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런 증상은 병인가요?
1. 에고고
'17.5.17 2:05 PM (117.123.xxx.130) - 삭제된댓글엄마 생각나네요ㅜ 엄마가 원글님이랑 똑같아요. 어려서 가족들한테 돈 보태고 했던것까지요ㅜ 엄마도 일을 손에서 못 놓으세요. 저희 엄마는 본인 위해서는 천원 한장 못 쓰시느 분이에요.그렇게 모아서 자식들 도와주거나 나중에 물려주시려고 땅 사고 이런 식...
항상 언제 가난해질지 모른다는 불안함으로 몸 혹사시키면서 일 하는데 자식된 입장에서 늘 불필요할만큼 죄책감 느끼게 되고 울엄마는 고생하는데 내가 이래도 되나해서 저까지 불안해지고ㅜㅜ2. ..
'17.5.17 2:14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때도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병이죠.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3. ..
'17.5.17 2:16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관계가 틀어지면 인생도 틀어지죠. 그러니, 병이죠.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병이죠.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4. ..
'17.5.17 2:17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5. ..
'17.5.17 2:19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그러다보니 돈이 모이는 것은 좋은데, 돈이 그림의 떡 같이 쓸 수 없는 죽은 돈이 돼요.6. ..
'17.5.17 2:23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주머니에 500원 짜리 2개 있었던 적이 많고요. 예기치 않게 돈 들어갈 일이 있으면 스트레스를 너무 받았어요. 5-6년을 세상 누구보다 열심히 살았지만, 항상 적자였죠. 학비, 생활비, 방세.. 한마디로 거지보다 더 가난한 시절이죠.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그러다보니 돈이 모이는 것은 좋은데, 돈이 그림의 떡 같이 쓸 수 없는 죽은 돈이 돼요.7. ,,,
'17.5.17 3:37 PM (121.128.xxx.51)아직 경제적으로 안정이 안 되셨나요?
제가 그런 편이라 돈 없으면 한달에 3만원이라도 적금 넣고 있어요.
아직 경제적 기반이 없다면 정상 이구요.
여유 있고 먹고 살만한데 그러면 정신과 상담이라도 받아 보세요.
의사들 한마디 한마디 하는 소리에 동의하게 돼요.8. ..
'17.5.18 11:00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삶을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같은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9. ..
'17.5.18 11:01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나머지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같은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10. ..
'17.5.18 11:02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나머지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마찬가지로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712254 | 노무현대통령과 문재인대통령의 차이점 6 | [드루킹의 .. | 2017/07/27 | 2,712 |
712253 | 카카오 뱅크 예금.적금 3 | .... | 2017/07/27 | 2,657 |
712252 | 너무도 푸르디 푸른 꿈을 꾸는구나... 1 | tree1 | 2017/07/27 | 835 |
712251 | 웨딩 사진 액자는 해외배송 어떻게 하나요? 5 | 액자 | 2017/07/27 | 1,233 |
712250 | 오십견! 폼플러, 매달리기, 접시 돌리기..경험자분들 알려주세요.. 31 | 이겨내자! | 2017/07/27 | 6,141 |
712249 | 문빠들 특징. 65 | 궁금하면 보.. | 2017/07/27 | 2,836 |
712248 | 이명박아들도 마약했구나 김무성사위만 3 | 마약 | 2017/07/27 | 4,511 |
712247 | 심하게 자식을 차별하는 부모의 속마음-예전 82글 14 | 예전글 | 2017/07/27 | 6,275 |
712246 | 오늘같은 날씨~언제까지 갈까요? 8 | 숨구멍 뻥 .. | 2017/07/27 | 2,124 |
712245 | 상간애를 만나면 어떻게 하고 싶나요 22 | .. | 2017/07/27 | 4,709 |
712244 | 별천지에 살고있던 이명박 김무성 최태민 자손들 2 | ........ | 2017/07/27 | 3,150 |
712243 | 불과 2년여 전에 영원한 친박선언한 유승민 | ........ | 2017/07/27 | 830 |
712242 | 홈매트 훈증기보다 액체형이 나을까요? 7 | 궁금 | 2017/07/27 | 1,439 |
712241 | 소녀시대 전멤버 제시카 요즘 뭐해요 1 | ㅇ | 2017/07/27 | 1,645 |
712240 | 다음주 수목금에 인제 깨끗한 숙소 구할 수 있을까요? 2 | 사막여행자 | 2017/07/27 | 971 |
712239 | 잇몸재생술 3 | 커피향 | 2017/07/27 | 2,851 |
712238 | 쥐새끼 잡히나요? 26 | 시작? | 2017/07/27 | 4,760 |
712237 | 하*관스타일 곰탕 잘 끓이시는분 계신가요. 6 | 외국살이 | 2017/07/27 | 1,129 |
712236 | 서민정.국적? 15 | ..... | 2017/07/27 | 8,589 |
712235 | 아이들 초등저학년까지는 다 똑똑해보여요 12 | ㅇ | 2017/07/27 | 3,214 |
712234 | 유학생 아둘아이 유학 접었어요 5 | $$$$ | 2017/07/27 | 6,292 |
712233 | 부모님을 무조건 사랑해야하나요? 6 | 마음 | 2017/07/27 | 1,711 |
712232 | 원인좀 찾아주세요!상한빵을 먹어서 그런걸까요? 2 | ㄱ | 2017/07/27 | 1,319 |
712231 | 완벽주의이고 예민한 8살남자아이 4 | 찬맘 | 2017/07/27 | 2,763 |
712230 | 가사도우미 (출퇴근)얼마정도 드리면 될까요? 2 | .. | 2017/07/27 | 1,3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