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종늘리라더니 .."갑자기 말바꾼 교육부

R유 조회수 : 2,454
작성일 : 2017-03-12 18:23:35
http://news.joins.com/article/21362132?cloc=joongang|article|recommend

단독] '학종 늘리라더니···' 정치권과 여론 눈치보며 갑자기 '늘리지
말라'고 입장 확바꾼 교육부 논란

중앙일보 2017.03.12 15:11

대입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늘리도록 유도해온 교육부가 정치권과 여론의 눈치를 보며 학종 확대를 제지하고 나섰다. 교육부는 최근 각 대학 입학처장들에게 학종 확대를 자제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학종 확대에 힘써온 교육부가 갑자기 방침을 바꾸자 대학가에선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학종은 교과(내신)뿐 아니라 동아리·자율활동·봉사활동·독서 등 비교과 활동을 두루 살펴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로 2014년 12.4%였던 학종 비율은 2018년 23.6%로 두배가량 증가했다.

입시계획 발표 코 앞인데 갑작스런 입장 변화에 대학들은 당혹
복수의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교육부 대학정책실 공무원들이 대학 입학처장들에게 “학종 늘리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서울의 A사립대 입학사정관은 “대학 관계자들을 모아놓고 교육부의 재정지원사업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앞으로 수시·정시 비율을 고려하지 않겠다’고 언급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교육부가 ‘학종’이라는 표현을 직접 사용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대학이 ‘학종 확대를 자제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유미 교육부 대학정책관은 “대학들에게 학종 규모 늘리지 말고 내실화에 집중하라고 한 것은 맞다”고 인정했다.

교육부의 이같은 입장 변화는 지난달 28일 확정 공고한 ‘2017년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계획에서도 감지된다. 이 사업은 논술전형처럼 사교육 영향력이 큰 전형을 줄이고 공교육 위주의 입시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2014년 시작했다. 지난해까지 이 사업에선 학생부전형 실시여부와 비율을 가장 큰 평가지표로 삼았다. 올해는 60개 대학에 지난해보다 18.5% 증가한 544억원을 지원한다.


그러나 올해부턴 평가 방식이 달라진다. 학생부 전형 실시 비율 자체를 빼고 ‘선발의 적절성’ 등 지표로 대체했다. 배점도 30점에서 25점으로 줄었다. 지금까지는 학생부 전형을 얼마나 확대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평가했다면, 올해부터는 학생부 전형을 얼마나 내실 있게 운영하는지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미다. 학생부전형은 학종 외에도 내신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학생부교과전형이 있는데 내신을 하나의 잣대로 평가할 수 없어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보통 교육부가 강조해온 ‘학생부 전형’은 ‘학종’을 의미한다.

교육부가 이런 결정을 내린 배경은 학종에 대한 비판여론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B사립대의 한 입학사정관은 “최근 학종이 대입 전형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높아진데다, ‘깜깜이 전형’이라는 비난을 받아온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본지가 지난해 6월 종로학원하늘교육과 함께 학생·학부모 1135명을 설문 한 결과 학생의 41.4%, 학부모의 58.4%가 학종에 대해 “공정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국외대 나민구 입학처장은 “지금까지 양적 팽창에 집중하느라 질을 높이려는 노력이 부족했던 게 사실이다”며 “무조건 늘리는 것보다 제대로 운영될 수 있게 돕는 게 맞는 방향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이유로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새롭게 들어설 정권의 눈치를 보는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대선주자들이 교육부 폐지론을 내세우고 정시 확대 등의 공약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교육부가 눈치작전 들어간 것 아니냐”고 말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과 함께 국정교과서 등 박근혜정부의 꼬리표가 붙은 정책들은 탄력을 잃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이달까지 2019학년도(현 고2) 입시계획을 세워야 하는 대학들은 혼란에 빠졌다. 이달 말 발표 예정인 입시전형계획을 이제와 변경하기엔 시간이 부족하고, 딱히 대체할 전형도 없기 때문이다. 경희대 임진택 책임입학사정관은 “논술·특기자 전형은 사교육 유발 전형으로 알려져 확대가 어렵고, 올부터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돼 정시 변별력도 떨어진 상황이다. 갑작스런 변화에 곤혹스러운 대학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학종의 장점이 있지만 지금 수준이 확대할 수 있는 최대치란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며 “정권이 바뀌면 대입이 또 어떻게 달라질지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IP : 223.62.xxx.7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시
    '17.3.12 6:27 PM (223.33.xxx.58) - 삭제된댓글

    학종 문제 많아요.정말 축소 해야해요.

  • 2.
    '17.3.12 6:33 PM (61.74.xxx.54)

    학종축소는 적극찬성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우왕좌왕하는 교육부 정말 욕하고 싶네요
    영어절대평가도 바람직한데 변별력 없어지니 국어 탐구 어려워지고
    어떻게 준비를 해야하는건지 원..

  • 3. 그냥
    '17.3.12 6:40 PM (223.38.xxx.115) - 삭제된댓글

    정시 80..수시 20 이 공정 할거 같아요.

