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재점화한 수시·학종 논란…대선 이후 변화 불가피

조회수 : 615
작성일 : 2017-04-02 12:20:35
스펙·내신·수능 '멀티플레이' 부담" VS "학교현장·교육정책 변화로 개선 가능"

대학 수시모집과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확대 효과를 놓고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다.

대통령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과 교육 현장에서는 연일 찬반 양론이 부딪히는 모습이다.

특히 대선 이후 교육정책의 구조적·내용적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10여년간 대학 입시의 큰 방향이었던 수시·학종 확대 기조도 어떤식으로든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 수시·학종, 교육계 '뜨거운 감자'로 재부상

2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은 물론 교육 현장에서도 연일 수시모집과 학종을 두고 찬반 목소리가 엇갈리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해 내놓은 자료를 보면 2018학년도 대학 모집인원 약 35만2천명 가운데 수시모집 인원은 25만9천700명가량으로 73.7%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치른 2017학년도 대입에서 수시모집 비중이 69.6%가량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그 비율이 더 높아졌다.

수시모집은 대부분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진행되는데 2018학년도의 경우 학생부교과전형으로 14만900명가량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8만3천200명가량을 각각 뽑는다.

특차모집이 폐지된 2002학년도부터 입시 지형도를 바꾸기 시작한 수시모집과 학종은 10여년 만에 대입의 가장 큰 줄기가 됐다.

하지만 이를 둘러싼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前) 대표는 수시모집 축소를 교육분야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의 정시모집이 학종으로 대표되는 수시모집보다 공정성 논란이 적고 사교육 부담도 덜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안희정·이재명 후보도 공정성 측면에서 수시가 적지 않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축소 필요성을 언급했다.

◇ 학생 '멀티플레이' 부담 덜고 공정성 강화할 방법은…

10여 년간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은 학종이 사교육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재능을 가진 아이들을 가려내는 데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학생들은 학종을 준비하면서 여전히 수능과 내신성적에도 신경을 써야 해 '멀티플레이어'가 되기를 강요받는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이런 문제점은 결국 교과 과외는 물론 면접학원·자기소개서 첨삭 학원·다양한 비교과 활동 과외 등 고가의 사교육을 부추긴다는 비판으로도 연결된다.

교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펙' 쌓기 활동 역시 부모의 뒷바라지와 사교육을 바탕으로 하면 훨씬 수월하므로 결국 학종은 부유층 학생이 수능에 매진하지 않고도 손쉽게 대학에 갈 수 있는 '금수저 전형'이라는 것이다.

공정성 논란도 '현재진행형'이다.

수능으로 수험생을 줄 세워 뽑던 시절에는 입시제도의 획일성에 비판이 있었지만 전국의 수험생이 같은 문제를 풀고 같은 잣대로 채점한 성적통지표를 받았기 때문에 적어도 공정성 면에서는 학종보다 앞서 있었다는 주장이 여전하다.

고등학교 2학년 딸을 둔 이선영(49)씨는 먼저 아들·딸의 입시를 치러본 친구들의 조언을 듣고 아이가 다양한 활동을 열심히 하는 것보다 교사가 학생부에 아이의 세부능력을 얼마나 자세히 적어주느냐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고 전했다.

이 씨는 "각 학교가 운영하는 프로그램과 평가방법, 교사 가치관이나 관점 등이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학종은 아이들이 절대 공정하게 평가받을 수 없는 입시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대선 이후 교육정책 변화에 따라 학종의 특성과 위상에도 변화가 따를 것으로 보이는 만큼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IP : 223.38.xxx.14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니까요
    '17.4.2 3:47 PM (124.54.xxx.150)

    내가 얼마나 그 대회를 즐겼는가보다는 그 대회 성적이나 담임교사 한사람의 평가만이 그 아이의 인생을 좌지우지하게 되었으니까요. 다 아시겠지만 내 윗 상사에게만 평가를 받아야해서ㅜ상사의 부당함에는 대응하지 못하게 되잖아요 그 상사에게 잘보이기 위해 기를 써야하고.. 실제 실력보다 아부잘하는 사람이 성공하는 사회의 축소판이 되어버린거죠. 그런 사회가 진짜로 발전할수있다고 생각하나요?

  • 2. ㅌㅌ
    '17.4.2 3:52 PM (14.35.xxx.111)

    학교에서 과제하는데 부모님이 두분다 의사인 아이와 팀짤려고 애들은 줄섰데요....ㅜㅜ
    다른동아리장 엄마가 네이버 이사라 화사에서 애들 웹개발할수 있게 도와준답니다
    능력없는 부모가 미안할 뿐이죠
    아이가 요즘 하는말이 인맥 학맥 외모가 중요하다는걸 뼈저리게 느끼고 있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1608 한국의 보수? 아니 수구꼴통들 무시하면 안되요 2 바닐라 2017/04/08 340
671607 이제 밀물 타임인가요?? 5 ... 2017/04/08 363
671606 ////플레이어 프로그램중에, 유투브처럼 음성인식 자막 되는것... qweras.. 2017/04/08 733
671605 우와 깨끗해졌어요 7 Amkks 2017/04/08 2,489
671604 돈있어서 자식 공부시키는게 무슨 잘못이예요? 45 ... 2017/04/08 3,878
671603 "국민의당 선거인단 불법동원, 시당 국장급 당직자 주도.. 13 충성 2017/04/08 726
671602 지금 요리인류 하네요 1 요리 2017/04/08 808
671601 안철수 딸 유학 및 재산공개 관련 의혹 정리 29 ㅇㅇ 2017/04/08 1,814
671600 문재인 표 구걸하느라 술마실때 30 ㄷㄷㄷㄷ 2017/04/08 1,547
671599 문재인과 문캠의 몰락 16 달의몰락 2017/04/08 906
671598 안철수 딸이 사는 호화주택이랍니다~ 74 호화주택 2017/04/08 25,530
671597 강아지 배변패드 기본 사이즈 반짜리는 안나오나요? 2 2017/04/08 545
671596 JTBC 보이콧 해야할 때가 된것 같습니다. 13 시청자의 힘.. 2017/04/08 2,428
671595 @.@ 박지원이 이상득과 사돈이었어요?? 14 이건또무슨 2017/04/08 1,322
671594 여론전문가 박시영대표가 죽써서 개주게 생겼대요 ㅠ 30 총수조아 2017/04/08 2,433
671593 소주 한 잔 듣고싶다 2017/04/08 357
671592 박근혜 5촌 살인사건, 목격자가 나타났다 1 그알 2017/04/08 1,613
671591 대만 여행...? 12 ... 2017/04/08 2,525
671590 진짜 이상하지 않아요? 너무 조용해요. 9 ... 2017/04/08 1,926
671589 부항자국 보통 얼마나 가나요? 6 ,, 2017/04/08 4,744
671588 안나앤블루 옷 어떤가요? 9 쇼핑몰 질문.. 2017/04/08 2,788
671587 당대표 문재인 354일 업적과 기록 3 그래요 문재.. 2017/04/08 362
671586 문재인을 아웃시킨 이유 34 인성봐라 2017/04/08 1,646
671585 쌀핫도그 잘 되네요 8 하고 싶어요.. 2017/04/08 2,280
671584 약사가 그렇게나 좋은 직업인가요? 16 궁금 2017/04/08 4,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