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에어컨 실외기를 밖에 못다는 아파트인데요...

어디설치? 조회수 : 7,213
작성일 : 2017-05-27 09:38:27

이사온 아파트가, 실외기를 난간에 매달지 못하게 하네요.(이유는 몰라요)

안쓰던 오래된 스탠드형 에어컨은 이사오면서 버리고 왔고,

아이방에만 일단 벽걸이 하나 달아주려고 하거든요.

실외기를, 아이방의 베란다(확장방인데 내창을 이번에 설치했어요)에 놓고 쓰면 되나요?

실외기 소음이 심하진 않나요?

아이가 살짝 예민한 편이거든요.

거실 베란다나, 안방베란다로 빼내어서 설치해야할까요?

거실 베란다는 내창은 설치됐지만, 바닥에 마루가 깔려있어서 괜찮은 건지 모르겠네요.


IP : 125.129.xxx.138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5.27 9:51 AM (124.111.xxx.201)

    아이방 에어컨 실외기를 안방앞에 설치하면
    선이 너무 길지않나 싶네요.
    그렇다고 예민한 아이면 자기방 앞에
    설치하는 실외기가 거슬리긴 할테지만
    그건 자기 시원하자는거니 감수해야 하지 않을까요?

  • 2. 원글이
    '17.5.27 9:52 AM (125.129.xxx.138)

    ㄴ예민한 편이 아니라면, 그냥 방 베란다에 설치해도 큰 문제 없다는 말씀이지요?

  • 3. ..
    '17.5.27 9:54 AM (183.98.xxx.95)

    시끄러운것도 그렇지만 그 열기가 장난 아니지 않나요? 지난번 방송에서 실외기에서 가장 위험한게 화재라네요
    저희집이 이 경우인데 욕나와요 전 여름에 가끔씩 베란다에 나가서 실외기 위로 물 조금씩 뿌려줘요
    스탠드경험담이에요 관리소에 ㅗ좀 물어보세요 미관상 그런 아파트가 있더라구요

  • 4. 원글이
    '17.5.27 9:58 AM (125.129.xxx.138)

    ㄴ관리실에 물어봐도 별 도움이 안되더라구요.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물어봐도 되겠지만, 미리 좀 알고나서 주문하려구요. 열기도 장난아니군요... 바깥 창문은 열어놓겠지만...안해본 거라 걱정이 많이 되네요.

  • 5. fay
    '17.5.27 10:02 AM (223.62.xxx.251)

    혹시 옆방이라도 제대로 된 베란다가 있으면 벽 하나나 둘 뚫고 옆방 베란다에 놓으세요
    저희집도 이사해보니 거실과 안방에만 매립배관이 되어있고 나머지방 세개는 에어컨 못 다는 구조였는데
    에어컨 실외기 두는 곳과 가까운 방은 벽 뚫고 연결해서 달았어요.
    회사에 따라 벽 뚫는 비용, 관 비용 (미터당 만원ㅡ이만원?) 추가하면 됩니다.
    무엇보다, 일단 대리점 가셔서 집구조 설명하고 의논해보셔요. 많이 상의해보셔야 좋은 생각이 나고,
    또 실제 설치하는 분이 와서 보셔야 확실하게 알려주시더라구요.
    기사님이 와서 보시고 설치가 불가능하면 환불도 된다고 하데요.

  • 6. 아이방 확장
    '17.5.27 10:04 AM (121.145.xxx.252)

    베란다가있는거란말씀이신가요???
    아이방을 확장했다면 실외기 못놓는거고 그냥 베란다식이면 앞에 샤시(?)라고해야하나 환기가능한 문은 있는거죠???
    소음도 소음이지만 윗분말씀처럼 열기 장난아닙니다
    저희 집도 현재도 예전도 그런데 애매한 시기에 만들어진 아파트 다용도실이나 실외기 장소없으면서 미관 안정상 이유로 밖에 못하게 하는 아파트 진짜;;;대책없어요
    열기도 장난아니고 항상 환기 잊음 안되구요 윗분처럼 너무 뜨거우면 화재원인도 있구요

