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이런 증상은 병인가요?

저요 조회수 : 700
작성일 : 2017-05-17 13:59:36
어렸을때 부터 집안 걱정을 너무 많이 하고 자랐어요. 스무살 때부터제가 번 돈으로 자취하고 공부하고 직장을 다녔었는데 부모 도움 한 푼 안 받고 5천만원 모아서 내 힘으로 결혼했어요. 매달 꼬박꼬박 적금을 부어서 자취방 전세금을 계속 늘리면서 돈을 모았는데 정말 힘들었어요. 사이사이 동생이나 오빠에게 제 돈이 수시로 들어가야 했기 때문에 정말 아끼면서 지독하게 적금을 부었거든요. 직장을 옮기거나 너무 힘들어서 그만 두어도 정말 3일을 집에 누워 있을 수가 없었어요. 적금을 불리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바로 일어나서 다시 이력서 넣고 미친듯이 면접을 보러 다녔어요. 일단 부모님이 가난하여 손 벌릴곳이 없었고 그나마도 오빠가 손 벌리고 사는데 나는 절대 그럴 수 없다는 확고한 생각때문이었어요. 그런데 결혼하고 제 나이 이제 50이 다 되어가는데도 여전히 매달 조금씩이라도 저축을 하지 못하면 불안증상이 나옵니다. 밥맛이 없어지고 불안해지고 사업하는 남편때문에 크게 잃어본적도 있지만 그땐 또 대범하게 살았는데...아이들한테 그런 내색을 하면 안되기때문에 숱하게 기도하고 평정심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지만 습관처럼 불안증세가 먼저오고 거의 모든 지식을 동원하여 불안을 잠재우려고 애써야합니다.이거 치료가 필요한가요?
IP : 211.36.xxx.138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고고
    '17.5.17 2:05 PM (117.123.xxx.130) - 삭제된댓글

    엄마 생각나네요ㅜ 엄마가 원글님이랑 똑같아요. 어려서 가족들한테 돈 보태고 했던것까지요ㅜ 엄마도 일을 손에서 못 놓으세요. 저희 엄마는 본인 위해서는 천원 한장 못 쓰시느 분이에요.그렇게 모아서 자식들 도와주거나 나중에 물려주시려고 땅 사고 이런 식...

    항상 언제 가난해질지 모른다는 불안함으로 몸 혹사시키면서 일 하는데 자식된 입장에서 늘 불필요할만큼 죄책감 느끼게 되고 울엄마는 고생하는데 내가 이래도 되나해서 저까지 불안해지고ㅜㅜ

  • 2. ..
    '17.5.17 2:14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때도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병이죠.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

  • 3. ..
    '17.5.17 2:16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관계가 틀어지면 인생도 틀어지죠. 그러니, 병이죠.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병이죠.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

  • 4. ..
    '17.5.17 2:17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

  • 5. ..
    '17.5.17 2:19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그러다보니 돈이 모이는 것은 좋은데, 돈이 그림의 떡 같이 쓸 수 없는 죽은 돈이 돼요.

  • 6. ..
    '17.5.17 2:23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주머니에 500원 짜리 2개 있었던 적이 많고요. 예기치 않게 돈 들어갈 일이 있으면 스트레스를 너무 받았어요. 5-6년을 세상 누구보다 열심히 살았지만, 항상 적자였죠. 학비, 생활비, 방세.. 한마디로 거지보다 더 가난한 시절이죠.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그러다보니 돈이 모이는 것은 좋은데, 돈이 그림의 떡 같이 쓸 수 없는 죽은 돈이 돼요.

  • 7. ,,,
    '17.5.17 3:37 PM (121.128.xxx.51)

    아직 경제적으로 안정이 안 되셨나요?
    제가 그런 편이라 돈 없으면 한달에 3만원이라도 적금 넣고 있어요.
    아직 경제적 기반이 없다면 정상 이구요.
    여유 있고 먹고 살만한데 그러면 정신과 상담이라도 받아 보세요.
    의사들 한마디 한마디 하는 소리에 동의하게 돼요.

  • 8. ..
    '17.5.18 11:00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삶을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같은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9. ..
    '17.5.18 11:01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나머지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같은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10. ..
    '17.5.18 11:02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나머지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마찬가지로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5121 조심스럽게 원빈 13 원빈얘기가 .. 2017/08/05 4,789
715120 등뼈로 김치찜 할려는데 팁 좀 주세요. 7 ... 2017/08/05 1,723
715119 현역 국회의원, 전주 원룸서 '부인 아닌 여성'과 다투다 경찰 .. 5 누구냐, 넌.. 2017/08/05 3,467
715118 요즘 젊은 사람들은 왜 회사에 열정이 없을까요? 43 마음이 2017/08/05 6,626
715117 지리산, 한라산, 설악산 많이 안걷는 당일치기 하고 싶어요 10 산여행자 2017/08/05 1,359
715116 82의 옛날 장터가 아쉽네요.. 42 장터 2017/08/05 3,556
715115 교육부,교육청 고위직들 너무 무능한 것 같아요. 1 그냥 2017/08/05 667
715114 택시운전사, 가짜같지만 진실이었던 영화 속 사건 하나(스포일러).. 3 택시운전사 2017/08/05 1,729
715113 한지민처럼 예쁜 키큰 연예인 있나요? 27 ... 2017/08/05 7,718
715112 심신이 지친 딸아이를 일으켜 세우고 싶어요 4 2017/08/05 1,768
715111 매미에게 구혼 받은 여자 ㅡㅡ:: 8 =0= 2017/08/05 3,169
715110 수원지역 성당 다니시는 분 질문이요 4 성당사람 2017/08/05 890
715109 초5에게 쉽게 설명도와주세요^^ 2 마눌 2017/08/05 749
715108 내 아기는 다 예뻐보이나요? 18 ... 2017/08/05 3,445
715107 4시에 둘다 퇴근하는 1교실 2선생보다는 8 ... 2017/08/05 1,852
715106 매일 카톡으로 신세한탄하는 지인 어떠신가요.. 12 김미양 2017/08/05 3,667
715105 결혼시 잠많은 배우자 17 체크 2017/08/05 5,922
715104 요즘 애들은 뭐가 그렇게 특별한가요? 5 질문 2017/08/05 2,061
715103 영어발음에 경상도/전라도 사투리가 묻어날수도 있어요? 9 .... 2017/08/05 1,487
715102 뭔가를 구매했는데 기억이 안나요 ㅠㅠ 2 어쩜 2017/08/05 786
715101 준희양 말은 그냥 32 ... 2017/08/05 13,256
715100 미혼 많이부러워요 24 .. 2017/08/05 5,616
715099 비밀의 숲 전편 연속 방송 보고 있어요~ 4 오늘 2017/08/05 1,583
715098 화려한 휴가 보신 분들 택시운전사와 비교하면 어떤가요? 4 @@ 2017/08/05 1,672
715097 스타벅스도 속많이 썩겠어요 5 스타벅스호구.. 2017/08/05 6,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