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이소박이 만들 때

요리애호가여러분 조회수 : 1,248
작성일 : 2017-04-22 17:47:12
뜨거운 소금물에 절이고 나서 그 오이 나중에
양념소 넣기 전에 맹물에 헹굽니까? 안 헹굽니까?

또 양념소 만들 때 찹쌀풀 습니까? 안 씁니까?
풀 쓰고 안쓰고의 차이가 있습니까?
왜 이 중요한 걸 자세히 말하고 넘어가는 요리법이
없을까요? 요리법이 블러그마다 다 서로 베낀듯 똑같아요.
IP : 110.70.xxx.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7.4.22 6:02 PM (124.49.xxx.151)

    안헹구고
    찹쌀풀 씁니다

  • 2. 짤쯔
    '17.4.22 6:35 PM (39.17.xxx.91)

    제 방법이요

    소금물애 절이기 전에요
    이게 젤 중요하거든요.

    소금물을 끓이고 이 뜷는 소금물에 ( 불 않꺼요. )
    오이를 몇개씩 넣어서 이리저리 굴려요
    오이 굵기마다 시간이 좀 다른대 이건 경험허사면 되지 싶어요. 보통 20~30초 정도....
    오이를 그렇게 하면 겉 색이 진해지거든요
    이게 오이가 더 아작하고 무르지도 않아요
    이렇게 사전 준비된 오이를 절입니다.

    절안 오이 물에 씻지 않구요
    풀 쑤지 않습니다

    추가로 오이지 오이도 끓는 소금물에....굴려 건져낸후 합니다.

  • 3. 맘대로
    '17.4.22 7:11 PM (125.141.xxx.32) - 삭제된댓글

    오이소박이 매니아 입니다.
    어떤 방식으로 하든...대충 김치가 됩니다.

    1. 오이를 씻어서 열십자 낸 후에, 꽃소금으로 절인 후...소금물 버리지 않고 그 국물에 양념한다.
    2. 위와 같은 방법인데, 소금물 버리기도 하고...어떤 때는 오이를 헹구기도 한다.
    3. 굵은 소금물을 끓여 적당히 자른 오이에 뜨거운 물 부은 후...1시간 후에 물을 따라버리고 한다.
    4. 위와 같은 방법인데..헹구기도 한다.
    5. 찹쌀풀을 써 보기도 하고, 안 써보기도 하고...거의 비슷하다.

    내가 해본 바로는...큰 차이 없고요.
    제일 중요한 것이...소금간 맞추는 거지요.
    짜게 절여졌다면, 헹구고요.

    나는 주로 꽃소금으로 심심하게 절여서 헹구지 않고,소금물에 양념해서 국물 있게 담그는 편인데요.
    여름에는 뜨거운 물에 절이는 것이 오이가 덜 물러요.

  • 4. 생으로해도 좋아요
    '17.4.22 8:59 PM (119.196.xxx.89)

    찹쌀죽은 넣어야 김치맛이 부드럽고 맛이 어우러집니다
    절여서 절인물좀 버리고해도 담가놓으면 물많이나요
    작년 가을에 오이지도 우리는 김냉속에 잇는데 맛잇어요
    김밥쌀때도 넣어요 김밥에 시금치는 꼭넣고

  • 5. ...
    '17.4.23 7:33 AM (218.144.xxx.118)

    저는 오이지 담글때 끓는 물에 절이고는 씻지 않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7875 연합 YTN 에 절대 안나오네요 13 부산유세 3.. 2017/04/23 1,842
677874 호밀빵이 건강에 좋은가요 3 . 2017/04/23 2,018
677873 정의당 심상정이 저러는 이유. 30 ㅈㄴ지 2017/04/23 10,569
677872 더 플랜) 개봉했는데도 왜 수개표에 대한 의견이 모아지지 않죠?.. 8 ... 2017/04/23 1,183
677871 그것이알고싶다 보신분ᆢ 5 어제 2017/04/23 2,577
677870 김치에 넣는 쪽파, 익히면 향이 거슬리는데, 다른 분들은 안 그.. 8 쪽파 2017/04/23 1,202
677869 저는 인색한 사람이 싫은데 여러분들은 어떠세요 8 ... 2017/04/23 3,186
677868 개발 안 될 양지바른 산 땅조각 10평 정도 살 수도 있을까요?.. 5 ... 2017/04/23 1,525
677867 [문재인이 간다] 4.23(일) 여의도 TV토론 사전응원, 한반.. 7 midnig.. 2017/04/23 1,113
677866 문과 안이 10프로 차이지는거 조작입니까? 9 ^^ 2017/04/23 1,610
677865 문화콘텐츠 전문가 4008명, 문재인 지지 선언 12 ........ 2017/04/23 1,241
677864 최근 폐교된 외국인 학교? 국제 학교가 어딘가요? 1 학교 2017/04/23 1,379
677863 인간의 성장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시나요? 10 인간 2017/04/23 1,429
677862 문재인측-송민순 손학규와 소통, 안철수측은 즉각반발 45 집배원 2017/04/23 2,167
677861 딸만 둘일 경우.. 몇 살 터울이 자매간 우애가 가장 좋을까요?.. 17 2017/04/23 3,406
677860 제발 상식이 통하는 나라로 만들어주세요 4 안철수화이팅.. 2017/04/23 502
677859 죽기전에 좋은집에 살수있을까요? 11 mj 2017/04/23 3,850
677858 남친관련 고민.. 8 2017/04/23 2,196
677857 문재인 청년주택 공약. 2 슈퍼바이저 2017/04/23 623
677856 다들 문재인 후보가 너무 만만한가보네요 25 ... 2017/04/23 2,396
677855 둘째낳고 싶어도 못낳겠네요 5 .. 2017/04/23 2,523
677854 민주당은 대선에서의 현실을 너무 모른다 17 한심 2017/04/23 2,261
677853 강아지 사료 먹이는 문제요 11 ㅇㅇ 2017/04/23 2,110
677852 테스를 보니 대학 동기동창 생각나네요. 1 나타샤킨스키.. 2017/04/23 2,015
677851 이제부턴 여론에 안잡히는 지지층으로 방향을 잡았군요~ 25 대응3팀 2017/04/23 1,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