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도 계약관계라 생각하시는 분

결혼 조회수 : 1,452
작성일 : 2017-04-04 10:28:10
남과 남
집안과 집안
결혼서약
연애와는 또 다른 의미일 것 같은데
기혼자분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IP : 110.70.xxx.9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4.4 10:31 AM (121.166.xxx.35)

    기혼자는 아니지만 계약관계라고 생각해요

  • 2. 뭘 그렇게까지
    '17.4.4 10:36 AM (211.106.xxx.133) - 삭제된댓글

    애들이 생기니 그저 남일수가 없어요.
    양쪽 집안은 할수있는 범위내에서만 하는가요.
    왜냐? 내자식키우고 우리가정의 중요성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닐수있구요.
    연애보다 더 강력한 결속력과 지속성이 주는 안정감과
    인생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동질감.
    좋은 사람과 매일 같이하는 행복함이 더하죠.
    저 결혼26년차임

  • 3. 결혼은
    '17.4.4 10:43 AM (175.223.xxx.231)

    M&A 맞아요
    위 26년차 님은 낭만적, 추상적 개념으로 쓰신 거 같네요
    결혼, 이혼 여러 절차들 보면 계약관계 맞습니다
    계약을 끝내고 싶을 때 이혼 이러는 게 있는거고

  • 4. ㅈㅈ
    '17.4.4 10:46 AM (175.209.xxx.110)

    법적 계약이니깐 이혼이란 개념이 있는 거죠

  • 5. 자식이
    '17.4.4 10:48 AM (61.82.xxx.218)

    부부끼리야 계약관계라 할수 있죠. 이혼하면 남이고 계약파기 가능하죠.
    하지만 자식은 천륜을 맺어주는게 결혼이예요.
    내 아이의 아빠, 할아버지, 할머니.
    내 자식이기도 하지만 남편의 자식이기도 하고 시부모님들의 손주이니 그 끈이 영원히 유효하죠~
    남편이나 조부모가 경제력있다면 아무리 이혼 했어도 자식을 위해 남편집안의 끈 유지하는게 좋죠.

  • 6. .........
    '17.4.4 10:48 AM (216.40.xxx.246)

    법적 사회적 관습적 계약.

  • 7. 계약이긴한데
    '17.4.4 10:50 AM (211.106.xxx.133) - 삭제된댓글

    산술하지못하는 것들이 파생한다는 의미예요.

  • 8. ㄷㄴㅂ
    '17.4.4 10:53 AM (220.72.xxx.131)

    결혼의 시작이 계약이에요.
    지참금 제도, 민며느리 제도
    딸이라는 번식력 주는 대신
    소. 양. 닭 몇 마리 이상 주는 거
    그 중 암컷은 몇 마리 이상이어야 되는 거
    부친끼리 아들 딸 가격 흥정하는 거
    현재 남녀 조건 따지는 것도
    서로 상응하는 가치라는 걸 타산 맞춘 계약이에요.
    연애결혼이야말로 결혼제도의 돌연변이인 거에요.

  • 9. ..
    '17.4.4 10:54 AM (211.176.xxx.46)

    결혼을 왜 할까요?
    혼인신고를 왜 할까요?
    왜 이혼 안하려고 발버둥칠까요?
    뭔가 뜯어먹을 게 있기 때문입니다.

    당사자는 이혼하는 게 맞는데 사회가 이혼을 억제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결혼제도로 이익을 보는 존재가 있기 때문입니다.
    누구?
    여자?

    여자에게 결혼이 정말 필요한가요?
    님이 여자에요. 님이 삼성 이건희급 재력가에요. 혼인신고가 필요할까요? 결혼이 필요할까요?

    가정을 꾸리면 좋잖아요?
    왜 좋은 건가요?
    의존하는 게 좋은가요?

    내가 죽으면 내 재산 내 혈연관계에게 넘어가죠.
    근데 유일하게 혈연이 아닌데 내 돈 챙기는 존재가 있죠.
    나와 혼인신고 상태인 자.
    이런 엄청난 경제적 특혜가 주어지는 관계가 계약관계가 아니면 뭐죠?
    그냥 주고 싶어서 주는 거?
    그렇다면 혼인신고 안하고 그냥 내 전 재산 주면 되잖아요.

