발전원가에서 차지하는 연료비 비중이 원자력은 10% 미만(약 5원/kwh, 2016년 원자력 연료비 총액 약  8천억원), LNG는 88~90%인 점을 감안하면 LNG에 비해 원전의 연료(우라늄)에 붙는 국세&지방세, 부담금이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죠. 현재 원자력은 연료(우라늄)가격의 200% 이상을 준조세 성격의 부담금을 내는 반면, LNG 발전은 연료(LNG)가격의 15%만 세금으로 부담할 뿐입니다.

이성호는 원자력 연료에 붙는 세금이 없다는 것을 부각하여 마치 원전이 대단한 특혜를 보는 것처럼 이야기하고, 이 특혜만 없애면 LNG가 오히려 싼 것처럼 주장합니다.

민주당의 김영춘이 원자력의 연료에 대해 지방세를 10% 부과하는 법안을 발의했는데, 김영춘의 이 법안이 통과하여 설사 10% 지방세를 원자력연료(우라늄)에 부과해도 원전의 발전 비용은 연간 800억 밖에 올라가지 않고 20% 부과해도 1,600억 밖에 되지 않습니다. 2016년 원전 발전량이 161,995GWh였으니까 20% 세금을 부과해 연간 1,600억이 올라가 보았자 1kwh당 발전원가는 0.987원 밖에 올라가지 않습니다.

실제 계산해 보면 이렇게 미미하게 원전 발전원가가 올라감에도 실제적인 계산은 보여주지 않으면서 원자력 연료에 세금을  LNG 만큼 부과하면 마치 LNG 발전원가 이상으로 원자력 발전원가가 올라가는 것처럼 국민들을 선동하는 것입니다.

더 웃긴 것은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은 오히려 신재생 에너지인데도 원전이 기형적인 지원제도의 수혜를 받는 것처럼 호도한다는 것입니다. FIT(발전차액지원제도), REC 등의 각종 지원제도로 신재생에너지는 발전원가가 원전의 발전원가보다 3~4배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을 남깁니다. 만약 이성호의 말대로 이런 (기형적) 지원제도를 없앤다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업자들이야말로 아무도 살아남지 못합니다.

  

“발전비용이 21% 더 늘어날 수도 있지만, 현재처럼 석탄이나 원자력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이 바뀌고 가스(LNG)와 똑같은 세금이 부과되면 비용계산이 달라진다. 미국의 경우, 석탄과 가스가 다 나오고 있지만 가스가 석탄보다 더 싸다. 석탄의 경우 배기가스 배출 오염기준이 강화돼 있어 그 기준을 지켜 발전을 운영하려면 석탄의 경제성이 떨어져 비쌀 수밖에 없는데, 그것을 국가가 커버해주니 벌어지는 문제가 아닌가.” 이성호 세종대 기후변화센터 연구위원의 말이다. 원전이나 석탄이 가스나 신재생보다 싸다는 것은 한국의 기형적인 지원제도가 만들어놓은 ‘착시현상’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계속되는 그의 말. “게다가 신재생에너지, 태양광의 경우 지난해 1년 만에 생산비용이 30% 하락했다. 앞으로도 계속 하락할 것이다. (그대로 진행된다 하더라도) 고리5·6호기가 준공되려면 5년은 걸린다. 아마 그때쯤 되면 태양광이 지금보다 훨씬 더 쌀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풍력과 태양광의 생산비용이 제일 싸서 그렇게 가고 있는데, 과거만 보고 잘못된 경제성 평가에 기초해 내놓는 이런 엉터리 연구가 어디 있나.” 


2. 2020년에는 태양광이 원자력에 비해 6천배 이상 원가 개선이 된다고?

에너지기술연구원 박년배는 1970년 이래 2014년까지 태양광 패널가격이 154분의 1로 떨어졌고, 원자력에 비해 1,540배 원가가 개선되었으며, 2020년에는 원자력에 비해 6천배 이상 원가가 개선된다고 주장합니다.

박사라는 인간이 어떻게 저런 헛소리를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박년배는 태양광발전은 태양광 패널만 있으면 되고 땅위에다 패널을 깔면 그냥 발전이 되는 줄 아는 모양입니다. 태양광 발전소를 세우려면 먼저 부지를 매입하고 토목공사를 한 후에 철재 프레임을 세우고 그 위에 태양광 패널(모듈)을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인버터도 있어야 하고 주변 정리도 해야 합니다.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1Mw에 약 20억원이 들어갑니다. 하지만 태양광 모듈(패널) 비용은 5~6억원 정도로 전체 비용의 30% 밖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박년배의 말대로 태양광 패널 가격이 획기적으로 싸져서 0원이 된다고 하더라도 총 비용의 30%만 절감할 수 있을 뿐, 부지, 철재, 인버터, 토목공사 등에 소요되는 70%는 여전히 남게 됩니다.

즉, 현재 1Mw 태양광발전소 건설비용이 20억이 든다면 태양광 패널 가격이 0이 된다 하더라도 14억은 최소한 들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원자력에 비해 원가가 6천배(향후 3.9배)가 개선된다구요?

원자력은 기술이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규모도 종전보다 2배 이상 커져 규모의 경제도 일어나는데다 부지도 상대적으로 훨씬 적어 부동산 가격의 영향도 없습니다. 원전 1,400Mw 규모의 1기 정도의 발전을 태양광이 하려면 4천만평의 부지가 필요합니다. 태양광 발전소가 늘어나면 부지의 확보가 어려워 부지 매입비가 점점 늘어 앞으로 원전에 비해 태양광 발전 원가가 개선되기는 커녕 더 벌어질 가능성이 오히려 높지요.


