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부를 그리 시켜도 수학 50점 맞아오는 아이는 포기해야 할까요?

쪼아쪼아 조회수 : 5,006
작성일 : 2017-07-11 15:37:08

초2구여. 지필평가 본다고 한달전부터 예고하더라구여

그래서 이번엔 좀 교과서로 개념 잡고 그 후 문제집도 여러권 풀고

틀린거 또 다시 풀리고 이해시키고 정성을 들였는데 50점 맞아왔네요.

단원평가 늘 50~60점대예요. 어디가서 말도 못하겠어요.

공부를 안시키는건 아닌데, 애 머리가 진짜 나빠서 그런가봐여

이런아이에게 사교육에 돈을 들일 필요가 없을 것 같아요.

그냥 시컷 놀게 해주는게 가장 좋은 걸까요?

팩토,가베며 영어학원에 구몬수학에 다 소용없는 짓인것 같아요

머리나쁜 애한테 이것저것 시켜봣자 그게 다 머리에 들어갈 리도 없고

다른거 잘하고 좋아하는게 뭔지 좀 찾아줘야겠네요.

너무 심란합니다. 머리나쁜 애는 진짜 공부 안 시키는게 정답인가봐여.

너무 좌절감이 밀려오네요 

근데 국어는 가끔 100점도 맞아오고, 한두개 틀려와요.

책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꽝은 아닌듯 한데, 도대체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지 ㅠㅠ

IP : 112.221.xxx.6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7.11 3:39 PM (1.237.xxx.35)

    국어 잘하면 수학도 나중에 잘해요
    연산이 부족한거 같은데 연산 꾸준히 시키세요
    기탄수학 서점가면 팝니다

  • 2. 2학년이면
    '17.7.11 3:41 PM (58.231.xxx.36)

    수가르기 모으기 정도인데 세자리수까지
    엄마가 교과서랑 문제집 연구좀 하고
    같이 풀때 유심히 보세요
    어디가 생소하게 느끼는지.
    숙달되지않아서 그래요
    아직은 몰라요 수학적성이 있는지없는지 까지는

  • 3. ㅇㅇ
    '17.7.11 3:43 PM (175.223.xxx.41)

    그래도 수학연산은 꾸준히 시키세요.

  • 4.
    '17.7.11 3:53 PM (125.184.xxx.64)

    2학년이면 엄마가 봐주면 훨씬 도움될거에요.
    틀린부분 분석은 엄마가 해주세요. 분명히 잘하는 부분이 있고 계속 실수하는 부분 있을거에요.

  • 5. 문제집
    '17.7.11 4:05 PM (211.199.xxx.141)

    여러권 풀리지 말고 교과서만 풀려요.
    그리고 평소에 꾸준히 교과서 개념과 문제를 익히고요.
    구몬수학 이런거보다 자유롭게 책 읽는 시간을 많이 주세요.

  • 6. ..
    '17.7.11 4:08 PM (1.238.xxx.165)

    초2 그나마 어려운 부분짚으라면 반아올림 내림 이런거일테고 지금은 곱셈단원들어가죠. 한달동안 공부할정도로 공부할게 있나요. 지필평가는 글을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글을 잘 써야 해요

  • 7. 울 애
    '17.7.11 4:12 PM (122.32.xxx.131)

    초등 1학년때부터 수학 60점대, 받아쓰기는 10점도 받아오고
    암튼 초등저학년때는 그러했는데요
    저 윗님처럼 연산학습지는 꾸준히 하면서
    관심의 끈을 놓지는 않았어요
    책 계속 보게 하고
    그러더니 초등 고학년때부터 점수가 확 오르더군요
    아이가 늦된 아이라 머리가 늦게 트였다고 생각되요
    지금 중학생인데 수학은 초등때보다 더 잘해요
    1,2개 정도 틀리거나 백점도 받아오고 그러네요
    국어도 잘하구요
    아이의 속도라는게 있더군요

  • 8. ..
    '17.7.11 4:17 PM (223.38.xxx.163)

