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정시는 30ㅡ40정도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 조회수 : 1,180
작성일 : 2017-05-23 08:27:44
수시 교과전형이 예전의 학력고사와 비슷한거고요
수시 논술전형은 예전의 본고사와 비슷합니다.
정시는 패자부활전이고요.
수시 종합전형은 변종이고요.
이중 젤 그래도 공평한건 수시교과전형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대다수가 학력고사때가 좋았다고 하잖습니까?
저는 수시 교과전형 50ㅡ60을 추천합니다.
단 수능최저를 맞춰야합니다.
IP : 39.112.xxx.20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5.23 8:30 AM (218.236.xxx.162)

    학력고사 때가 좋았다는 것은 과외금지로 그나마 공정했기 때문이죠 (일부 몰래 고액 과외가 있었다지만)

  • 2. ^^
    '17.5.23 8:31 AM (39.112.xxx.205)

    지금 종합전형하고 비교하셔야죠.

  • 3. 패자부활전?
    '17.5.23 8:35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재수하는 아이들에겐 정시가 패자부활전이겠지만
    재학생들도 정시로 입학할 수 있어요.
    내신 관리를 잘 못 했던 아이들이
    2, 3학년에 정시를 목표로 공부할 수 있게 해야죠.
    그래서 정시 비율은 높여야 해요.

    1, 2학년 내신 낮은 아이들은 (아마 대부분의 아이들일 겁니다. 내신 1, 2등급 아이들의 수는 적으니까요.)
    고3때 공부 안 해요.
    포기하는 거예요.
    수시로 들어갈 학교는 없고
    정시는 비율이 너무 작으니 엄두도 못 내고
    그냥 놀아요.
    그래서 고3 아이들이 가장 공부를 안 해요.
    이거 엄마들이 잘 몰라요.
    아이들도 공부하고 싶지만 이미 늦었다는 것.

    한 편으로
    고2 또는 고3때 많은 아이들이 정시를 꿈꿉니다.
    그런데 정시 비율이 너무 작다는 걸 알고 포기해요.
    이 아이들의 마음이 얼마나 안타깝고 애처로운지
    엄마들이 알아야 하고
    교육부가 알아야합니다.

    기회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어야 하고
    기준은 객관적이고 투명해야 합니다.

  • 4. 하지만 학종은.....
    '17.5.23 8:36 AM (125.178.xxx.203)

    교과가 조금 삐긋했지만
    전공하고자 하는 학과성적이 탁월할 경우나 상장이 다수 있을 경우
    도전해 볼 전형이긴 합니다.

    학종에서도 교과는 아주 큰 비중입니다.

  • 5. ^^
    '17.5.23 8:39 AM (39.112.xxx.205)

    내신관리 잘 못했으니까 패자부활전이죠.

  • 6. 저도
    '17.5.23 8:40 AM (175.120.xxx.27)

    비교과 말고 교과 전형 늘리고 정시비율조정으로 갔으면 좋겠어요

  • 7. 무슨
    '17.5.23 8:40 AM (14.32.xxx.118)

    입시 치러 봤으면 그런 소리 나올까요.
    내신따기가 쉬운줄 아세요. 과외와 사교육 빡치게 시키는 아이들 내신 당연히 잘나오죠.
    고액과외와 팀짜서 반 만들어 자기들끼리 학원서 유명 강사한테 지도 받는데 성적 안나오면 이상한거고
    정시를 70%로 해야 하고 아주 특별한 재능을 가진 아이들에게 30%를 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시험이야말로 가장공정한거죠
    수시논술이 옛날 본고사라니... 아니죠. 논술 시켜 보셨나요. 논술도 대치동 학원 보내면
    일년에 돈천만원 깨지는건 우습잖아요.
    정시야 말로 가장 공정하고 패자 부활전이라고 생각해요.

  • 8. ^^
    '17.5.23 8:45 AM (39.112.xxx.205)

    아니 내신 못따는 애들만 배려받나요?
    내신 잘받는 애들은 그냥 된건가요?
    걔들이 사교육을 많이 받는다 치더라도
    스스로 공부한 양이 없으면 내신 잘 못받아요.
    내신 잘받은 아이들 노력도 생각하셔야죠.

  • 9. 교과전형와 학력고사는 달라요
    '17.5.23 8:47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전혀 다른 건데 잘못 알고 계시네요.

    학력고사는 학력고사 점수와 내신 등급이 7:3으로
    (제가 시험 봤을 때는 7:3이었어요)
    학력고사 점수가 70%예요.
    학력고사는 점수엿고 내신은 등급이었어요.

    요즘으로 하면 수능 점수 70%에 내신 30% 더해서 나온 점수로 학교를 고르는 건데
    이게 교과전형과 어떻게 같죠?
    교과전형은 그야말로 내신 100%부터 시작하는 건데요.

    그리고 재학생이 정시 준비하는 게 왜 패자부활전인가요?
    재학생들은 아직 입시를 치루지도 않앗는데
    패자라는 딱지부터 붙여줘야 하나요?

  • 10. ...
    '17.5.23 8:51 AM (1.237.xxx.84) - 삭제된댓글

    딴지는 아니고...원글님이 헷갈려 하시는데, 수시교과와 학력고사는 전혀 달라요^^!!
    수시교과는 학교시험 성적으로 줄서서 가는거에요.
    학력고사는 정시와 마찬가지로 학력고사 성적으로 진학하는 거구요.
    제가 학력고사 세대인데 늘 모의고사가 학교 시험보다 성적이 잘 나왔어요. 당연 학력고사도 잘 나왔구요.
    솔직히 저는 학교시험 문제들 지져분해서 싫어합니다.