혹자는 태양광 모듈(셀, 패널)의 효율이 날로 향상함으로 원전보다 더 나아질 거라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이런 주장은 태양광 셀(모듈, 패널)의 효율 1% 올리는 것이 현재 얼마나 힘든지 모르고 하는 소리일 뿐이지요. 태양광 셀의 효율 향상은 이제 한계에 다다랐다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들의 이야기입니다.

태양광 발전소의 건설비나 태양광 셀의 효율의 한계를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 원전보다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국가의 에너지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니  기가 찹니다.


“재생에너지, 특히 태양광 생산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은 여러 전문가들이 지적한 바 있다. 원료비는 0원에 수렴하는 한편, 태양광 패널 값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토니 세바 스탠퍼드대 교수는 그의 책 <에너지혁명 2030>에서 “1970년 이래 2014년까지 원유가격이 35배 오른 반면, 태양광 패널 가격은 154분의 1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원자력에 비해서는 약 1540배 원가를 개선했다. 그의 책에 따르면 태양광 원가는 더 ‘드라마틱’하게 떨어진다. 2020년에는 원자력에 비해 6000배 이상 원가가 개선된다는 것이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의 박년배 박사는 “최근 발표되고 있는 에너지 관련 저널들의 논문을 보면 태양광이 석탄보다 싸지게 되는 시점을 2020년대 중반으로 보는데 대부분의 전문가의 시각이 일치한다”고 말했다.“



3. 총발전량의 20%를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가 담당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박년배의 흰소리는 계속됩니다.

박년배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을 칭하는 것 같음) 비율을 20% 끌어올리려면 서울시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태양광으로 덮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실제 국토면적의 약 2에서 5~6%면 충분하다”는 이상한 주장을 합니다.

박년배는 서울시 면적이 얼마이고 우리나라 전체 국토면적이 얼마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서울시 면적은 605.21km2이고, 우리나라 면적은 99,720km2으로 서울시 면적은 우리나라 전체 면적의 0.6%에 불과합니다. 사실이 이럼에도 박년배는 위와 같이 희한한 주장을 합니다. 마치 서울 면적이 우리나라 면적의 6% 이상이 되는 것처럼 말하고 있지요. 그리고 우리나라 전체면적의 6%가 얼마나 방대한 면적이고, 이 면적에다 태양광을 설치하면 얼마나 큰 문제가 발생하는지, 우리나라에서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는 면적이 6%가 되는지도 전혀 생각을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러면 우리나라 발전량의 20%를 태양광이 담당하게 하려면 얼마나 많은 부지가 필요한지 계산해 볼까요?

우리나라의 2016년 총발전량은 540,440GWh로 그 20%는 108,088GWh입니다.

1Mw의 태양광 발전소는 연간 1Mw*4h/d*365d/y = 1,460MWh를 발전할 수 있습니다. 1Mw 태양광 발전소 부지로 약 5천평이 필요합니다. 태양광으로 108,088,000MWh를 생산하려면 74,033Mw의 태양광 발전소를 지어야 하고, 이에 필요한 부지는 370,165천평(1,222km2)가 됩니다. 이 부지 면적은 서울시 면적의 약 2배가 되고 전체 국토면적의 1.23%입니다.

혹자는 전 국토의 1.23%이니까 매우 적은 면적으로 그 정도면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지 않느냐고 말하지만 1,222km2가 얼마나 큰 면적인지 몰라서 하는 소리이고, 우리나라에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이 정도 면적이 없다는 것도 모르는 헛소리일 뿐입니다.

서울 상암 축구경기장 면적이 2,164평 정도입니다. 370,165천평이면 상암 축구장 171,056개에 해당하는 면적입니다. 이 정도 면적에다 태양광을 설치하자구요?  우리나라는 산지가 70%이고 태양광은 빛이 낮 동안 계속 들어와야 하는 지역에 설치해야 함으로 경사가 급하거나 남쪽 방향으로 면해 있지 않은 산지는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없습니다. 임야가 아닌 나대지, 대지 등의 평지라면 토지 가격이 높아 발전원가가 올라가서 수익성이 제대로 나오지도 않을 뿐아니라 그런 땅도 얼마 없습니다. 고속도로변, 학교 등의 건물 지붕, 주차장, 저수지 수면 위 등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곳을 전부 다 한다고 하더라도 총발전량의 10%를 태양광 발전이 담당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축구장 171,056개의 면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다면 산지 훼손 등의 반환경적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다는 것도 이들은 생각도 하지 못합니다.

혹시 풍력은 가능하지 않겠냐고 무식한 질문을 던지는 분이 있을까봐 미리 말씀드리면 같은 발전량을 생산하는데 풍력은 태양광보다 3~4배의 부지가 더 필요하고 소음, 진동 등 건강을 해치는 요소가 많아 친환경론자들도 꺼리는 에너지원이라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박년배는 저런 엉터리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렇게 덧붙였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 끌어올리려면 서울시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태양광 패널로 덮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실제 현재 기술수준이나 효율로만 보더라도 국토면적의 약 2에서 5~6%면 충분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국내의 건물이나 주차장, 휴경지만 활용해서 필요한 수급량의 상당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 수준까지 왔다.”



4. 원전은 외부비용을 포함하면 실제 발전원가는 LNG보다 높다?

