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종늘리라더니 .."갑자기 말바꾼 교육부

R유 조회수 : 2,455
작성일 : 2017-03-12 18:23:35
http://news.joins.com/article/21362132?cloc=joongang|article|recommend

단독] '학종 늘리라더니···' 정치권과 여론 눈치보며 갑자기 '늘리지
말라'고 입장 확바꾼 교육부 논란

중앙일보 2017.03.12 15:11

대입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늘리도록 유도해온 교육부가 정치권과 여론의 눈치를 보며 학종 확대를 제지하고 나섰다. 교육부는 최근 각 대학 입학처장들에게 학종 확대를 자제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학종 확대에 힘써온 교육부가 갑자기 방침을 바꾸자 대학가에선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학종은 교과(내신)뿐 아니라 동아리·자율활동·봉사활동·독서 등 비교과 활동을 두루 살펴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로 2014년 12.4%였던 학종 비율은 2018년 23.6%로 두배가량 증가했다.

입시계획 발표 코 앞인데 갑작스런 입장 변화에 대학들은 당혹
복수의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교육부 대학정책실 공무원들이 대학 입학처장들에게 “학종 늘리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서울의 A사립대 입학사정관은 “대학 관계자들을 모아놓고 교육부의 재정지원사업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앞으로 수시·정시 비율을 고려하지 않겠다’고 언급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교육부가 ‘학종’이라는 표현을 직접 사용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대학이 ‘학종 확대를 자제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유미 교육부 대학정책관은 “대학들에게 학종 규모 늘리지 말고 내실화에 집중하라고 한 것은 맞다”고 인정했다.

교육부의 이같은 입장 변화는 지난달 28일 확정 공고한 ‘2017년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계획에서도 감지된다. 이 사업은 논술전형처럼 사교육 영향력이 큰 전형을 줄이고 공교육 위주의 입시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2014년 시작했다. 지난해까지 이 사업에선 학생부전형 실시여부와 비율을 가장 큰 평가지표로 삼았다. 올해는 60개 대학에 지난해보다 18.5% 증가한 544억원을 지원한다.


그러나 올해부턴 평가 방식이 달라진다. 학생부 전형 실시 비율 자체를 빼고 ‘선발의 적절성’ 등 지표로 대체했다. 배점도 30점에서 25점으로 줄었다. 지금까지는 학생부 전형을 얼마나 확대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평가했다면, 올해부터는 학생부 전형을 얼마나 내실 있게 운영하는지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미다. 학생부전형은 학종 외에도 내신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학생부교과전형이 있는데 내신을 하나의 잣대로 평가할 수 없어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보통 교육부가 강조해온 ‘학생부 전형’은 ‘학종’을 의미한다.

교육부가 이런 결정을 내린 배경은 학종에 대한 비판여론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B사립대의 한 입학사정관은 “최근 학종이 대입 전형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높아진데다, ‘깜깜이 전형’이라는 비난을 받아온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본지가 지난해 6월 종로학원하늘교육과 함께 학생·학부모 1135명을 설문 한 결과 학생의 41.4%, 학부모의 58.4%가 학종에 대해 “공정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국외대 나민구 입학처장은 “지금까지 양적 팽창에 집중하느라 질을 높이려는 노력이 부족했던 게 사실이다”며 “무조건 늘리는 것보다 제대로 운영될 수 있게 돕는 게 맞는 방향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이유로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새롭게 들어설 정권의 눈치를 보는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대선주자들이 교육부 폐지론을 내세우고 정시 확대 등의 공약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교육부가 눈치작전 들어간 것 아니냐”고 말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과 함께 국정교과서 등 박근혜정부의 꼬리표가 붙은 정책들은 탄력을 잃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이달까지 2019학년도(현 고2) 입시계획을 세워야 하는 대학들은 혼란에 빠졌다. 이달 말 발표 예정인 입시전형계획을 이제와 변경하기엔 시간이 부족하고, 딱히 대체할 전형도 없기 때문이다. 경희대 임진택 책임입학사정관은 “논술·특기자 전형은 사교육 유발 전형으로 알려져 확대가 어렵고, 올부터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돼 정시 변별력도 떨어진 상황이다. 갑작스런 변화에 곤혹스러운 대학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학종의 장점이 있지만 지금 수준이 확대할 수 있는 최대치란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며 “정권이 바뀌면 대입이 또 어떻게 달라질지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IP : 223.62.xxx.7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시
    '17.3.12 6:27 PM (223.33.xxx.58) - 삭제된댓글

    학종 문제 많아요.정말 축소 해야해요.

  • 2.
    '17.3.12 6:33 PM (61.74.xxx.54)

    학종축소는 적극찬성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우왕좌왕하는 교육부 정말 욕하고 싶네요
    영어절대평가도 바람직한데 변별력 없어지니 국어 탐구 어려워지고
    어떻게 준비를 해야하는건지 원..

  • 3. 그냥
    '17.3.12 6:40 PM (223.38.xxx.115) - 삭제된댓글

    정시 80..수시 20 이 공정 할거 같아요.

  • 4. 그러나
    '17.3.12 6:44 PM (124.62.xxx.131) - 삭제된댓글

    현실은 정시 20~30 수시 70이상 ...

