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특목 자사거 폐지를 원하는 이유가

ㅇㅇ 조회수 : 2,737
작성일 : 2017-05-19 22:40:31
전 어린아이들에게 전혀 쓸데없는
특권의식만 심어주기에
폐지가 옳다고 봅니다..

영재교육이 성공한 예도 없잖아요..

어차피 거기서 1등해도
고등학생은 고등학생일뿐..

전공을 한 학사 석사와는 비교힐수없는 지식일뿐...

어차피 알게되는 지식을 몇년 일찍아는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네요...
IP : 211.36.xxx.12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도전2017
    '17.5.19 10:45 PM (124.54.xxx.150)

    저는 차라리 미국처럼 월반? 제도가 있으면 좋겠어요 선행이 많이 되어있는 아이들은 영재고 입시말고 차라리 한학년 두학년 올려주는거요. 그럼 모두가 다 영재고입시에 매달릴 필요가 없지않을까요

  • 2. 좋은제도 같음
    '17.5.19 10:50 PM (118.39.xxx.43) - 삭제된댓글

    저도 월반 찬성..

  • 3. 월반이 좋네요
    '17.5.19 10:50 PM (118.39.xxx.43)

    저도 월반 찬성..
    분명 수재도 영재도 천재도 있어요.
    그러니 그런 사람들은 월반을 해야죠.

  • 4. 그러면 또
    '17.5.19 10:54 PM (210.94.xxx.91) - 삭제된댓글

    월반시키려고 애들을 재촉하지 않을꺼야?
    우리애는 월반했다....못해서 속상하다....또 비교하는 엄마들 나오죠.
    월반도 사교육없어야...

    결국 어머님들이 사교육을 현명하게 이용하는 수 밖에 없을 텐데...음..

  • 5. 저는
    '17.5.19 10:55 PM (175.209.xxx.57)

    특목고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일반고와 달리 좀더 수준 높은 공부를 일찍 할 수밖에 없는 학생은 분명 존재하거든요. 다만 전국에 두 개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지금은 너무 많아 일반고가 떨거지 학교가 된 게 문제같아요.

  • 6. ㅇㅇ
    '17.5.19 10:56 PM (115.134.xxx.129)

    저도 특목고 없애고 특출난아이들 교육하는 방법을 도모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봅니다.
    우리학교다닐때 전교1등짜리가 잘 못하는 아이 가르쳐주고 그랬던게 너무 좋았던 기억으로 남아 있어요.
    반 아이들이 그 친구 서울대 붙었을때 마치 내 일인것 처럼 기뻐했어요.

  • 7. 영재고나
    '17.5.19 10:58 PM (210.94.xxx.91)

    과고는 두는 게 좋을 거 같고요...말씀들처럼 특별히 우수한 아이들도 그에 맞게 공부할 권리가 있으니까요.

    어떤 책을 보니
    수준별 수업처럼 잘하는 아이 못하는 아이 가르는 거 보다
    섞어서 수업할 때 양쪽에 모두 이득이 있대요. 수업을 정교하게 설계해야죠. 그러려면 교사의 자율성, 교재(교과서)도 자율적이어야하고 아이들도 좀 줄이고요.
    한가지 정책으로 해결되는 게 아니라
    동반하는 문제들을 유기적으로 함께 고쳐나가면 점점 좋아질 거 같아요.

  • 8.
    '17.5.19 11:02 PM (182.221.xxx.99) - 삭제된댓글

    영재고 전국에 딱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나머지는 다 없애야 해요.
    일반고를 정상화 시키는게 우선입니다

  • 9. 월반은 지금도 있어요.
    '17.5.19 11:18 PM (119.149.xxx.110)

    중등 1,2학년에도 영재고 입학 가능하고
    영재고에서는 대부분 2년정도면 졸업해요.
    3년 다니는 애들은 그들사이에선 못하는애 취급하던데요.

  • 10.
    '17.5.19 11:30 PM (125.191.xxx.148)

    근데 근본은..

    결국 좋은대학을 가기 위해서 다들 그렇게 공부를 하는거죠..
    일반고 전환도 하면서
    대학에 대한..개혁?이랄까 암튼그런것도 같이 진행해야한다고 봐요...
    사립대를 좀 줄이고 특성화된 지방거점? 국립대를 좀 지원해서 늘리는거?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 11.
    '17.5.19 11:34 P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영재고는 3년 채워야 졸업 가능해요.
    과고가 2년에 조기 졸업 가능한데 지금은 조졸 비율이 많이 낮아졌고요.
    그건 그렇고... 영재고 과고 저는 별 필요 없다고 생각해요.
    예전에 그런 학교 없었을 때 학력고사 세대들이 오히려 제일 세계적인 성과 내는 과학자로 자라났죠.
    어차피 선행 개념으로 교육하는 건데 별 필요 있나요?
    오히려 영재고 가려고 사교육 받다가 창의력이고 뭐고 안드로메다로...