경향신문은 원전 발전원가에는 외부비용이 반영되지 않아 정부보조금이나 원자로 해체비용, 인간의 건강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한 외부비용을 반영하면 LNG 발전원가보다 높다고 주장합니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핵발전(원전)의 외부비용이 적게는 kWh당 54원, 많게는 205원 가량 발생한다고 하고,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는 핵발전(원전)의 외부비용이 kwh당 102원, 석탄발전이 88원, LNG는 35원이라고 분석했다고 합니다.

그러면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나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가 핵발전 원가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외부 비용에 대해 하나하나 따져 보겠습니다.

먼저 원자로 해체비용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주)의 결산서를 보면 ‘복구 추정자산의’ 원전 부문은 정액법으로, 사용후 원전연료 부문은 생산량 비례법으로 감가상각하여 발전원가에 반영하고 있으며, 2016년말 현재 사후처리 복구정화비용 충당부채로 12조9457억, 발전소 주변지원사업 충당부채로 1528억원을 계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주)는 원자력 발전원가에 이미 원전철거비나 사용후 원전연료 처리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지 않아 발전원가가 싸다는 환경정책평가연구원과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의 주장은 근거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수력원자력(주)의 결산서에 나와 있는 주석 내용임입니다.


1) 원자력발전소 철거비 충당부채

당사는 원자력발전소의 경제적 사용이 종료된 후에 원상회복을 위해 그 자산을 제거, 해체하거나 또는 부지를 복원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비용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사용후 원전연료 충당부채

당사는 방사성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현재 의무로 인해 사용후 원전연료의 관리에 관한 사업에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사용후 핵연료관리부담금의 현재가치를 충당부채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3) 중저준위폐기물 충당부채

당사는 방사성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분과 관련하여 예상되는 의무에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최선의 지출추정치를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충당부채

당사는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교육장학지원사업, 지역경제협력사업, 지역문화진흥사업, 주변환경개선사업, 지역복지사업 등)으로 예상되는 의무를 위한 최선의 지출추정치를 충당부채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원전의 발전원가에는 원전 철거비, 사용후 핵연료관리부담금, 중저준위폐기물 처리비, 주변지역 지원비용을 모두 반영하고 있고, 현재 13조 넘는 금액을 충당부채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건강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외부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과 에너지기후정책연구원은 원전이 국민 건강이나 환경에 안 좋은 것처럼 막연하게 이야기하는데 원전만큼 청정에너지가 없고 지구온난화 예방에 기여하고 미세먼지 발생이 없어 국민건강에 유리한 것이 없습니다.

에너지원별 1kwh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보면, 석탄:210~350g, 원전:5~10g, 천연가스(LNG):110~220g, 태양발전:15~30g으로 LNG가 원전보다 22배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합니다.

원전 대신 석탄으로 발전했으면 그 동안 12억톤의 석탄을 연소시켜야 했고 이 중 석탄재가 2억2천만톤 나왔으니 9억8천만톤의 미세먼지나 이산화탄소 등의 환경물질을 대기로 방출했을 것입니다.

요즈음 국민들의 관심사가 된 미세먼지 부문을 본다면 원전은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원전은 우라늄 핵분열에서 나오는 열로 전기를 만들므로 미세먼지와 초미세 먼지가 전혀 나오지 않는 반면, 석탄과 LNG는 이들을 다량 배출합니다.

미세먼지는 석탄 발전이 LNG보다 많이 배출하지만, 초미세먼지는 LNG가 석탄보다 2.35~7.60배 더 많이 배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사실 미세먼지도 건강에 해롭기는 하지만 초미세먼지가 미세먼지보다 더 해롭다고 합니다.

초미세 먼지는 입자 크기가 2.5마이크로미터(1마이크로미터는 100만분의 1m)보다 작은 오염물질로 호흡기는 물론이고 피부로도 침투가 가능해 폐와 심장 등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조사한 연료별 미세 먼지 배출량을 같은 열량을 낼 때의 배출량으로 환산했을 때, 기체 상태로 배출됐다가 공기 중에서 식어 입자가 되는 이른바 '응축성 초미세 먼지(CPM·Condensable Particulate Matter)'는 LNG를 태우면 석탄보다 2.35배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 자료에도 LNG가 석탄보다 응축성 초미세 먼지를 7.60배 많이 배출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입자 형태의 미세 먼지는 석탄 화력발전소에 설치된 필터로 걸러내게 하지만 LNG 발전소에서 나오는 응축성 초미세 먼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규제가 없는 실정이라 이제는 발전소의 환경 위해성 여부를 판단할 때 응축성 초미세 먼지도 감안해야 합니다.

실제로 환경과학원 연구에서 입자 형태의 미세 먼지 배출량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석탄이 LNG보다 2.28배 많았지만, 입자와 기체 상태를 모두 합한 전체 미세 먼지 배출량은 오히려 LNG가 유연탄보다 2.18배 많았습니다. 응축성 초미세 먼지를 감안하면 LNG 발전이 석탄 화력발전보다 환경에 더 나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한 톨도 나오지 않는 원전과 입자와 기체 상태의 전체를 합한 미세먼지에서 석탄보다도 2.28배 많이 배출하는 LNG와의 건강 위해성을 비교한다는 자체가 어불성설입니다.