  • 5. 수시는 불공정
    '17.3.12 6:49 PM (118.220.xxx.21)

    언어인 영어를 등급 메기는 것도 불공정.
    그러나 입시영어를 절대평가하는것도 불공정.
    영어절대평가는 만족하더라도
    수학 국어 어려워지는 것도 불공정.

    한마디로 내 자식 쉽게 대학 가는 제도만 공정

  • 6. . . .
    '17.3.12 7:04 PM (125.176.xxx.193) - 삭제된댓글

    학종은 깜깜이 전형입니다. 왜 붙었는지 왜 떨어졌는지도 모르는거죠. 조사하면 정유라 같은 사례가 많을겁니당 정시전형 50프로 이상으로 늘려야합니다.

  • 7. 당연히 정시
    '17.3.12 7:35 PM (122.44.xxx.186)

    정시 100%로 했으면 좋겠어요.

  • 8. 00
    '17.3.12 7:35 PM (116.33.xxx.68)

    학종컨설팅이 대세더라구요
    돈없으면 아이가 똑부러지지않으면 학종준비못해요
    본인이 다알아서하는건데 이제고1아이 동아리 다떨어져
    전혀 전공과관계없는 동아리들어서 학생부에 기재해줄것도없을것같아요

  • 9. ..
    '17.3.12 7:40 PM (1.237.xxx.91) - 삭제된댓글

    이재명 안철수찍으면 학종은 사라지겠죠?

  • 10.
    '17.3.12 7:52 PM (211.36.xxx.127) - 삭제된댓글

    교육부가 이제야 정신을 차리려하네요
    정시늘린다는 대통력 공약하는사람 당보지않고 무조건 학부모에게 몰표받을거예요

  • 11. 장독
    '17.3.12 7:53 PM (211.36.xxx.127) - 삭제된댓글

    국어 어려워지는것 욕나오려해요
    좀 모든건 적당해야 되지

  • 12. ^^
    '17.3.12 11:10 PM (39.112.xxx.205)

    대통령이 탄핵되고
    환관들이 힘을 더 못쓰니까
    이제라도 바뀐거겠죠.

  • 13. ㄱㄷㄱㄷ
    '17.3.13 8:24 AM (211.36.xxx.127) - 삭제된댓글

    수시늘리라는것도 최순실이 영향도 있을듯 싶네요 자기 애 들어가야하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1079 고등 학부모총회때 입시설명회에 1학년 맘도 가야하나요? 5 고등맘 2017/03/13 1,723
661078 박사모 애들이 박그네 집근처에서 40일 동안집회신청 6 fffff 2017/03/13 1,641
661077 상스러운 사람 어떻게 상대하세요? 8 ... 2017/03/13 2,733
661076 살빼고 친구 만났는데 목주름때문에 늙어보인다고 ㅜ ㅜ충격 21 목주름까지는.. 2017/03/13 8,420
661075 검뭐하나~朴 떠났지만..'청와대에 남은 서류가 위험하다' 1 그러게요 2017/03/13 604
661074 위 송곳니 레진한게 떨어졌는데 다시 붙여놨거든요 1 빵꾸 2017/03/13 984
661073 숫자를 글로 쓸 때 맞춤법 질문 좀 드려요. 3 알려주세요... 2017/03/13 1,014
661072 이케아 옆광명 롯데몰은... 4 ㅜㅜ 2017/03/13 2,043
661071 소잉.바느질 혼자 배울수 있을까요? 5 바느질 2017/03/13 1,052
661070 아파트 52평 사진보다 넓네요 7 .... 2017/03/13 3,598
661069 총회때 자녀 누구에게 가나요? 7 Hgj 2017/03/13 1,290
661068 중학생 여드름.. 어떻게 해줘야하나요 ㅠ 14 ㅇㅇ 2017/03/13 5,905
661067 '朴 사저 동행' 윤전추 행정관, 현직 신분 수행 논란 3 사표내야죠 2017/03/13 2,394
661066 고양이털땜에 엘지건조기 관심가는데 트럼세탁기의건조기와 무슨차이인.. 8 건조기 2017/03/13 2,766
661065 임산부 혼자 여행 괜찮을까요? 8 블랙나나 2017/03/13 2,722
661064 집주인과 전세연장계약서 부동산에서 하려하는데요 11 .. 2017/03/13 3,315
661063 민주당 자유게시판에 가보셨나요? 15 .. 2017/03/13 1,711
661062 예전에 서울대 물리학과 졸업생들은 33 ㅇㅇ 2017/03/13 7,275
661061 웃겨~'김종인보다 경쟁력 있는 대선후보 없어'..독자 출마? 6 ㅎㅎ 2017/03/13 859
661060 양배추 데칠때 통째로 넣고 데쳐도 되나요? 12 양배추 2017/03/13 2,704
661059 재수생아이 어쩌면 좋을까요? 20 아들맘 2017/03/13 3,297
661058 민주당 경선에서 누가 될 확률이 높나요? 49 적폐청산 2017/03/13 922
661057 고1 3월 첫모의고사 (과학탐구영역) 4 덜떨어진 내.. 2017/03/13 1,242
661056 차기대선주자들 탈핵 4대강 복원 등을 공약하라 후쿠시마의 .. 2017/03/13 418
661055 출산 후 6주인데 귀가 먹먹해요 5 도와주세요 2017/03/13 1,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