  • 7. ...
    '17.5.27 10:05 AM (222.106.xxx.233)

    내창, 외창이 모두 있는 베란다에 설치하셔야죠. 내창은 닫고 외창은 얼어놓아야 하니까요.
    윗분 말씀대로 벽을 뚫고 설치하시고, 나중에라도 거실 또는 안방에도 에어콘 다실 거면
    한번에 같이 설치하셔서 실외기를 하나로 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 8. 깜찍이들
    '17.5.27 10:09 AM (1.227.xxx.203)

    아이방이라면 베란자처럼 통창문이 아닌거죠?
    그럼 창문높이에 달아야하는데 미관상으로
    보기안좋더라구요
    그냥 벽을 뚫어서 베란다 바닥에 놓는게 젤
    낫긴하던데요

  • 9. 원글이
    '17.5.27 10:09 AM (125.129.xxx.138) - 삭제된댓글

    아이방, 거실 모두 확장이었는데 저희가 내창만 둘다 설치한 형태거든요.원래의 외창은 있구요.
    거실 바닥은 마루라서 웬지 썩지 않을까 걱정이기도 하고... 제대로된 타일 깔린 베란다는 안방 베란다인데, 아이방까지 거리가 좀 되지만 직선이니 돈만 추가하면 가능하겠죠?
    거실은 저희집 특성상 에어컨 필요없을 것 같고, 안방은 나중에 보고 필요하다 싶으면 추가로 벽걸이 달려고요. 떨어진 방인데다 둘다 벽걸이면, 어차피 투인원은 안되지 않나요?
    (많은 분들 댓글 달아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 10. 원글이
    '17.5.27 10:10 AM (125.129.xxx.138)

    아이방, 거실 모두 확장이었는데 저희가 내창만 둘다 설치한 형태거든요.원래의 외창은 있구요.
    거실쪽 베란다 바닥은 마루라서 웬지 썩지 않을까 걱정이기도 하고... 제대로된 타일 깔린 베란다는 안방 베란다인데, 아이방까지 거리가 좀 되지만 직선이니 돈만 추가하면 가능하겠죠?
    거실은 저희집 특성상 에어컨 필요없을 것 같고, 안방은 나중에 보고 필요하다 싶으면 추가로 벽걸이 달려고요. 떨어진 방인데다 둘다 벽걸이면, 어차피 투인원은 안되지 않나요?
    (많은 분들 댓글 달아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 11. 잘 모르지만,ㅎ
    '17.5.27 10:17 AM (121.145.xxx.252)

    집구조를 잘 모르지만 벽을 뚫어야하는거고 미관상 투윈원보다 각자 실외기가 나을지도 몰라요
    거실 안방은 보통은 붙어 있기에 한쪽이 벽에 구멍을 내고 최소 거리로 연결하지만
    예전 저희집 구조는 거실-주방-안방 이런구조여서 벽을 뚫을수도없고 주방이 한번 거쳐있기땜에
    투인원이였는데 결국 거실에 두고 안방은 아예 설치도 못했어요

    마루바닥은 가끔 냉각수?라고해야하나 물이 좀 떨어질수도있어서 걸레같이 여분에 마른걸레를 주로 깔아뒀구요 현재 집은 원글남 말씀처럼 타일이여서 무방합니다^^

  • 12. 원글이
    '17.5.27 10:27 AM (125.129.xxx.138)

    아이방은 통창문(벽전체 길이의 창문 말씀이시죠?) 맞고요. 그럼 미관상 괜찮을까요? 제가 답변도 잘 이해하지 못하네요.ㅜㅜ
    그리고, 에어컨에서 역시 물이 떨어지는군요... 에어컨 별로 안좋아해서 거의 설치도 안하고 안쓰고 살다가, 아들이 크니 하나 달아줘야할 것 같은데, 아파트가 이래서 어려움이 있네요. 예전에 이 집 살던 사람도 에어컨 하나도 안 달고 살았더라구요.