출처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1/2017071100163.html


포브스가 발표한 에너지원별 치사율(Energy Fatality), 즉, 1PWh(1천조kWh, 참고로 우리나라 2016년 총발전량은 0.54PWh)당 에너지원별 사망자 수를 보면, 풍력이 150명, 태양광이 440명, LNG가 4,000명, 석탄이 10만명인데 비해 원자력은 90명입니다. 이것도 체르노빌 사망자를 포함해서 그런 것이고 체르노빌 사망자를 제외하면 0.1명 수준이며, 미국의 경우는 0.01명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우리나라는 얼마일까요? 원전사고로 사망한 사람은 없지만 원전 건설 중에 사망한 사람이나 우라늄 채굴 과정에서 사망한 사람이 혹시 있을 수 있으니 미국과 비슷하게 0.01명 정도 되겠지요. 

탈핵을 주장하는 근본주의적 환경론자들은 원전사고의 위험성만 강조하지만, 각 에너지원별 발전소 운전 중의 위험이나, 연료를 채굴하고 운반하는 과정에서의 위험은 간과합니다. 위험이나 사망자 수를 객관적으로 비교하려면 일정량의 발전량을 생산하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이나 사망자를 계산해야 합리적입니다. 원전의 경우 이 때까지 원전으로 생산한 발전량을 기준으로 원전 건설, 우라늄 채굴과 운반, 원전 운전 중 발생한 미미한 사건들, 원전 보수나 정비시 그리고 원전 사고에서 발생한 사망자를 계산하고, LNG의 경우도 LNG 누적 총 발전량에 LNG 발전소 건설, LNG 채굴과 운반, 보수와 정비시, LNG 발전소 사고 등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를 비교해야 하겠지요.

석탄이나 LNG 발전의 경우, 그 연료를 채굴하고 정제하고 운반, 보관하는 과정에서의 위험이 크고 사망자도 많이 발생합니다. 원전 사고에 비해 그 피해나 사망자는 경미하겠지만 폭발 사고로 인한 희생자도 심심찮게 나옵니다. 평소 운전중이나 보수시에도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하죠. 이런 점을 탈핵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내몰라라 하고, 원전 사고시의 피해만 과장하는 것입니다.


“사회적 비용은 크게 사적 비용과 외부비용으로 나뉜다. 사적 비용은 해당 에너지원을 만들고 유지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으로 전력 거래가격에 대부분 포함돼 있다. 반면 외부비용은 전력가격에 반영되지 않은 비용이다. 정부보조금이나 원자로 해체비용, 인간의 건강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한 비용이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핵발전의 외부비용에서 ㎾h당 적게는 54원, 많게는 205원가량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며 “원자력 발전의 외부비용을 반영할 경우 경제적으로 저렴하다고 생각됐던 원자력의 장점이 희석되며, 타 에너지원의 발전단가에 근접해간다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7월 3일 발표된 ‘녹색당 대안전력 시나리오 2030’(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작성)도 환경정책평가연구원 등의 연구를 토대로 각 에너지원별 외부비용을 추정했다. 녹색당은 핵발전의 외부비용을 102원/㎾h, 석탄발전은 88원/㎾h, LNG는 35원/㎾h로 분석했다. 2016년 한국전력통계 발전원별 구입단가에 따르면 핵발전은 68원/㎾h, 석탄은 74원/㎾h, LNG는 121원/㎾h였다. 외부비용을 감안한다면 핵발전과 석탄발전은 통념과 반대로 가장 비싼 에너지원인 셈이다.“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배출, 사망자 수를 위와 같이 계량화 해 보면 저들이 말하는 외부비용의 실체가 드러납니다. 막연하게 원전의 위험성만 강조하고 근거는 대지 못하면서 추상적으로 외부비용 운운하며 실제적으로는 원전발전원가가 LNG 발전원가보다 높다고 주장하는 저들의 논리에는  과학이나 객관성, 합리성은 전혀 찾아 볼 수가 없습니다.


PS.

탈핵을 주장하는 환경론자들은 원전 사고의 위험성을 과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전 사고가 일어나면 영화 ‘판도라’처럼 천문학적 피해가 발생한다고 국민들을 호도하고 협박하지만 과학적인 근거는 전혀 제공하지 않지요. 하기사 일국의 대통령도 영화 ‘판도라’를 보고 눈물 짓고 탈핵 선언을 하는 판이니 이들도 탓하기도 어렵네요.


방사능에 의한 실질 피해보다는 방사능 공포가 사람을 힘들게 하고 생명을 더 위태롭게 합니다.

1945년 일본 히로시마와 나카사키에 핵 폭탄이 투하되었을 때 반경 10Km 이내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86,600명이라고 합니다. 이들과 방사능에 노출되지 않은 보통의 일본인 2만명과 대조 비교 연구를 한 것에 따르면 생존자 86,600명 중에 563명만 피폭에 의한 조기 암으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즉, 핵폭탄 폭발 지점 10km 이내에서 방사능에 피폭되어도 방사능으로 인해 죽은 사람은 0.65% 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핵방사선이 여러 세대에 걸쳐 유전 변이를 일으킨다는 유의미한 증거도 없고 피폭자들의 후세대에서 그런 징후가 나타나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니  원자폭탄이 두 개나 떨어져 수십만, 수백만이 피폭당했다고 하는데 일본에서 기형아가 탄생하거나 식물이나 가축에서 유전자 변이가 일어났다는 소식을 들어본 적이 없네요.


후쿠시마 지역 아이들에 대해 갑상선암 검사를 한 결과 발병률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뉴스가 퍼진 적이 있었습니다. 검사 받은 아이들의 절반이 갑상선에서 혹 같은 것이 발견 되었고, 이 지역 아이들의 갑상선암 비율은 백만명 당 600명으로, 보통 아이들에게서 발견되는 백만명 당 1-3명의 경우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가 나와 경악을 했지요. 이유를 찾아보니 전자는 최신 첨단기기로 검사한 덕분에 수치가 높았고, 후자는 기존의 오래된 기기로 검사한 수치였다고 합니다. 타지역 아이들을 첨단기기로 검사해 봤더니 백만명당 300~1300명으로 후쿠시마 지역의 아이들과 마찬가지의 높은 수치가 나왔다고 합니다.

