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시는 30ㅡ40정도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 조회수 : 1,161
작성일 : 2017-05-23 08:27:44
수시 교과전형이 예전의 학력고사와 비슷한거고요
수시 논술전형은 예전의 본고사와 비슷합니다.
정시는 패자부활전이고요.
수시 종합전형은 변종이고요.
이중 젤 그래도 공평한건 수시교과전형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대다수가 학력고사때가 좋았다고 하잖습니까?
저는 수시 교과전형 50ㅡ60을 추천합니다.
단 수능최저를 맞춰야합니다.
IP : 39.112.xxx.20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5.23 8:30 AM (218.236.xxx.162)

    학력고사 때가 좋았다는 것은 과외금지로 그나마 공정했기 때문이죠 (일부 몰래 고액 과외가 있었다지만)

  • 2. ^^
    '17.5.23 8:31 AM (39.112.xxx.205)

    지금 종합전형하고 비교하셔야죠.

  • 3. 패자부활전?
    '17.5.23 8:35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재수하는 아이들에겐 정시가 패자부활전이겠지만
    재학생들도 정시로 입학할 수 있어요.
    내신 관리를 잘 못 했던 아이들이
    2, 3학년에 정시를 목표로 공부할 수 있게 해야죠.
    그래서 정시 비율은 높여야 해요.

    1, 2학년 내신 낮은 아이들은 (아마 대부분의 아이들일 겁니다. 내신 1, 2등급 아이들의 수는 적으니까요.)
    고3때 공부 안 해요.
    포기하는 거예요.
    수시로 들어갈 학교는 없고
    정시는 비율이 너무 작으니 엄두도 못 내고
    그냥 놀아요.
    그래서 고3 아이들이 가장 공부를 안 해요.
    이거 엄마들이 잘 몰라요.
    아이들도 공부하고 싶지만 이미 늦었다는 것.

    한 편으로
    고2 또는 고3때 많은 아이들이 정시를 꿈꿉니다.
    그런데 정시 비율이 너무 작다는 걸 알고 포기해요.
    이 아이들의 마음이 얼마나 안타깝고 애처로운지
    엄마들이 알아야 하고
    교육부가 알아야합니다.

    기회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어야 하고
    기준은 객관적이고 투명해야 합니다.

  • 4. 하지만 학종은.....
    '17.5.23 8:36 AM (125.178.xxx.203)

    교과가 조금 삐긋했지만
    전공하고자 하는 학과성적이 탁월할 경우나 상장이 다수 있을 경우
    도전해 볼 전형이긴 합니다.

    학종에서도 교과는 아주 큰 비중입니다.

  • 5. ^^
    '17.5.23 8:39 AM (39.112.xxx.205)

    내신관리 잘 못했으니까 패자부활전이죠.

  • 6. 저도
    '17.5.23 8:40 AM (175.120.xxx.27)

    비교과 말고 교과 전형 늘리고 정시비율조정으로 갔으면 좋겠어요

  • 7. 무슨
    '17.5.23 8:40 AM (14.32.xxx.118)

    입시 치러 봤으면 그런 소리 나올까요.
    내신따기가 쉬운줄 아세요. 과외와 사교육 빡치게 시키는 아이들 내신 당연히 잘나오죠.
    고액과외와 팀짜서 반 만들어 자기들끼리 학원서 유명 강사한테 지도 받는데 성적 안나오면 이상한거고
    정시를 70%로 해야 하고 아주 특별한 재능을 가진 아이들에게 30%를 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시험이야말로 가장공정한거죠
    수시논술이 옛날 본고사라니... 아니죠. 논술 시켜 보셨나요. 논술도 대치동 학원 보내면
    일년에 돈천만원 깨지는건 우습잖아요.
    정시야 말로 가장 공정하고 패자 부활전이라고 생각해요.

  • 8. ^^
    '17.5.23 8:45 AM (39.112.xxx.205)

    아니 내신 못따는 애들만 배려받나요?
    내신 잘받는 애들은 그냥 된건가요?
    걔들이 사교육을 많이 받는다 치더라도
    스스로 공부한 양이 없으면 내신 잘 못받아요.
    내신 잘받은 아이들 노력도 생각하셔야죠.

  • 9. 교과전형와 학력고사는 달라요
    '17.5.23 8:47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전혀 다른 건데 잘못 알고 계시네요.

    학력고사는 학력고사 점수와 내신 등급이 7:3으로
    (제가 시험 봤을 때는 7:3이었어요)
    학력고사 점수가 70%예요.
    학력고사는 점수엿고 내신은 등급이었어요.

    요즘으로 하면 수능 점수 70%에 내신 30% 더해서 나온 점수로 학교를 고르는 건데
    이게 교과전형과 어떻게 같죠?
    교과전형은 그야말로 내신 100%부터 시작하는 건데요.

    그리고 재학생이 정시 준비하는 게 왜 패자부활전인가요?
    재학생들은 아직 입시를 치루지도 않앗는데
    패자라는 딱지부터 붙여줘야 하나요?

  • 10. ...
    '17.5.23 8:51 AM (1.237.xxx.84) - 삭제된댓글

    딴지는 아니고...원글님이 헷갈려 하시는데, 수시교과와 학력고사는 전혀 달라요^^!!
    수시교과는 학교시험 성적으로 줄서서 가는거에요.
    학력고사는 정시와 마찬가지로 학력고사 성적으로 진학하는 거구요.
    제가 학력고사 세대인데 늘 모의고사가 학교 시험보다 성적이 잘 나왔어요. 당연 학력고사도 잘 나왔구요.
    솔직히 저는 학교시험 문제들 지져분해서 싫어합니다.

