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윤태웅 칼럼, 부드러운 언어와 날카로운 논리

high 조회수 : 558
작성일 : 2017-06-09 16:46:39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7736.html


고려대 공대 교수님 칼럼입니다.



사설.칼럼칼럼

[세상 읽기] 부드러운 언어와 날카로운 논리 / 윤태웅

등록 :2017-06-06 19:27수정 :2017-06-07 10:06

페이스북
932
트위터
0
공유
구글플러스네이버블로그카카오스토리싸이월드메일
스크랩프린트

크게 작게

윤태웅
ESC 대표·고려대 공대 교수

수학적 표현에 열광하거나 분노할 이들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언어로서 수학은 건조합니다. 모호하지 않아 오해의 소지도 없습니다. 같은 단어를 다른 의미로 쓰지 않으며, 모두 동일한 추론 규칙을 사용하지요. 토론 과정에서 목소리를 높일 필요도 없고, 사람들끼리 상처를 주고받을 이유도 없습니다. 수학적 성과에 경외감을 느끼거나 그런 일을 성취한 수학자의 삶에 감동할 순 있겠지만, 수학적 논리 전개의 과정엔 지극히 건조한 단어와 문장이 등장할 뿐입니다. 화려하지도, 자극적이지도 않습니다. 단순한 구성 요소로 빚어내지만, 결과물은 아주 단단합니다. 아무도 그 논리를 부정할 수 없으니까요.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고도 하지만, 글로 빚은 원한이 만년 간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무슨 말을 하는가?’보다 ‘그 말을 어떻게 하는가?’에 저는 더 관심이 있습니다. 사람은 감성적 동물이기에 일상의 영역에선 논리 못지않게 감성적 소통도 중요하지요. 논리와 감성은 서로 무관하지 않습니다. 필요 이상으로 강한 표현이나 없어도 되는 문장 성분이 갈등과 오해의 소지가 되기도 하고요. 건조한 단어와 문장으로 수학적 추론을 이어가듯, 필수적인 요소만으로 군더더기 없는 논증을 펼치는 건 논리와 감성 양면에서 모두 바람직한 일이라 여깁니다.

사람들이 주고받는 말에 너무 날이 서 있습니다. 꼭 베일 것만 같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관련 호칭 문제나 <한겨레21>의 표지 사진을 둘러싼 논란에서도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어떤 이는 오만했고, 어떤 이는 무모했으며, 충돌은 거칠었습니다. 소모적이었지요. 날카로운 논리를 설득력 있게 펴기 위해서라도 표현의 날은 무디게 해야 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달을 가리키는데 왜 손가락만 가지고 뭐라 하냐 따질 수도 있겠지만, 달을 잘 가리키는 일도 중요합니다. 손가락에 집중하느라 달을 보지 못한다면 억울하다 해야겠지요. 상대방이 야유와 경멸의 대상이 아니라 설득의 대상이라면 말입니다.

부드러운 언어로 정중하게 수평적 소통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두루뭉술하게 하자는 게 아닙니다. 개념을 정확히 정의하며, 반드시 해야 할 이야기만 구체적으로 하자는 것입니다. 거칢과 마찬가지로 부드러움도 논리적으론 불필요한 요소 아니냐는 지적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칢이 소모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면, 부드러움은 핵심 논점에 집중할 수 있게끔 도와줍니다. 주장을 함과 동시에 들을 준비가 돼 있음을 밝히는 의사 표시가 되기도 할 테고요.

문빠라는 단어는 모호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열정적 지지자를 가리킬 수도 있고, 별생각 없는 맹목적 지지자를 일컬을 수도 있습니다. 둘은 의미가 꽤 다릅니다. 맹목적 지지자라는 뜻이었다면 대상을 비하한 셈이겠고요. 어떤 판단으로든 설득이 목적이라면 쓸 이유가 없는 표현인 듯합니다. 또 한겨레를 한걸레라고 하는 순간, 촛불 시민의 곁을 줄곧 지켜왔던 한겨레는 청산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셈이 되겠지요. 적어도 그건 아니지 않겠습니까? 새날을 꿈꾸며 같이 촛불을 들었던 사람들끼리 서로 너무 상처 주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한겨레도 더 겸손해지길 기대해봅니다.