  • 12. ...
    '17.5.19 11:38 PM (125.185.xxx.178)

    영재고 자사고들은 다 대학을 위해 만들어진거죠.
    영재를 위해 만들어진거 아닌데요.
    영재는 공교육에서 월반이나 아예 홈스쿨링이 적합해요.

  • 13. 특권의식?
    '17.5.20 12:29 AM (183.109.xxx.87)

    본인 자녀가 김연아를 보고 박태환을 보고 피겨를 수영을 배우고 싶다고 한다면
    그저 호기심에 시작했는데 아이가 행복해하고 재능을 보이고 그쪽으로 계속 하고 싶다면
    국가대표가 되고 올림픽에 나가는거 자체가 특권의식을 심어주는거라 안된다고 거절하실건가요?
    수학 과학을 좋아하고 공부하고 싶어하는것도 마찬가지로 그쪽에 재능이 있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물론 과열되어 있고 너도 나도 영재교육에 합류하고 싶어하는 기현상이 있는건 맞지만
    그렇다고 다 없애버려야한다?
    영재교육이 성공한 예가 없다구요?
    본인이 아는것만 보이는것만큼만이 세상의 전부다 아닙니다

  • 14. 지금
    '17.5.20 1:21 AM (175.120.xxx.27)

    영재고등은 영재가 아닌 선행학습 잘하는 아이 뽑는 제도 맞아요 ㅇ
    영재아도 선행해야 갈수 있고 대학도 잘가는 제도...그러니 필요가 없다는 그죠 아님 목적에 맞게 관리하던가.

  • 15. 영재는
    '17.5.20 7:37 AM (121.128.xxx.116)

    주머니 속에 송곳과 같아 튀어나올 나오기 마련입니다.
    초등때 부터 남보다 미리 선행해서 좋은 대학 가려는 게 맞죠. 과학고 가서 결국은 의대 가고, 의대 못가면 약대 가고 천편일률적으로...
    진정한 영재들을 위한 진로는 또 열어주리라 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5379 50대 중반 남자 선물 뭐가 좋을까요? 2 선물 2017/07/06 1,434
705378 일전에 여름무 글 보고 깍두기를 담갔는데... 4 kjl 2017/07/06 1,939
705377 폰 갤럭시 노트7 리퍼폰 괜찮을까요? 폰 추천좀요.. 궁금이 2017/07/06 432
705376 이 정도면 데릴사위나 다름 없겠지요 30 .... 2017/07/06 6,849
705375 이동식에어컨 쓰시는 분 꼭 좀 알려주세요.. 6 더워요 2017/07/06 2,256
705374 서울 성동구 13 ㅡ.ㅡ 2017/07/06 2,672
705373 아이 입양,, 신청 후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16 ........ 2017/07/06 3,445
705372 냉동la갈비 해동은 어떻게 하나요?ㅜㅜ 3 은사 2017/07/06 7,175
705371 이재용 재판부가 진경준 무죄때린 재판부예요? 1 ... 2017/07/06 479
705370 T멤버십 포인트 10만점 빨리 쓰는곳 좀 알려주세요 4 해결 2017/07/06 2,286
705369 아래 낮잠자고 있는데 귀신글은 119.75.xxx.114 9 참고로 2017/07/06 2,486
705368 자동차 습기제거는 어찌하는건가요?? 3 에어컨 빵빵.. 2017/07/06 1,384
705367 오늘 에어컨 안 트는집 있나요? 28 이런 ㅅㄲ 2017/07/06 4,198
705366 ['文 정부 화약고' 검찰개혁] "개혁에 저항하면 검사.. 15 '공직자비리.. 2017/07/06 1,427
705365 덥더니 비오네요 5 시원하다 2017/07/06 1,144
705364 교수님과 학부생, 대학원생의 지식 차이 5 구멍난구조체.. 2017/07/06 2,233
705363 비가 엄청 내려요 9 많이 내린다.. 2017/07/06 3,154
705362 엄마 병원비 보태드리려고 하는데요 24 ㅇㅇ 2017/07/06 3,752
705361 직장 그만두라고 할때까지 버텨야 할까요? 2 고민중 2017/07/06 1,691
705360 너무 대충 먹이는 아이 보니 자주 아프더라고요 12 그런데 2017/07/06 2,562
705359 비오는데 치킨배달 안되겠죠 ㅠ 7 죄송해서 ㅠ.. 2017/07/06 2,056
705358 집에 짐이 너무 없으면 어떤 생각이 드세요? 22 2017/07/06 5,540
705357 [질문]가격이 싼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가 아니라 냄새제거만 하나.. 3 다소황당 2017/07/06 1,100
705356 문재인 대통령이 울린 독일 동포 간담회 (영상) 4 이니최고 2017/07/06 1,522
705355 "학종폐지,정시확대" 힘을 보태주세요 18 학부형힘을모.. 2017/07/06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