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시는 30ㅡ40정도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 조회수 : 1,175
작성일 : 2017-05-23 08:27:44
수시 교과전형이 예전의 학력고사와 비슷한거고요
수시 논술전형은 예전의 본고사와 비슷합니다.
정시는 패자부활전이고요.
수시 종합전형은 변종이고요.
이중 젤 그래도 공평한건 수시교과전형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대다수가 학력고사때가 좋았다고 하잖습니까?
저는 수시 교과전형 50ㅡ60을 추천합니다.
단 수능최저를 맞춰야합니다.
IP : 39.112.xxx.20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5.23 8:30 AM (218.236.xxx.162)

    학력고사 때가 좋았다는 것은 과외금지로 그나마 공정했기 때문이죠 (일부 몰래 고액 과외가 있었다지만)

  • 2. ^^
    '17.5.23 8:31 AM (39.112.xxx.205)

    지금 종합전형하고 비교하셔야죠.

  • 3. 패자부활전?
    '17.5.23 8:35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재수하는 아이들에겐 정시가 패자부활전이겠지만
    재학생들도 정시로 입학할 수 있어요.
    내신 관리를 잘 못 했던 아이들이
    2, 3학년에 정시를 목표로 공부할 수 있게 해야죠.
    그래서 정시 비율은 높여야 해요.

    1, 2학년 내신 낮은 아이들은 (아마 대부분의 아이들일 겁니다. 내신 1, 2등급 아이들의 수는 적으니까요.)
    고3때 공부 안 해요.
    포기하는 거예요.
    수시로 들어갈 학교는 없고
    정시는 비율이 너무 작으니 엄두도 못 내고
    그냥 놀아요.
    그래서 고3 아이들이 가장 공부를 안 해요.
    이거 엄마들이 잘 몰라요.
    아이들도 공부하고 싶지만 이미 늦었다는 것.

    한 편으로
    고2 또는 고3때 많은 아이들이 정시를 꿈꿉니다.
    그런데 정시 비율이 너무 작다는 걸 알고 포기해요.
    이 아이들의 마음이 얼마나 안타깝고 애처로운지
    엄마들이 알아야 하고
    교육부가 알아야합니다.

    기회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어야 하고
    기준은 객관적이고 투명해야 합니다.

  • 4. 하지만 학종은.....
    '17.5.23 8:36 AM (125.178.xxx.203)

    교과가 조금 삐긋했지만
    전공하고자 하는 학과성적이 탁월할 경우나 상장이 다수 있을 경우
    도전해 볼 전형이긴 합니다.

    학종에서도 교과는 아주 큰 비중입니다.

  • 5. ^^
    '17.5.23 8:39 AM (39.112.xxx.205)

    내신관리 잘 못했으니까 패자부활전이죠.

  • 6. 저도
    '17.5.23 8:40 AM (175.120.xxx.27)

    비교과 말고 교과 전형 늘리고 정시비율조정으로 갔으면 좋겠어요

  • 7. 무슨
    '17.5.23 8:40 AM (14.32.xxx.118)

    입시 치러 봤으면 그런 소리 나올까요.
    내신따기가 쉬운줄 아세요. 과외와 사교육 빡치게 시키는 아이들 내신 당연히 잘나오죠.
    고액과외와 팀짜서 반 만들어 자기들끼리 학원서 유명 강사한테 지도 받는데 성적 안나오면 이상한거고
    정시를 70%로 해야 하고 아주 특별한 재능을 가진 아이들에게 30%를 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시험이야말로 가장공정한거죠
    수시논술이 옛날 본고사라니... 아니죠. 논술 시켜 보셨나요. 논술도 대치동 학원 보내면
    일년에 돈천만원 깨지는건 우습잖아요.
    정시야 말로 가장 공정하고 패자 부활전이라고 생각해요.

  • 8. ^^
    '17.5.23 8:45 AM (39.112.xxx.205)

    아니 내신 못따는 애들만 배려받나요?
    내신 잘받는 애들은 그냥 된건가요?
    걔들이 사교육을 많이 받는다 치더라도
    스스로 공부한 양이 없으면 내신 잘 못받아요.
    내신 잘받은 아이들 노력도 생각하셔야죠.

  • 9. 교과전형와 학력고사는 달라요
    '17.5.23 8:47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전혀 다른 건데 잘못 알고 계시네요.

    학력고사는 학력고사 점수와 내신 등급이 7:3으로
    (제가 시험 봤을 때는 7:3이었어요)
    학력고사 점수가 70%예요.
    학력고사는 점수엿고 내신은 등급이었어요.

    요즘으로 하면 수능 점수 70%에 내신 30% 더해서 나온 점수로 학교를 고르는 건데
    이게 교과전형과 어떻게 같죠?
    교과전형은 그야말로 내신 100%부터 시작하는 건데요.

    그리고 재학생이 정시 준비하는 게 왜 패자부활전인가요?
    재학생들은 아직 입시를 치루지도 않앗는데
    패자라는 딱지부터 붙여줘야 하나요?

  • 10. ...
    '17.5.23 8:51 AM (1.237.xxx.84) - 삭제된댓글

    딴지는 아니고...원글님이 헷갈려 하시는데, 수시교과와 학력고사는 전혀 달라요^^!!
    수시교과는 학교시험 성적으로 줄서서 가는거에요.
    학력고사는 정시와 마찬가지로 학력고사 성적으로 진학하는 거구요.
    제가 학력고사 세대인데 늘 모의고사가 학교 시험보다 성적이 잘 나왔어요. 당연 학력고사도 잘 나왔구요.
    솔직히 저는 학교시험 문제들 지져분해서 싫어합니다.