세상은 아직 그대로고, 우린 이제 겨우 첫발을 내디뎠을 뿐입니다. 같은 방향을 바라보더라도 생각은 조금씩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차이는 발전의 소중한 동력입니다. 부드러운 언어로 치열하게 소통하며 함께 길을 만들어 가야 하겠지요. 우리가 현명하지 않으면 어찌될지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7736.html#csidxe96c031e780a553bba...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7736.html#csidx8b5de23cccbc173bf5...

IP : 116.127.xxx.194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잘 읽었습니다
    '17.6.9 4:53 PM (115.140.xxx.155)

    잘 읽었습니다. 반론 한자락 펴고 싶은 마음도 있으나 칼럼 내용 중
    '날카로운 논리를 설득력 있게 펴기 위해서라도 표현의 날은 무디게 해야 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라는 말에 수긍하기에 마음에 새겨 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6520 샤넬 섀도우 4구 스파이스 살구색 이랑 같은색 있을까요? 4 샤넬 아이섀.. 2017/06/10 1,757
696519 북한, 중국을 졸개로 개무시 한다 3 달타냥 2017/06/10 685
696518 만두재료 좀 봐주세요 3 . . . 2017/06/10 706
696517 베란다열면 대도로변아파트 살기에 별로일까요? 23 곰배령 2017/06/10 4,554
696516 6.10 민주화 운동 행사 하는거 첨봐요 1 ㅇㅇ 2017/06/10 561
696515 지금 CGV 케이블tv 방송 보다가 happy 2017/06/10 409
696514 해외여행가면 한국음식 먹나요? 외국음식 먹나요? 19 ㅇㅇ 2017/06/10 2,649
696513 강아지보습제 질문이요 3 피부가려워 2017/06/10 788
696512 수학) 이 패튼은 어떤 숫자인지요? 9 알려주세요 2017/06/10 760
696511 드럼세탁기 세탁하면 옷에 흰색 먼지 묻는거 없애는 방법 있나요?.. 5 ㅇㅇ 2017/06/10 3,151
696510 10년 넘은 소파수리 2 장미향 2017/06/10 1,304
696509 오랜만에 무도 보는데 12 .. 2017/06/10 5,054
696508 덜익은 풋살구로 청 담궈도 되나요? ... 2017/06/10 526
696507 목향 키우시는 분 계신가요? 도와주세요 3 2017/06/10 628
696506 사회복지일도 적성에 안맞으면 못하겠어요 10 ㆍㆍ 2017/06/10 4,046
696505 해외에 사고력수학 문제집 보내주려는데 뭐가 좋을까요? ... 2017/06/10 405
696504 김정숙 여사님 광야에서 제창 때 소울 충만 ^^ 13 0 0 2017/06/10 6,433
696503 저주파차료기 사용하시는 분 계세요? 4 저주파차료기.. 2017/06/10 1,891
696502 맞선에서 남자키가 작네요ᆢ 11 실망 2017/06/10 6,806
696501 담배연기 올라와서 말했더니 59 기막혀서 2017/06/10 15,019
696500 남편이 그지.개떡같아요ㅜ 이런남편 흔치않죠? 18 ... 2017/06/10 10,203
696499 자색양파 어찌먹나요? 3 양파 2017/06/10 1,607
696498 文대통령, 청와대로 가던 차 세워 시민들과 즉석소통 2 ... 2017/06/10 1,578
696497 지금 불후명곡 박미경 편이네요.. 6 불명 2017/06/10 1,302
696496 이사갈때 지금 아랫집에 선물할까요? 6 .. 2017/06/1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