아래에 링크한 네이처가 밝힌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피폭 피해 조사 결과도 방사능에 의한 피폭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그 피해가 훨씬 적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m.blog.naver.com/saranmul/20160310627


국제원자력기구는 체르노빌 원전사고로 사망한 사람을 약 4천명으로 추정하는데 이들은 대부분 원전사고가 일어나자 소련 당국이 방폭장비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거의 무방비 상태로 체르노빌 원전 사고 진압에 직접 투입한 사람들이었습니다. 당시 소련은 체르노빌 원전 사고를 대외에 알리지 않고 자체적으로 진압하려 하다 피해를 키웠었는데, 해외에 알려지기 전에 진압하려고 무식하게 인해전술로 무방비의 사람들 약 40~60만명을 투입했다고 합니다. 체르노빌 원전은 격막이 없는 원자로였기 때문에 방사능 누출은 후쿠시마보다 훨씬 컸을 것이고 방폭 장비도 갖추지 않고 현장에 투입되었으니 피폭량은 후쿠시마 피폭자들과 비교도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이 중에 약 4천명 정도만 피폭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설에는 체르노빌 원전사고로 수 십만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과장하지만, 이는 자연사, 교통사고, 기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모두 포함한 숫자라고 합니다. 


실제로는 원전 사고에 의한 방사능 피폭에 의한 사망보다는 방사능 공포에 의한 우울증, 불안증, 자살충동 등 정신적 이유로 건강을 해치고 또 이것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의 경우도 그 지역에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방사능에 노출되었으니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공포에 떨면서 고통 받고 수명을 단축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방사능 그 자체가 아니라 방사능 공포가 사람을 잡은 것이죠.

지금 탈원전을 주장하는 근본주의적 환경론자들과 현 정부는 국민들에게 원전 사고의 위험성과 방사능의 공포를 주입하면서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IP : 118.46.xxx.145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목만 보고도 길버뜨인지 알았다.
    '17.7.11 4:22 PM (211.243.xxx.4) - 삭제된댓글

    ㅋㅋㅋㅋ이런 쓸모없는 쓰레기글 쓸 시간에 구치소에 들어가있는 503이나 면회해라. 니 죽고 못사는 사이였잖아?ㅋㅋㅋㅋ

  • 2. 암요 암요
    '17.7.11 4:25 PM (58.140.xxx.51)

    새 원전 예정지 보상 노린 유령 주택..건설 중단에 쪽박 신세

    울진·영덕에 투기성 주택 600여채 난립..원룸 크기 안 되는 조립식에 터 쪼개 짓고

    경북 울진과 영덕에 새 원전 건설이 사실상 물 건너가자 투기꾼들이 보상을 노리고 지은 집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신한울원전 3·4호기와 영덕 천지원전 건설 계획이 알려지자 예정지 주변에는 7∼8년 전부터 투기성 주택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대부분 투기꾼이 보상을 노리고 형식으로 지은 유령주택으로 신규원전 건설이 좌초하면 쪽박을 찰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 나돈다.

    신한울 3·4호기는 2022년 12월과 2023년 12월, 영덕 천지원전은 2026∼27년까지 2기를 짓기로 했으나 새 정부 탈원전 정책으로 현재 추진을 중단하거나 보류한 상태다.

    투기성 주택은 신한울 3·4호기 예정지인 울진군 북면 일대와 천지원전 예정지인 영덕군 영덕읍 석리와 노물·매정리, 축산면 경정리 일대에 각각 300여채에 이른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건설사업 계획을 공고한 2014년 12월 이전 주택에 한정해 보상한다는 점을 알고 그전에 모두 등기를 마쳤다.

    대부분이 일반 원룸 크기도 안 되는 18㎡(5.4평)짜리 조립 주택이거나 터를 공동으로 사들여 쪼갠 뒤 여러 채로 지은 것이다.

    특히 울진 북면 고목 2리는 2010년 이전 40가구에서 지금은 230여 가구로 늘어났다. 사업계획을 공고한 뒤에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새로 지은 건물이 80채에 이른다.

    지상 건축물 보상을 노리고 창고를 짓고 심지어 농경지에 과실수를 심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이곳은 3.3㎡에 20만∼30만원이던 땅값이 현재 70∼80만원으로 3배가량 급등했다.

    이전 신한울원전 1·2호기 건설 때도 인근 덕천리 주민은 토지·주택 보상 외에 집단이주, 생계지원 사업비로 가구당 2억5천만원을 받았다.

    이 소식에 투기 세력이 달려드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여기에 일부 지역 유지도 자녀 명의나 친인척을 동원해 투기에 가담했다는 말이 나온다.

    한울원전 관계자는 "새 원전 편입 터에 들어선 300채 가운데 순수 주민 집은 40∼50채 정도고 대부분은 보상을 노린 외지 투기 세력이 개입한 집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주민 이상구(55)씨는 "새 원전 건설이 사실상 물 건너가자 시세보다 3배 이상 올랐던 임야와 논밭 가격이 폭락하고 있으나 거래는 전혀 없다"며 "투기 목적으로 산 사람은 자칫하면 쪽박을 찰 수도 있다"고 했다.

    http://v.media.daum.net/v/20170708084014282

  • 3. 길벗1
    '17.7.11 4:25 PM (118.46.xxx.145)

    윗 놈/
    이런 댓글 달 시간에 원전과 전력산업에 대해 공부 좀 해라.