  • 11. 수능 문제 좋아요
    '17.5.23 9:01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수능 문제 훌륭하고 수준 높아요.
    수능이 진짜 공부죠.
    이 좋은 수능을 왜 폄하할까요.

    그리고 학교 시험 문제들 지저분한 것 맞아요.
    가끔 너무 억지스럽고 쪼잔해요.
    외워서 풀 수 있고 또 외워야만 성적이 나와요.

    진짜 실력 평가는 수능에서 판가름됩니다.

  • 12. ...
    '17.5.23 9:02 AM (125.185.xxx.178)

    수시는 학교내 성적으로 대학가는거
    정시는 수능봐서 대학가는거
    학종은 온갖짓 다 해서 대학가는거.
    수시 정시 다 찬성입니다.
    학종은 폐지해야합니다.
    컨설팅학원만 배불리는 제도입니다.

  • 13. ..
    '17.5.23 9:03 AM (119.64.xxx.114)

    그나마 교과 전형이 있어서 특목고나 강남 등 교육환경 좋은 아이들을 좀 견제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인 거 같아요

  • 14. ㅇㅇ
    '17.5.23 9:18 AM (116.34.xxx.173)

    저는 정시로 잘하는 애들 80
    수기로 못 하지만 어려운 아이들 20

  • 15. **
    '17.5.23 9:18 AM (211.54.xxx.233)

    이 와중에 "정시를~~~~정시호"로 읽고 이게 무슨 말 했네요. 아침부터 에잉!!!!!!

  • 16. ....
    '17.5.23 9:32 AM (211.221.xxx.182)

    학교시험성적만으로 대학 가게하는건
    다른 기회를 막아버리는거에요.
    한번 내신이 정해지면
    평생 가는데요.

    정시의 문은 적어도 절반은 열어둬야 페어플레이에요.

  • 17. ....
    '17.5.23 9:32 AM (222.238.xxx.103) - 삭제된댓글

    수시 교과전형은 예전 학력고사와 하나도 안 비슷합니다

  • 18. 거지같은
    '17.5.23 9:50 AM (115.139.xxx.243) - 삭제된댓글

    학종과 논술, 봉사 폐지해야해요

  • 19. 논술이야
    '17.5.23 9:52 AM (115.139.xxx.243) - 삭제된댓글

    문과 지망생이나 각종 문예지 등단한 애들이 써서 특별 전형으로 5% 중에서 가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2242 에어컨청소 잘하는곳 아세요? 1 2017/05/27 793
692241 밑반찬 어떤거 하시나요? 13 ... 2017/05/27 4,323
692240 가끔 통화하고 주말에 같이 시간을 보낼수 있는 사람 6 ㅍㅍ 2017/05/27 1,612
692239 혹 이 노래 아시는분 14 .. 2017/05/27 1,079
692238 국회의원 300명 위장전입 전수조사 아고라 청원 36 ........ 2017/05/27 3,410
692237 다슈 샴푸 쓰고 머리가 더 많이 빠지는 것 같아요.ㅠ 5 ... 2017/05/27 1,171
692236 옷방따로하는게 좋을까요? 7 mm 2017/05/27 2,118
692235 서울 전세가 아직도 상승추세인가요?> 1 .. 2017/05/27 749
692234 유기견 입양했어요.. 13 심쿵 2017/05/27 2,196
692233 등맛사지할때는 어떤 오일을쓰나됴 1 111 2017/05/27 572
692232 文대통령 지지율86%, 민주당 지지율 59% 호남97% 5 와우 2017/05/27 1,519
692231 이맘때쯤 봄이불로 바꾸나요 ??? 10 준비 2017/05/27 1,415
692230 교복안 흰색 반팔티 얇은거? 4 반팔티. 2017/05/27 1,044
692229 그냥 딸 결혼만 시키고싶은 엄마. 너무힘듭니다 17 .... 2017/05/27 6,558
692228 남편의 고모님의 아들내외에게 저는 어떤 호칭을 써야하나요? 2 호이 2017/05/27 1,704
692227 기프티쇼 쿠폰이 삭제가 되었는데 어떡하나요?ㅠ 3 몽몽이 2017/05/27 762
692226 이 ㅇ ㅈ과거까지 다 털리나요? 40 2017/05/27 23,434
692225 방통대 졸업후 스카이 대학원 진학이 가능한가요? 3 방통대 2017/05/27 4,544
692224 무한도전 보고 싶은데 온에어로 보는 방법 1 있나요? 2017/05/27 463
692223 무릎아프신 엄마랑 싱가폴 자유여행 무리일까요?? 8 111 2017/05/27 1,402
692222 보통 엄마들 모임 이 정도로 친해지나요? 15 .... 2017/05/27 5,530
692221 이럴땐 어디에 신고해요? 2 .... 2017/05/27 976
692220 자리 안비킨다고 몰래 사진 찍는 사람 봤네요.. 3 .. 2017/05/27 1,910
692219 여행왔는데 큰아이가 너무 미워요 24 제목없음 2017/05/27 8,318
692218 김기춘 불구속으로 재판받고 싶다 ...법원에 보석 신청 18 고딩맘 2017/05/27 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