  • 13. ㅇㅇ
    '17.5.27 10:39 AM (218.153.xxx.185)

    에어컨에서 물이 떨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줄줄줄 나옵니다.
    배관이 길어질수록 냉매가 오가는 손실량이 커서 비추구요.

  • 14. ㅇㅇ
    '17.5.27 10:40 AM (218.153.xxx.185)

    실외기를 베란다에 놓고 쓰면 창문을 열어놔도 그 베란다의 열기는 사우나 저리 가라. 그 열기 때문에도 전기세가 더 나올 수 밖에 없어요.

  • 15. 원글이
    '17.5.27 10:52 AM (125.129.xxx.138)

    ㅇㅇ님, 설명 감사합니다. 좀 암담하긴하지만, 아는 게 힘이죠.

  • 16.
    '17.5.27 3:22 PM (116.127.xxx.144)

    우리도 실외기 난간에 매달지 못하게 해요
    전 그게 맞다고 생각해요
    만에 하나 떨어지면 사람 죽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9529 현재 북수원 지역 메탄가스 냄새가 심합니다. 뉴스룸에 제보했어요.. 17 제보 2017/07/19 5,087
709528 [드루킹의 자료창고] 더민주 당대표 교체는 필요한가? 4 드루킹 팟캐.. 2017/07/19 1,257
709527 긴머리로 살다가 커트 머리하고 싶을 때요 1 40대 2017/07/19 1,437
709526 개명할대 작명소 서류 꾝 필요한가요? 4 개명 2017/07/19 1,248
709525 키움증권이란 곳이나 그런 곳 통해 돈 벌수 있나요 1 아시는 분 2017/07/19 1,039
709524 수건 교체 주기가 어떻게 되세요? 14 2017/07/19 6,865
709523 미국산 밀 라면, 과자 다 GMO인가봐요 17 ㅠㅠ 2017/07/19 3,459
709522 땡초김밥 맛있어요 12 은우 2017/07/19 3,096
709521 월급 질문좀할게요 3 .. 2017/07/19 1,059
709520 아파트 장기수선 충당금은 관리실에서 주나요? 6 궁금 2017/07/19 1,879
709519 층간소음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9 쿵쿵이들 싫.. 2017/07/19 3,164
709518 잠 안 올때 들으면 좋은 클래식음악 1 .. 2017/07/19 930
709517 혼수를 엔틱으로 했더니 집에서 말이 많아요 12 ㅇㅇ 2017/07/19 6,922
709516 가양도서관 다니시는분? 2 가양도서관 2017/07/19 1,583
709515 강남대, 가천대, 한신대, 명지대 이 정도는 입결이 어떤가요? 26 입결이 궁금.. 2017/07/19 11,583
709514 불청에 이연수는 ~~ 11 이뻐 2017/07/19 6,135
709513 허물벗어봐야 전여옥은 역시나 전여옥이네요 11 그럼 그렇지.. 2017/07/19 2,654
709512 올해 처음 선풍기 2단 써 보네요 2 차시원 2017/07/19 987
709511 사주에 금이 없는데 32 2017/07/19 14,595
709510 냄비받침 추미애 딸 5 ... 2017/07/19 3,999
709509 극성수기때 인천공항 대기시간 얼마나 걸릴까요? 6 레므 2017/07/19 1,428
709508 잠이 안올때는 무얼 하시나요? 3 ㅇㅇ 2017/07/19 1,312
709507 매일 저녁 맥주 먹는데 끊질 못하겠어요 23 매일 2017/07/19 7,893
709506 마음이 많이 상했나봐요.. 5 ... 2017/07/18 2,449
709505 고기나 음식물 냉동실 보관기간 지나면 버리세요?? 1 2017/07/18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