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대 아이(여) 진로문제 여쭤볼께요

... 조회수 : 939
작성일 : 2017-07-10 12:28:57

당사자 스펙은 영어 네이티브(토플, 토익, 토스 만점), SKY 자연계 졸예.
영어로 과학, 수학, SAT 과외를 대학 내내 함.
방학마다 정부출연기관, 의료쪽 연구소, 실험실에서 실험조교 등의 알바함.
컴을 잘 다루고 얼리어덥터라고 해야 하나 신기자재에 관심이 많고 능함.
전문직종으로 편입하려고 2년간 빡쎄게 공부하다 포기하고 취업으로 돌렸는데 아래 두 개에 합격했어요.

아래 두 개 중에 어느 것이 나을까요?
승진 빨리하고 직업적으로 성공하려면 어떤 것이 더 나은가요?
당사자가 궁금하다고 해서 올립니다.

1. 월급이 조금 많은 대기업에 신입으로 들어가서 오랫동안 근무한다. 대리-과장-부장-이사(?)
2. 월급이 처음에는 적지만, 컨설팅펌이나 전공 관련 외국계 회사,글로벌기업에 들어가서 이직을 통해 승진을 하며 몸값을 올린다.



IP : 221.139.xxx.166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7.10 12:35 PM (121.128.xxx.179)

    주변 지인들 보면 1번은 여자의 경우 결혼하고 아이 낳고 육아 휴직 쓰고 하다 보면
    과장에서 더 승진 하기 어려워요. 안정적이고요.
    아주 띄어난 경우 빼고요.
    2번은 계속 공부하고 1번보다 에너지가 더 필요하고 노력 많이 해야 하고요

    노력하고 진취적인 성격이면 2번이 더 나아요.
    본인이 선택 하세요.
    제가 보기엔 2번이 따님하고 더 맞는것 같아요.

  • 2. ㅇㅇ
    '17.7.10 12:43 PM (211.237.xxx.138)

    1 번하다가 사정상 2년만에 2번으로 옮기고 2번에서 여러 파트에서 실무 쌓고 이직한후 지금 50세 다 됐는데도
    연봉 2억 가까이 받고 다니는 사람 알고 있어요.
    88학번이고 성대 자연계열 출신이에요.

  • 3. 그렇군
    '17.7.10 12:57 PM (211.243.xxx.187) - 삭제된댓글

    외국계회사 들어갈때는 한국지사 소속인지 본사소속인지 계약서 잘 확인해서 입사하세요.
    본사소속이라야 더 좋아요.
    지사는 아무래도 없어지면 갈데가 없죠. 본사소속으로 계약한 사람들은 지사가 없어져도 본사에서 데려가더라구요.
    제 친구가 그런케이스인데 미국가서 살아요.

  • 4. ...
    '17.7.10 1:44 PM (222.232.xxx.179)

    자연계면 공대는 아닌거죠??
    1번 대기업이 공대쪽 연구소나 공장이면
    아이 성향이 공돌이과가 아니면 보내지 마세요
    여자들이 남자들이랑 뇌 쓰는ㅈ부분이 달라서 그런지
    남초회사에서 남자들이랑 코드 잘 안맞으면 힘들어요
    전 저희 남편 보니
    연구소인데 여사원 한번 잘못 들어오면
    8명 할 일을 7명이 1/n을 하더군요
    톱니처럼 맞물려가지를 못해서요
    공돌이 성향 아님 대기업 입사 마시고
    2번이 낫겠네요
    그런데 2번은 개인의 역량에 따라,
    개인의 에너지를 다 쏟아 부어야해서리..

  • 5. 원글입니다
    '17.7.11 4:08 PM (221.139.xxx.166) - 삭제된댓글

    댓글 감사드려요.
    지난 한달동안 엄청 고민했는데, 이글의 댓글들 보고 정리가 됐어요.
    고민한 이유는 1번은 우리나라 최고의 대기업이지만 조직내 소모품으로 될 수 있다, 잠재력이나 실력 발휘/인정이 안될 수 있을 거 같고,
    2번은 업계 최고의 회사고 잘되면 대박이나, 일반인에게 네임밸류가 떨어지고, 이 안에서 밀려나면 한길 한길이 어려워지고 결국 괴외샘으로 종결될지 모른다였어요.
    당사자도 주변인도 하루에도 두세번씩 마음이 바뀌었는데 최종적으로 1번으로 결정했거든요.
    첫댓글님 글 보고 1번으로 하는게 낫겟다 했는데, 2번님 댓글에 딱 그런 사례가 있네요. 이직을 안하고 잘 다니면 더 좋겠으나 혹시나 이직을 하게 될 때,
    국내 최고대기업에 근무했던 경력이, 나중에 2번 회사로 가게되더라도 오히려 플라스요인이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6. 원글입니다
    '17.7.11 4:16 PM (221.139.xxx.166)