    저 그 나이대에 받아쓰기 연습하자하면 실선으로 그려놓고..
    학습지에 풀 발라놓기...재능수학 페이지 뜯기 답지 베끼기 등등 아주 진상 다 부려서 수학은 매번 빵점 받아왔는데..
    중고등학교 6년내내 수학 다맞거나 한개 틀렸고 대학은 서울소재의 수학과 갔어요...초3때부터 부모님이 연산연습 엄청 시키셨어요..연산은 연습이 최고고요. 분수덧셈 파트 놓치면 더 힘들어지니 포기 마시고 조급해마시고 어디서 틀리나 왜 틀리나 찾아보시고 시키시고요. 연산은 연습이 최고지만 덧셈이나 수 가르기 같은건 바둑돌 같은걸로 자리수 바뀌는거랑 덧셈의 원리 곱셈의 원리를 이해시켜보세요..

  • 9. ....
    '17.7.11 4:26 PM (211.36.xxx.215) - 삭제된댓글

    늦된 아이가 있어요.
    그런 애들은 좀 천천히 반복해가며 가르치고 너무 다그치지 마세요.

  • 10. marco
    '17.7.11 4:40 PM (14.37.xxx.183)

    우리 어머니 공부 못해도 크게 뭐라하지 않으심...
    나중에 물어봤어요.
    왜 그랬냐니까?
    본인이 학교(국민학교뿐이 못나왔지만)다닐때
    공부를 못했답니다...

  • 11. 원글
    '17.7.11 4:44 PM (112.221.xxx.60)

    제가 그 늦된 아이였답니다. 신랑은 5살때 구구단외우고 천재소리 듣던 아이였구여. 근데 아이는 저를 닮았나봐여. 제가 초저학년때 50,60점 받았거든요. 근데 고학년되면서 80점이상 끌어올리고 중고가서는 거의 영수는 90점이상, 전교10등안에 들었답니다. 그냥 저 닮아서 늦게 트이는 아이구나 받아들여야 겠네요.

  • 12. 에어콘
    '17.7.11 5:09 PM (122.43.xxx.181)

    저도 애가 여러 명이라서 그 마음 이해합니다. 그냥 타고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국어를 잘하니 가능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애들이 괜찮아 막내에게도 수학 영재교육을 시켰었는데, 좌절감만 주고 좋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잘하고 좋아하는 것을 많이 시키면 안 좋은 과목에도 그 효과가 파급되는 것 같습니다. 못하는 과목이 잘하는 과목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주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기 아이한테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최대한 객관성을 유지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 13. 경험자
    '17.7.11 5:11 PM (125.129.xxx.107)

    고학년쯤엔 조금 윤곽이 드러나지만, 저학년에는 아직 몰라요. 연산이나 시키고, 교과서나 풀리세요. 아무 문제 없어요. 영어랑 한글독서, 놀이나 부지런히 시키세요.

  • 14. ㅋㅋ
    '17.7.11 5:21 PM (182.221.xxx.216)

    국어 잘하면 나중에 수학잘한다?
    동의 못합니다.
    제 아들이 그래요.
    고3인데 더 나중은 모르겠지만
    현재는 여전히 아니올시다 입니다.

  • 15. 초6백점이었던
    '17.7.11 6:21 PM (221.145.xxx.131)

    초등6학년 내내 국어수학은 95점 이상이었는데
    이번 61점.60점 가져왔는데요..
    어이가 없더라구요
    위로가 못 되어드렸네요 죄송
    저라면 국어가 되는 아이라면 연산 탄탄히 개념 탄탄히 잡을 것 같아요
    다른 사람 힘을 빌리는 것 추천합니다

  • 16. 봄빛
    '17.7.11 6:38 PM (210.95.xxx.171)

    팩토는 학교 수학에는 크게 도움되지 않아요.
    우선 학교 수학 성적이 급하다고 판단되면 잠시
    쉬셔도 괜찮을듯 해요.