  • 11. 수능 문제 좋아요
    '17.5.23 9:01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수능 문제 훌륭하고 수준 높아요.
    수능이 진짜 공부죠.
    이 좋은 수능을 왜 폄하할까요.

    그리고 학교 시험 문제들 지저분한 것 맞아요.
    가끔 너무 억지스럽고 쪼잔해요.
    외워서 풀 수 있고 또 외워야만 성적이 나와요.

    진짜 실력 평가는 수능에서 판가름됩니다.

  • 12. ...
    '17.5.23 9:02 AM (125.185.xxx.178)

    수시는 학교내 성적으로 대학가는거
    정시는 수능봐서 대학가는거
    학종은 온갖짓 다 해서 대학가는거.
    수시 정시 다 찬성입니다.
    학종은 폐지해야합니다.
    컨설팅학원만 배불리는 제도입니다.

  • 13. ..
    '17.5.23 9:03 AM (119.64.xxx.114)

    그나마 교과 전형이 있어서 특목고나 강남 등 교육환경 좋은 아이들을 좀 견제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인 거 같아요

  • 14. ㅇㅇ
    '17.5.23 9:18 AM (116.34.xxx.173)

    저는 정시로 잘하는 애들 80
    수기로 못 하지만 어려운 아이들 20

  • 15. **
    '17.5.23 9:18 AM (211.54.xxx.233)

    이 와중에 "정시를~~~~정시호"로 읽고 이게 무슨 말 했네요. 아침부터 에잉!!!!!!

  • 16. ....
    '17.5.23 9:32 AM (211.221.xxx.182)

    학교시험성적만으로 대학 가게하는건
    다른 기회를 막아버리는거에요.
    한번 내신이 정해지면
    평생 가는데요.

    정시의 문은 적어도 절반은 열어둬야 페어플레이에요.

  • 17. ....
    '17.5.23 9:32 AM (222.238.xxx.103) - 삭제된댓글

    수시 교과전형은 예전 학력고사와 하나도 안 비슷합니다

  • 18. 거지같은
    '17.5.23 9:50 AM (115.139.xxx.243) - 삭제된댓글

    학종과 논술, 봉사 폐지해야해요

  • 19. 논술이야
    '17.5.23 9:52 AM (115.139.xxx.243) - 삭제된댓글

    문과 지망생이나 각종 문예지 등단한 애들이 써서 특별 전형으로 5% 중에서 가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6212 비도 오는데 부추넣고 6 더 세지네요.. 2017/07/09 1,653
706211 文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85.9%…국민의당 3.5% 20 와우~ 2017/07/09 2,951
706210 연애에서 항상 을이 되는 나..도와주세요! 18 갑을 2017/07/09 4,724
706209 비밀의 숲 보니까 루카스 나인 커피 마시고 싶네요 5 zzz 2017/07/09 2,357
706208 여의도 성모병원 근처 호텔 추천부탁드립니다 2 ㅇㅇ 2017/07/09 855
706207 애기 델고 키즈카페 가지 왜 그냥 카페 오는거예요? 57 ... 2017/07/09 7,874
706206 안철수와 지지자 근황 6 ... 2017/07/09 1,491
706205 삼성 lg는 국내가 제일 비싸. 진짜 호구된 느낌 .. 2017/07/09 547
706204 홍콩 연예인 누구, 홍콩 영화 뭐 좋아하세요? 25 추억소환 2017/07/09 1,618
706203 군주 너무 재미잇는데요.(유승호는사람인가아닌가) 2 ..... 2017/07/09 1,556
706202 이십년만에 혼자 여행하려고 하는데요 29 감사합니다 2017/07/09 4,144
706201 전신마사지 받을건데 미리 때 밀고 가야하나요? 2 동남아 2017/07/09 2,337
706200 김창렬 부인... 27 싱글와이프보.. 2017/07/09 29,635
706199 아프니까 다 소용없네요 3 2017/07/09 2,493
706198 변기바닥쪽에 마개는 타로 살수있나요? 4 궁금 2017/07/09 778
706197 여수 당일여행코스 점검 부탁드려요 1 2017/07/09 1,195
706196 남편 생일선물로 반지 1 선물 2017/07/09 790
706195 검찰,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유미씨 동생 구속영장 청구 2 밥상 2017/07/09 766
706194 마부침개 마 안 갈고 어떻게 하시나요 5 김09 2017/07/09 834
706193 만남 거절한 여성 둔기로 폭행하고 온몸에 염산 뿌린 남자 검거 9 ㅇㅇ 2017/07/09 4,475
706192 메디컬 소설.웹툰 닥터 최태수 보신분~ 2 .. 2017/07/09 1,745
706191 전업하고싶다는게 욕먹을 일인가요? 36 ........ 2017/07/09 6,806
706190 에어프라이어와 오*기 불고기피자 조합 좋네요. 4 웃음조각*^.. 2017/07/09 2,928
706189 야당놈들 검찰놈들 잠 못자겠네요. 2 문통 오신다.. 2017/07/09 1,131
706188 편의점 수입맥주 추천해주세요~~ 19 나혼자산다 2017/07/09 3,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