    애시당초 여성은 재산이 없었죠.
    남편이 죽으면 남편 재산으로 남편 집안 사람들 그늘 아래서 그대로 살았죠.
    남자 집안에 여전히 복무하며 살아가는 겁니다.
    지금은 그런가요?
    여성의 독자적 삶이 가능하죠.
    남편 재산 챙겨 본인 부모형제자식과 사업을 하거나 애인을 얻거나 새로운 남편을 들이거나.
    더 이상 남성들에게도 결혼제도 장점이 없어요.
    개인 간 , 시민 간 느슨한 연대 제도가 탄생할 거에요. 유럽은 이미 시행 중.

  • 10. 기혼자
    '17.4.4 11:46 AM (223.62.xxx.121) - 삭제된댓글

    기혼자이지만 계약관계라고 생각해요.
    일반 계약과는 좀 더 끈끈한 계약.

    더 확장 시키지만 가족 (부모 형제)도 결혼보다는 조금 더 끈끈한 계약 관계고요.

    미성년 자식만 계약에서 예외인 듯. 꼭 사랑해서가 아니라 낳아놓은 책임 때문이라도요. 물론 이 관계도 파기되는 경우 있긴 하죠.

  • 11. 기혼자
    '17.4.4 11:48 AM (223.62.xxx.121) - 삭제된댓글

    기혼자이지만 계약관계라고 생각해요.
    일반 계약과는 좀 더 끈끈한 계약.

    더 확장 시키자면 가족 (부모 형제)도 결혼보다는 조금 더 끈끈한 계약 관계고요.

    (가족과 아무 문제없는 사람들은 이해 못하겠지만 우환이 거듭되며 쌓이는게 많아지면 그 본면이 드러나는 경우 꽤 많더라고요)

    미성년 자식만 계약에서 예외인 듯. 꼭 사랑해서가 아니라 낳아놓은 책임 때문이라도요. 물론 이 관계도 파기되는 경우 있긴 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9657 지지자들 질린다 질려 26 진짜 2017/04/24 1,265
679656 이승훈 PD 페북 - 안철수의 말과 행동은 유아적이다 14 ㅇㅇ 2017/04/24 2,601
679655 후보 사퇴 시한을 언제까지로 보면 될까요 3 ㅇㅇ 2017/04/24 683
679654 문준용이 문제다 12 이것이 호남.. 2017/04/24 612
679653 바른정당 24일7시에 의원총회한다던데,사퇴?완주? 4 ㅇㅇ 2017/04/24 484
679652 젊음의 천안 유세장 다녀왔습니다. 5 홍이 2017/04/24 1,096
679651 식사 모임에서 여러 메뉴 나눠먹지 않고 혼자 먹으면 8 모임 2017/04/24 2,604
679650 지겨운 알바들 3 그만 2017/04/24 243
679649 상대방후보는 그만 비웃고 공약이나 정책 소개 부탁드려요 25 xiaoyu.. 2017/04/24 1,214
679648 안철수는 일종의 경고다 5 ㅗㅗ 2017/04/24 986
679647 유세차를 만났어요 2 주책 2017/04/24 554
679646 미국이 북한을 공격하지 않는것은 2500만명 때문에 6 WaPo 2017/04/24 1,026
679645 지금 반장선거합니까? 대통령을 뽑아야 하는 시기에요. 23 참다못해서 2017/04/24 1,459
679644 사퇴는 안할 건가봐요.. 4 대응3팀 2017/04/24 1,018
679643 난 왜 항상 힘들기만 할까.. 9 0행복한엄마.. 2017/04/24 1,638
679642 신용카드 승인내역과 사용내역 차이가 뭔가요? 2 .. 2017/04/24 4,153
679641 부실한 저녁 먹고 지금 마트 가면 안되는데 1 /// 2017/04/24 590
679640 광화문 대통령♡ 8 ... 2017/04/24 695
679639 대학 기숙사가 무서운 조카 어쩌죠? 6 2017/04/24 2,394
679638 sbs 8시 뉴스 팩트체크 결과들 나왔네요. 11 ㅇㅇ 2017/04/24 2,999
679637 대선 팩트체크 해보면 거의 문후보가 맞네요 18 00 2017/04/24 1,707
679636 아토피 있는아이 생존수영 시켜도 될까요?? 6 해바라기 2017/04/24 1,136
679635 미국은 한국의 의료보험시스템을 부러 6 ㅇㅇ 2017/04/24 578
679634 해외에서도 파란을 일으키자! '재외국민 투표시작' 내일부터 재.. 2017/04/24 415
679633 수박 언제 사야 맛있나요???? 4 zzzz 2017/04/24 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