    세자리수 수개념이나 연산에 문제가 없다면
    가르기 모으기에서 충분한 개념 이해가 안되는 걸 수도
    있어요. 연산은 잘 하는데 가르기 모으기 문제는 틀리는
    아이들 생각보다 많아요.
    어느 영역에서 틀리는지 지금껏 풀었던 문제들을 한번
    분석해보세요. 연산에 문제가 없다면 다음 학년에는
    성적을 회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유난히 가르기 모으기를
    못하는 아이들이 있거든요. 쉬운 단계부터 다시 공부해보세요.
    서점에 영역별로 구분해서 나와있는 문제집들이 많아요.
    모자라는 부분만 다시 다지면서 공부해보세요

  • 17. 나옹
    '17.7.11 8:10 PM (39.117.xxx.187)

    느린 아이 같은데 문제집을 몇권이나 어떻게 풀었나요? 엄마가 직접 봐주신 건가요? 연산에 구멍이 있는 것 같은데 문제집 스스로 푼 게 확실하다면 틀린 문제 다시 풀기를 안 한 것 같아요. 쉬운 걸 확실히 하고 다음걸 해야 하는데. 학원 보내시는 거면 그 학원 당장 끊으시고 집에서 기적의 계산법이나 기탄 같은 걸로 1학년부터 다시 시작하세요. 2학년이면 괜찮아요. 6학년인데 1학년꺼부터 다시 시작해서 따라잡기도 하는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8956 책 계속 읽어달라고 하는 아이 세이펜 도움되나요? 5 . . 2017/07/13 918
708955 밖에서 일하시는 남자분 간식 뭐가 좋을까요 6 간식 2017/07/13 1,082
708954 패키지로 베트남 여행가려 하는데요 3 베트남 2017/07/13 2,084
708953 국정원 적폐청산 테스크포스가 뭐길래.. 반대? 3 적폐들 2017/07/13 608
708952 신생아 집에 오는 10월중순에 에어컨 필요할까요? 9 10월 2017/07/13 1,530
708951 아이들과 합창하는 김정숙 여사 5 zzz 2017/07/13 1,996
708950 코스트코에 스웨덴 에그비누 파나요? 6 .. 2017/07/13 2,045
708949 이시영, 남편은 ‘외식업계 큰손’ 조승현 대표 39 2017/07/13 35,533
708948 대중교통으로 다니기 좋은 국내 여행지 어디 있을까요? 8 == 2017/07/13 1,703
708947 마우스 클릭하는데 팔꿈치 안쪽으로 힘이 없어진달까 그런 느낌이요.. 1 이게 뭘까요.. 2017/07/13 326
708946 속 좁은 사람 3 2017/07/13 1,178
708945 이준서, '제보자 없다' 이유미 메시지 수사 직전 삭제 8 ... 2017/07/13 1,897
708944 압력밥솥 알려주세요. 2 민성맘 2017/07/13 614
708943 국내에서 성인 전용 수영장 있는 곳? 6 여름 2017/07/13 1,308
708942 한국야쿠르트 반찬, 국 드셔보신 분 계세요? 3 불량주부 2017/07/13 1,774
708941 북한, 미국에게 레드라인을 선언했다. 3 정의의 화신.. 2017/07/13 728
708940 여자가 남자sns 자주 방문하는건 왜그런거죠? 1 오케이강 2017/07/13 630
708939 임종석 실장 추미애 대신 사과...추경 통과 움직임 30 추경통과조짐.. 2017/07/13 2,909
708938 40세...아이돌봄 일 해보면 어떨까요? 6 -- 2017/07/13 2,452
708937 요즘 밑반찬 뭐 드세요? 9 ... 2017/07/13 3,551
708936 더운 여름 집에서 애기보시는 시터 이모님 걱정되요.. 12 ㅇㅇ 2017/07/13 4,546
708935 강서 양천 영등포쪽 재활병원 추천 바랍니다. 1 유병장수시대.. 2017/07/13 774
708934 다이어트 성공하신 분들 요요 조심하세요 6 ,,,, 2017/07/13 2,921
708933 82에 제욕을 쓴 사람이 있네요 17 황당 2017/07/13 5,922
708932 에코그릴 쓰시는분계시나요 1 에코 2017/07/13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