  • 4. 길벗1
    '17.7.11 4:28 PM (118.46.xxx.145)

    암요암요/
    니가 복사해 온 글은 얌체 부동산 투기꾼의 문제이지 원전의 문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단다.
    물론 내 글과 니가 복사해 옮긴 글도 무관하고.

  • 5. marco
    '17.7.11 4:48 PM (14.37.xxx.183)

    뭔 헛소리를 이렇게 길게쓰냐?
    읽는 사람 관점에서 글을 써야 가독율이 올라가지...
    하기사 읽을 필요가 없는 글들만 올리니...

    그냥 간단하다. 산업용전기요금 올리면 다 해결된다.
    그래야 절전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도 하고 그래야 세계적인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그것이 윈윈하는 결과로 돌아온다...
    지금도 재벌기업들 발전사업한다.
    전기는 한전에 비싸게 팔고
    자기 계열 기업들은 싼요금 전기를 쓰는 나라다.
    안되면 전기공급 개방해라...

  • 6. marco
    '17.7.11 4:55 PM (14.37.xxx.183)

    옛다 이거 정상화하면 된다...

    뉴시스
    [국감]20대 재벌, 전기요금 특혜로 3년간 2조7천 불로소득? 영문 뉴스 음성지원 서비스 듣기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 2012-10-08 20:51
    좋아요 좋아요 평가하기 공감 5
    광고
    광고


    【서울=뉴시스】이상택 기자 = 국내 20대 재벌기업이 전기요금 이중 특혜로 3년간 2조7677억원의 할인 혜택을 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원욱 민주통합당 의원은 8일 한전으로부터 제출받은 지난해 전기요금 손실액 기준 상위 20개 기업과 민간발전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재벌기업들이 전기요금 이중 특혜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산업용 전력의 '원가 회수율'은 평균 89.3%로 2009년 90.9%, 2010년 89.4%, 2011년 87.5%로 점점 감소됐다. 이들 재벌들은 각종 혜택으로 1000원어치 전기를 쓰고 893원만 지불한 셈이다.

    이렇게 20대 재벌기업들이 3년간 받은 전기요금 혜택은 2009년 3739억원, 2010년 5419억원, 2011년 7759원으로 1조6918억원으로 집계됐다.

    할인 헤택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은 삼성전자로 3140억원, 포스코 1681억원, SK하이닉스 968억원, SK에너지 593억원, GS칼텍스 56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스코와 GS, SK는 민간발전사를 운영하며 발전으로도 수익을 벌어들였다고 이 의원은 덧붙였다. 지난 3년간 민간발전사를 운영하는 대기업이 낸 영업이익은 포스코에너지 3007억원, GS EPS 2831억원, GS파워 3231억원, SK E&S 1690억원으로 총 1조759억원이다.

    아울러 수요관리지원제도로도 이들 기업은 지난 5년간 2344억원을 벌어들였다고 이 의원은 주장했다.

    이 의원은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중에 대기업이 차지하는 각종 혜택을 줄이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st0121@newsis.com

  • 7. marco
    '17.7.11 5:10 PM (14.37.xxx.183)

    결국 가정용요금 누진제해서 재벌 주머니 채워준거야...

  • 8. 암요 암요
    '17.7.11 5:16 PM (58.140.xxx.51)

    길벗1 '17.7.11 4:28 PM (118.46.xxx.145)

    /암요암요/
    니가 복사해 온 글은 얌체 부동산 투기꾼의 문제이지 원전의 문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단다.
    물론 내 글과 니가 복사해 옮긴 글도 무관하고.


    "니" 가 뭔가요?
    어디서 이런 무례한 언사를.

  • 9. 문빠가 무례를 논하다니
    '17.7.11 5:46 PM (223.38.xxx.32)

    어이가 없네요.

    이년저년 이 새끼 저 새끼 밥 먹듯하는 것들이
    바로 문빠들인데 말입니다.

  • 10. 길벗1
    '17.7.12 8:15 AM (118.46.xxx.145)

    macro/
    뉴시스 같은 어쭙잖은 기사를 들고 와서 선동을 하노?
    2016년 산업용과 가정용의 원가보상률이 각 얼마인줄 아나?
    산업용이 109%이고 가정용이 95%야.
    2017년은 어떨 것 같냐? 너는 작년에 민주당, 국민의 당, 정의당 등 당시 야당들이 가정용 누진제 폐지 혹은 완화를 주장한 거 알지? 이런 성화에 못 이겨 작년말에 가정용 누진제 완화해서 올해부터 가정용 요금 1조 5천억이 줄어들어. 물론 이 1조 5천억원은 서민이나 중산층 요금을 깍아준 것이 아니라 전력 다소비 가구 고소득층에게 깍아 주었지. 니들은 이런 멍청한 짓을 하고도 좋아라고 헤헤 거리고 있고, 고소득 기득권층은 매달 수십만원 전력요금 덜 내게 되어서 속으로 웃고 있고.
    올해는 가정용 누진제 완화로 가저용의 원가보상률은 80% 이하로 내려가.
    너는 원가 보상률이 무슨 의미인줄 알기는 하냐?
    산업용 원가보상률이 109라고 하는 것은 한전이 원가가 100원인 것을 기업에 109원에 팔아 9원을 남겼다는 뜻이야. 작년에 한전이 13조라는 천문학적 영엉이익을 낸 것도 다 산업용에서 이익을 냈기 때문이고.
    가정용 우너가 보상률 80이라면 한전은 원가 100원 짜리 전력을 가정에 80원에 팔아 20원 밑졌다는 뜻이야.
    사정이 이런데도 대기업이 특혜를 받고 있다고 사기를 치냐?
    현 상황이 이렇다면 한전은 산업용 단가를 올려야 할까? 가정용 단가를 올려야 할까?
    머리가 있으면 생각을 좀 하고 살아. 언론이 던져주는 사기 기사에 농락 당하지 말고.