  • 4. 그러나
    '17.3.12 6:44 PM (124.62.xxx.131) - 삭제된댓글

    현실은 정시 20~30 수시 70이상 ...

  • 5. 수시는 불공정
    '17.3.12 6:49 PM (118.220.xxx.21)

    언어인 영어를 등급 메기는 것도 불공정.
    그러나 입시영어를 절대평가하는것도 불공정.
    영어절대평가는 만족하더라도
    수학 국어 어려워지는 것도 불공정.

    한마디로 내 자식 쉽게 대학 가는 제도만 공정

  • 6. . . .
    '17.3.12 7:04 PM (125.176.xxx.193) - 삭제된댓글

    학종은 깜깜이 전형입니다. 왜 붙었는지 왜 떨어졌는지도 모르는거죠. 조사하면 정유라 같은 사례가 많을겁니당 정시전형 50프로 이상으로 늘려야합니다.

  • 7. 당연히 정시
    '17.3.12 7:35 PM (122.44.xxx.186)

    정시 100%로 했으면 좋겠어요.

  • 8. 00
    '17.3.12 7:35 PM (116.33.xxx.68)

    학종컨설팅이 대세더라구요
    돈없으면 아이가 똑부러지지않으면 학종준비못해요
    본인이 다알아서하는건데 이제고1아이 동아리 다떨어져
    전혀 전공과관계없는 동아리들어서 학생부에 기재해줄것도없을것같아요

  • 9. ..
    '17.3.12 7:40 PM (1.237.xxx.91) - 삭제된댓글

    이재명 안철수찍으면 학종은 사라지겠죠?

  • 10.
    '17.3.12 7:52 PM (211.36.xxx.127) - 삭제된댓글

    교육부가 이제야 정신을 차리려하네요
    정시늘린다는 대통력 공약하는사람 당보지않고 무조건 학부모에게 몰표받을거예요

  • 11. 장독
    '17.3.12 7:53 PM (211.36.xxx.127) - 삭제된댓글

    국어 어려워지는것 욕나오려해요
    좀 모든건 적당해야 되지

  • 12. ^^
    '17.3.12 11:10 PM (39.112.xxx.205)

    대통령이 탄핵되고
    환관들이 힘을 더 못쓰니까
    이제라도 바뀐거겠죠.

  • 13. ㄱㄷㄱㄷ
    '17.3.13 8:24 AM (211.36.xxx.127) - 삭제된댓글

    수시늘리라는것도 최순실이 영향도 있을듯 싶네요 자기 애 들어가야하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1704 40대 손님초대상 메뉴 좀 봐주세요 ^^ 14 나도쉐프 2017/03/14 2,477
661703 펌) 오늘 TV토론회의의 하이라이트 9 .. 2017/03/14 1,171
661702 결혼하구 우울증 사라지신 분들 많으시죠? 26 ㄱㄷ 2017/03/14 7,701
661701 남편놈.. 니나노 띵가띵가 잘 나가네요. 5 내 팔자야... 2017/03/14 2,597
661700 세종대왕의 장인 심온의 가족사에 대해 적어놓은 싸이트 있을까요?.. 2 혹시 2017/03/14 1,381
661699 쎄무 트렌치사고싶어요 1 화이트데이 2017/03/14 661
661698 아주 신나서들 19올리는거봐!!으이그~!! 22 미친것들 2017/03/14 2,648
661697 8층 계단 오르기 7 고층 2017/03/14 1,831
661696 반기문 팬클럽, 안철수 지지 초읽기 13 .... 2017/03/14 879
661695 요즘은 여자들이 살기 좋은 세상인가요? 42 ㅇㅇ 2017/03/14 4,331
661694 한밤 보시나요? 3 .. 2017/03/14 946
661693 JTBC 노회찬 의원.. 6 지금 2017/03/14 1,806
661692 다들 집장만 어떻게 하세요? 13 고민... 2017/03/14 4,103
661691 개헌이 뭐길래… 김종인-김제동 '설전' 4 고딩맘 2017/03/14 1,390
661690 이촌동에 서민 살만한가요? 26 84 2017/03/14 5,679
661689 엄훠나(?) 왠 총각이 이상형이라며,번호를 물어봤어요ㅋㅋ 2 // 2017/03/14 2,566
661688 세월호1064일) 아홉분외 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분들에게 안기게.. 10 bluebe.. 2017/03/14 307
661687 핸드폰 질문있어요 그리 2017/03/14 333
661686 펑.. 50 ㅇㅇ 2017/03/14 16,620
661685 그런데 문재인은 왜 남인순을 영입했는지 5 신노스케 2017/03/14 1,345
661684 혹시 인도네시아 사람들에 대해 잘 아시는분계세요? 6 000 2017/03/14 1,224
661683 남인순의원이 문캠프에 들어간것에대해 6 여성 2017/03/14 1,129
661682 [JTBC 뉴스룸]주요뉴스....................... 3 ㄷㄷㄷ 2017/03/14 634
661681 운동하고 싶은데 1 .. 2017/03/14 592
661680 어린 학생들 잡고 "대통령 억울".. '불안한.. 3 에휴 2017/03/14 1,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