  • 11. 수능 문제 좋아요
    '17.5.23 9:01 AM (210.183.xxx.241) - 삭제된댓글

    수능 문제 훌륭하고 수준 높아요.
    수능이 진짜 공부죠.
    이 좋은 수능을 왜 폄하할까요.

    그리고 학교 시험 문제들 지저분한 것 맞아요.
    가끔 너무 억지스럽고 쪼잔해요.
    외워서 풀 수 있고 또 외워야만 성적이 나와요.

    진짜 실력 평가는 수능에서 판가름됩니다.

  • 12. ...
    '17.5.23 9:02 AM (125.185.xxx.178)

    수시는 학교내 성적으로 대학가는거
    정시는 수능봐서 대학가는거
    학종은 온갖짓 다 해서 대학가는거.
    수시 정시 다 찬성입니다.
    학종은 폐지해야합니다.
    컨설팅학원만 배불리는 제도입니다.

  • 13. ..
    '17.5.23 9:03 AM (119.64.xxx.114)

    그나마 교과 전형이 있어서 특목고나 강남 등 교육환경 좋은 아이들을 좀 견제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인 거 같아요

  • 14. ㅇㅇ
    '17.5.23 9:18 AM (116.34.xxx.173)

    저는 정시로 잘하는 애들 80
    수기로 못 하지만 어려운 아이들 20

  • 15. **
    '17.5.23 9:18 AM (211.54.xxx.233)

    이 와중에 "정시를~~~~정시호"로 읽고 이게 무슨 말 했네요. 아침부터 에잉!!!!!!

  • 16. ....
    '17.5.23 9:32 AM (211.221.xxx.182)

    학교시험성적만으로 대학 가게하는건
    다른 기회를 막아버리는거에요.
    한번 내신이 정해지면
    평생 가는데요.

    정시의 문은 적어도 절반은 열어둬야 페어플레이에요.

  • 17. ....
    '17.5.23 9:32 AM (222.238.xxx.103) - 삭제된댓글

    수시 교과전형은 예전 학력고사와 하나도 안 비슷합니다

  • 18. 거지같은
    '17.5.23 9:50 AM (115.139.xxx.243) - 삭제된댓글

    학종과 논술, 봉사 폐지해야해요

  • 19. 논술이야
    '17.5.23 9:52 AM (115.139.xxx.243) - 삭제된댓글

    문과 지망생이나 각종 문예지 등단한 애들이 써서 특별 전형으로 5% 중에서 가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7923 잘 때 허리 밑에 뭐 깔고 자니까 훨씬 좋은데 매일 해도 될까요.. 4 숙면 2017/08/14 2,206
717922 알러지성 비염, 결막염 환자들 평생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노.. 21 불치병 2017/08/14 4,966
717921 여러분같으면 어떤선택? 2 2017/08/14 594
717920 여기 전북 학생인권센터 아는 분 있어요? 1 어이없어 2017/08/14 598
717919 길고양이 사료 어떤거 사나요? 8 고양이 2017/08/14 730
717918 현관문틈에 아이손이 끼었었어요 16 푸른 빗방울.. 2017/08/14 4,338
717917 대학로 공연 추천 부탁드려요. 1 대학로 2017/08/14 400
717916 딸이 결혼해서 먼 곳에 살면 효도하는 거 맞죠? 23 ㅇㅇ 2017/08/14 6,399
717915 어린이 재단에 기부하는분 계세요? ㅇㅇ 2017/08/14 381
717914 호텔 숙박시 아침은 조식뷔페 드시나요? 32 .. 2017/08/14 6,953
717913 성숙한 인간이 되기 위한 첫째 조건이 뭐라 생각하시나요? 12 질문 2017/08/14 2,899
717912 충치가 아니라는데 이가 계속 아파요~ 10 치과 2017/08/14 2,602
717911 철분모자라 주사맞아보신분 계신지요? 3 아이언 2017/08/14 1,159
717910 2살 남자고양이...약먹으면 그때뿐 누런코를 풀어요 6 코푸는 고양.. 2017/08/14 980
717909 칭찬하고 싶어요 1 ..... 2017/08/14 651
717908 좀 비싼? 선풍기 샀는데 속이 부글부글.... 20 짜증 2017/08/14 7,625
717907 독재정권 시절 혹사당하고 죽어가던 어린 여공들 2 ... 2017/08/14 714
717906 대선때 각 후보 대선공약금중 문재인후보가 가장 적었다 1 ㅇㅇㅇ 2017/08/14 533
717905 85%, 부자증세 잘했다... 72%, 복지 위해 세금 더 낼 .. 7 고딩맘 2017/08/14 1,093
717904 장흥 우드랜드 내일 가는데 비오는 날에도 좋나요?ㅠㅠ 1 모처럼 가족.. 2017/08/14 1,139
717903 저좀 위로해주세요 6 ... 2017/08/14 1,904
717902 고등 여학생 화장.. 다른집은? 17 ㅂㅂ 2017/08/14 3,500
717901 다이어트 정체기 2 ... 2017/08/14 1,276
717900 2017년 여름이 지나가네요 5 화이팅201.. 2017/08/14 1,941
717899 에버랜드 근처사시는분들 있을까요? 4 맨드라미 2017/08/14 1,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