  • 11. 길벗1
    '17.7.12 8:30 AM (118.46.xxx.145)

    macro/
    하나 더 덧 붙일께.
    뉴시스 기사는 2012년 것인데 거기에 보면 SK, GS, 포스코 등 민간 발전사들이 수천억을 벌었다고 나오지.
    이게 왜 이렇게 된 건 줄 알기나 하고 니가 이 기사 옮겼냐?
    이건 노무현이 전력수요전망을 엉터리로 해서 발생한 일이야. 무슨 말인고 잘 이해가 안되지?
    노무현은 지금 문재인처럼 신재생에너지 비중 늘리고 수요를 억제하면 원전이나 석탄 발전소 짓지 않아도 된다고 해서 발전소를 많이 안 지었어. 그 결과는? 이런 노무현의 닭짓을 이명박이 피박을 쓰게 되었지. 발전소는 최소 5년 이상 걸리는 장기 프로젝트야. 이명박 정권이 되니 전력 수요는 노무현 정권이 예상한 것보다 올라가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더디게 되니 공급이 딸리게 시작했지. 그래서 이명박 정권 시절 내내 피크 타임에 전력예비율이 4~5%를 오가 블랙아웃 걱정하고, 결국은 부분 단전하는 사태까지 빚었던 거야.
    이렇게 전력예비율이 떨어지게 되면 민간 발전사는 뗴돈을 벌게 돼.
    한전은 가장 싼 원전과 석탄 발전을 기저 전력으로 우선 매입하고 더 필요한 부분은 이보다 훨씬 비싼 유류나 LNG 발전으로 충당해. 이 때 한전(전력거래소)가 사는 가격을 SMP라고 해. 전력예비율이 떨어지면 이 SMP 가격은 가장 비싼 LNG 발전단가로 결정되게 돼. 따라서 민간 발전사는 full로 발전소 돌리고 가장 비싼 가격으로 팔아 먹으니 당시 떼돈을 번거야.
    그런데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어떻게 된 줄 아니?
    수천억 떼돈을 벌던 민간 발전사들이 수백억 적자로 돌아섰어. 왜 이렇게 된냐고? 원전 짓고 석탄발전소가 늘어나니 따라서 전력예비율도 올라가 10% 이상을 항상 유지하게 되어, 한전은 원전과 석탄발전량으로도 대부분을 충당하고 LNG 발전으로 구입하는 량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거야. 따라서 SMP 가격도 떨어지고.
    민간발전사들의 가동률이 40%로 떨어지고 정부의 보조금을 받아도 수백억식 매년 적자를 낸 거야.

    이런 기사 자꾸 올리지 마.
    니가 이런 기사 올리면 올릴수록 노무현이 욕만 들어.
    겉으로는 서민, 서민하지만 결과는 고소득층 배 부르게 하고 대기업 떼돈 벌어주게 하는게 너희들이 지지한 정권들이야.

  • 12. 길벗1
    '17.7.12 9:00 AM (118.46.xxx.145)