    댓글 감사드려요.
    지난 한달동안 엄청 고민했는데, 이글의 댓글들 보고 정리가 됐어요.
    고민한 이유는 1번은 우리나라 최고의 대기업이고 월급과 복지가 좋다. 그러나 잠재력이나 실력이 발휘/인정이 안될 수 있고, 조직내 소모품으로 될 수 있다. 10년 20년 후에 2번의 경력자들이 윗선으로 계속 들어올 수도 있을지 모른다.
    2번은 업계 최고의 회사고 잘되면 대박이나, 일반인에게 네임밸류가 떨어지고, 이 안에서 밀려나면 한길 한길이 어려워지고 결국 괴외샘으로 종결될지 모른다였어요.
    당사자도 주변인도 하루에도 두세번씩 마음이 바뀌었는데 최종적으로 1번으로 결정했거든요.
    첫댓글님 글이 오히려 1번으로 굳히는데 도움을 줬어요. 2번님 댓글이 그런 사례를 올려주셨고요.
    이직을 안하고 잘 다니면 더 좋겠으나 혹시나 이직을 하게 될 때, 국내 최고대기업에 근무했던 경력이, 나중에 2번 회사로 가게되더라도 오히려 플라스요인이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 감사드려요. 1번 가서 이직 안하고 10년, 20년 후에 승진은 안되고 2번들에게 밀리는 상황이 될 수도 있겠지만, 현재 선택에 마음을 굳히는 계기가 되었어요. 항상 그때 그때 마음의 평화가 있는게 가장 행복하다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9141 미국에서 소파 사서 가기? 한국에서 사기?? 11 미국가구 2017/07/14 2,826
709140 돼지고기를 김치냉장고에 1주일 정도 그냥 놔뒀는데 괜찮나요? 11 김냉 2017/07/14 9,406
709139 아이스크림중에요... 8 단거 짠건 .. 2017/07/14 1,120
709138 PT 일년 정도 하면 근육 생길까요? 3 ㅡㅡ 2017/07/14 2,248
709137 내용없음 13 .. 2017/07/14 4,213
709136 목동 뒷단지 지구과학 소규모학원 알려주세요 2 .. 2017/07/14 905
709135 (급질) 점심 때 먹을 샌드위치 - 빵을 굽는 게 나을까요? 4 급급 2017/07/14 1,188
709134 저녁굶고 많이 빼신분 계시나요 9 계속 2017/07/14 3,294
709133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라는 영화가 있어요 74 ㅁㄴㅇㄹ 2017/07/14 4,870
709132 모성애애 관려된 댓글에서 봤는데 신노스케 2017/07/14 502
709131 주말부부 가능할까요? 16 .. 2017/07/14 2,681
709130 내일 워싱턴 보름, 뱅쿠버 보름 갑니다 6 어려움 2017/07/14 1,209
709129 통역대학원 나왔어요 24 김민식PD 2017/07/14 6,694
709128 MBC 김장겸은 물러나라!!! 7 richwo.. 2017/07/14 752
709127 헬스장 운동화(PT랑 줌바) 뭐 신으세요? 3 건강하자 2017/07/14 2,450
709126 아이 코골이 수술병원 추천 부탁드려요.(한국 방문예정) 2 sunnyr.. 2017/07/14 1,061
709125 한번 상담비 100만원 9 학종 2017/07/14 5,326
709124 의식의 흐름 103 ㅠㅠ 2017/07/14 16,909
709123 커트러리 쓰시는 분들 추천해주세요~ 2 고민중 2017/07/14 1,317
709122 저도 머메이드 치마있는데 입어도 될까요? 3 ㅇㅇ 2017/07/14 1,346
709121 (더러움죄송) 변비-푸룬주스 관련 질문입니다. 7 쾌변바라기 2017/07/14 4,517
709120 아이 일기장에.....엄마욕만 잔뜩 있어요 23 한숨 2017/07/14 10,593
709119 김민식 pd 세바시 4 ... 2017/07/14 1,516
709118 광고 안 볼 수 없나요? 공주 2017/07/14 330
709117 추미애는 맞고소까지 당했는데 저정도 발언 할만하지 않나요? 9 ㅇㅇ 2017/07/14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