    macro/
    마지막으로 하나 더 서비스 하마.
    뉴시시는 수요관리제도로 기업들이 지난 5년간 2344억을 벌어들였다고 이 의원 말을 빌어 주장하고 있지.
    너는 수요관리제도가 무엇인지 알기나 하나? 이원욱(당시 민주통합당 의원)이나 뉴시스 기자나 이 제도가 어떤 것인지 쥐뿔도 모르고 저는 흰소리를 하는 거야.
    수요관리제도를 이해하려면 전력산업에 대한 기본 이해가 필요해.
    한전이나 정부 입장에서 전력을 관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 줄 아나? peak 시즌 , peak time의 전력수요야. 발전설비를 이 기준에 맞춰 발전소 건설과 운영을 결정하게 돼.
    봄, 가을 밤에는 전력을 50만 쓰고, 1년 평균 전력 수요는 70이라고 해서 70에 맞춰 발전설비를 갖춰는 것이 아니라 여름철 한 낮 100의 수요가 예상되면 발전설비를 예비율 10을 더해 110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설비를 갖춰야 하는거야. 이 때는 원전, 석탄 뿐아니라 가장 비싼 LNG 발전 전력도 한전이 구입해야 되고.
    그렇다면 한전이나 정부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발전소를 덜 짓고 가장 비싼 전력을 덜 사게 될까?
    바로 peak 시즌 peak time 전력을 낮게 할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야.
    현재 발전설비능력은 100이라고 가정해. 그런데 여름철 에어콘을 많이 틀어 낮 시간 동안 100 이상의 전력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한전은 어떤 조치를 해야 할까? 부분 단전을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블랙아웃으로 들어가게 되겠지. 이 때 기업은 피크 타임 때 한전 요구에 따라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조업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해. 당연히 조업손실이 따르겠지. 기업이 한전의 요구에 따라 조업을 중단해 주고 그 피해에 대해 보상을 받는 제도가 수요관리제도야.
    이 제도는 한전(국가)이나 기업 모두 win-win 하는 것이야.
    한전은 피크 타임 전력수요고나리를 할 수 있어 발전소를 더 짓지 않아도 되고, 피크 탕미 때 구입해야 할 고가의 전력(LNG 발전 전력)을 덜 구입해도 되니 기업에 보상을 하고도 남는 장사가 되는 거야. 기업 입장에서도 조업단축으로 제품재고관리를 할 수 있는 이점도 있고, 또 전력단가가 높은 피크 타임에 조업중단함으로써 생산원가가 가장 높은 시기에 조업단축을 하게 돼 피해액이 다소 줄어들어 한전의 지원금을 받으면 별 손해가 없어.
    지난 5년간 2344억원을 기업이 지원금을 벌었다고 하는데, 한전(국가)은 최소 2배의 실질적인 이득을 봤을거야. 못 믿겠다고? 이걸 증명하는 건 간단해. 수요관리제도를 운영하지 않았다면 한전(정부)는 원전 1기 정도나 이에 버금가는 석탄발전소나 LNG 발전소를 더 건설해야 할거야. 피크 타임에 기업이 수요관리제도가 없어 더 쓰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말이야.
    원전 1기 건설하는데 최소 2~3조야. 이런 투자를 한전이나 정부 입장에서 하지 않아도 되지.
    한전이 수요관리제도로 득을 보는 것은 이것 뿐만이 아니냐.
    피크 타임에 한전이 수요관리제도 운영하지 않을 경우 공급이 필요한 전력량은 모두 발전단가가 비싼 LNG 전력을 구입해야 해. 2012년 당시 SMP가 200원/kwh가 넘어 갔어. 원전 발전단가는 40원, 석탄은 60원 수준인데 말이야. 한전 입장에서는 하 ㄹ수 없이 200원이 넘는 비싼 LNG 발전 전력을 수입해야 하는거야. 200원에 사서 기업이나 가정에 100원도 받지 못했어. 수요관리제도를 운영하지 않게 되면 100원/kwh을 고스란히 한전이 손해를 보게 되지. 수요관리제도로 한전은 이런 막대한 이득을 보는거야.
    한전만 이익을 보게 한 것이 아니냐고? 한전이 피크 타임의 비싼 전력을 적게 사게 됨으로써 한전은 가정이나 기업에 전력요금을 싸게 해 줄 수 있는 요인이 생겨 전력요금 인상을 덜 하게 되고, 그 만큼 발전량이 줄어들게 됨을써 환경에도 좋은 거고. 이건 한전, 기업, 국가, 가정 전부 win-win 하는 것이야.
    이런 합리적인 수요관리제도를 마치 기업에 특혜를 주는 제도인 것처럼 매도하는 국회의원이나 기자나.... 그리고 이에 낚이는 너희들이나.... 이런 류의 인간들이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주도하고 있으니 내가 걱정하지 ㅇ낳을 수 있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8073 홍삼정 싫다고 하는 고딩 딸 캡슐은 어떨까요? 6 오늘도 덥네.. 2017/07/12 831
708072 예수왕권이라는 이단 지긋지긋 2017/07/12 443
708071 영어학원 그만두고 제가가르칠수 있을까요? 8 6학년 2017/07/12 1,467
708070 창업부담금 최대프랜차이즈 버거킹.5억원 육박 2 ... 2017/07/12 1,211
708069 카톡 초보인데요 카카오 2017/07/12 395
708068 삶은 오징어 먹고싶네요.. 1 2017/07/12 645
708067 여자들 섹x 비디오 유츌이니 하는 문제 10 커피스미스 2017/07/12 3,621
708066 고 3되면 공부만 하는 줄 알았는데...... 7 ㅇㅇ 2017/07/12 2,032
708065 정말로 강아지키우는개 아이 키우는 것과 같나요? 18 그럴까? 2017/07/12 3,570
708064 직장다니시는분들 스타킹 신으세요? 1 d 2017/07/12 1,293
708063 궁민당의 가이드라인 5 궁민당 2017/07/12 650
708062 부동산 실장 하시는분들 급여가 얼마나되나요 전 학원강사입니다 7 고민 2017/07/12 6,999
708061 요즘 문통생각은 추경! 추경에 도움되는 정치인에게 응원을? 2 --- 2017/07/12 438
708060 (고민상담) 생리 불순 1 43세 직딩.. 2017/07/12 739
708059 남편이 자기집 안간다고 선언한지 9 이럴때는 2017/07/12 4,447
708058 강아지가 눈마주치는거 4 긴머리 2017/07/12 2,118
708057 이런 만남 계속 하시겠어요? 8 .... 2017/07/12 2,457
708056 고3수시컨설팅 2 해볼까 2017/07/12 1,151
708055 경비 아저씨 건의 해도 될까요? 7 예민한가요 2017/07/12 1,480
708054 아침을 잘 차려 드시는 분 7 메뉴 2017/07/12 1,966
708053 특목고에서 중간 정도 하는 애들은 입시전략 어떻게 세우나요? 5 입시 2017/07/12 1,904
708052 &quot;그닥&quot; &quot;고급.. 싸이클라이더.. 2017/07/12 394
708051 공부못하는 자식을 둔 마음이란 19 마음내려놓기.. 2017/07/12 9,090
708050 드라마 군주에서 왜 왕은 왕자에게 가면을 씌였나요? 2 0,,0? 2017/07/12 1,347
708049 라스베가스 아시는 분... 2 ... 2017/07/12 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