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한민국 30대 부부의 월 평균 소득은 얼마일까?

..... 조회수 : 5,260
작성일 : 2017-03-11 10:53:33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308010005036


# 보험설계사인 김보통씨(38세) 부부의 월 평균 가구 소득은 550만원이다. 유치원생 자녀를 두고 있는 김 씨의 관심사는 자녀 교육비다. 김 씨는 현재 교육비로 매월 50만원을 지출하고 있는데 금액이 적정한지도 의문이다. 주변에는 아직 미혼인 친구들이 많고 기혼인 친구들도 소득이 달라 비교가 어렵다. 김 씨는 자신과 비슷한 소득 수준의 보통 사람들이 어떤 금융생활을 하는지 궁금하다.

신한은행은 이런 궁금증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전국 만 20세에서 64세 취업자의 금융생활 모습을 담은 ‘2017 보통사람금융생활 보고서’를 8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연령별, 결혼 여부, 자녀의 연령 등 9개 그룹으로 나눴다. 

보고서에 따르면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두고 있는 20~30대 부부의 월평균 소득이 565만원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자산 6322만원, 부동산 2억9685억원을 포함해 총 자산은 평균 3억8504만원이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식비 68만원, 주거비 32만원, 교육비 49만원을 사용한다.

중·고등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40대 부부의 소득 평균은 이보다 낮은 504만원이다. 자산은 20~30대보다 조금 높은 3억8853만원이다. 금융자산이 6438만원, 부동산 자산이 3억525만원이다. 식비로 60만원, 주거비로 27만원, 교육비로 86만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0대이면서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26만원이다. 총자산은 금융 8595만원, 부동산 3억4637만원을 포함해 4억5908만원이다. 식비로 57만원, 주거비 33만원, 교육비 81만원을 평균적으로 지출했다. 

60대 이상 가구의 경우 월 평균 431만원을 벌고, 자산은 4억3795만원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식비 68만원, 주거비 33만원, 교육비 52만원을 평균적으로 지출했다.

대한민국 보통사람 1인의 평균 월 소득은 283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상위 20%인 소득 1구간과 하위 20%인 5구간의 소득 차이는 3배 가까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337만원, 여성은 208만원으로 남성이 여성의 약 1.6배다. 연령별로는 20대 소득 평균이 230만원이었고, 30대가 1.2배인 278만원이다.  

특히 소득 상위 20%인 1구간의 평균 소득은 445만원으로 하위 20%의 평균 소득인 160만원의 2.8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본인과 배우자의 근로 소득과 부동산, 금융소득 및 기타 소득을 포함한 월 평균 총 소득은 468만원이다. 소득 1구간의 소득은 911만원, 5구간의 소득은 174만원으로 5배 이상 차이가 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월 소득 468만원 중 245만원(52.3%)을 생활비 등에 썼고, 111만원(23.7%)은 저축과 투자에, 부채상환에 56만원(12%)을 이용했다. 잉여자금은 56만원(12%)이다.

소득 수준에 따라 교육비 부문에서 소비 금액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비 금액인 245만원 중에서 절반 수준인 121만원을 교통비·식비 등 기본 생활비로 지출한다. 생활비 다음으로는 교육비(31만원) 지출이 높았다. 

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 금액은 최대 4.3배 차이를 나타냈는데, 교육비의 경우에는 최대 21배의 차이를 보였다. 소득이 교육비 지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이다.
IP : 211.207.xxx.9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3.11 10:53 AM (211.207.xxx.9)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308010005036

  • 2. .....
    '17.3.11 10:55 AM (211.207.xxx.9)

    60대 이상 가구가 월평균 400만원 이상의 수입을 올리고 있는데 이건 임대 소득 뭐 그런 걸까요? 이 숫자가 너무 놀랍네요.

  • 3. 에휴
    '17.3.11 11:01 AM (124.50.xxx.202)

    그 월수입 이라는거 의미없어요
    수입대비 고정지출 제외한 비용이 중요한거 아니에요??
    양가 도움받아 강남땅에 집사고 월수입 500이랑
    대출받아 서울 외 지역이 전세살며 월수입 1000이랑 같나요
    절대....ㅠㅠㅠㅠㅠㅠ
    아아 슬프다..... ㅠㅠ

  • 4.
    '17.3.11 11:03 AM (122.252.xxx.241) - 삭제된댓글

    진짜 많이 벌고
    자산도 높군요
    저 사람들이 평균이라면
    여기서 연봉 천 우습게 보는 것도
    이해가 가네요 ㅠㅠ

  • 5. 당연히
    '17.3.11 11:16 AM (119.70.xxx.204)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경제순위가 세계10 위 11위 이래요
    저정도가 평균맞아요

  • 6. ..
    '17.3.11 11:16 AM (211.178.xxx.168)

    40대가 벌이가 오히려 적네요..

  • 7. oo
    '17.3.11 11:24 AM (39.115.xxx.179)

    다들 참 많이 버네요...

  • 8. ...
    '17.3.11 11:24 AM (61.84.xxx.125)

    20~30대는 대부분이 맞벌이라 수입이 많을테고, 40대 이상부터는 여자가 전업이거나 일을 해도 수입이 낮아 그런게 아닐까요?

  • 9. ㅇㅇ
    '17.3.11 11:29 A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이게 통계가 가져다 주는 허상이죠.
    평균은 상위 1프로의 소득이 어마어마하면 쉽게 올라갑니다.
    시험처럼 아무리 잘 봐야 100점이 최고값인 것도 아니고요.
    중요한 건 상위 50프로에 속하는 중간값이 어느 정도냐인데
    저 기사에서 5구간의 월 평균 소득이 174만원이라고 하쟎아요.
    그 수치가 진짜 대한민국 보통 가정의 현 주소라고 봐야 맞는 거죠.

  • 10. ....
    '17.3.11 11:47 AM (125.176.xxx.204)

    제 주변도 둘이 벌어 다들 500 넘습니다. 제가 30대 중반인데
    정말 외벌이는 찾기 힘들어요. 그리고 둘이 버는거랑 하나 버는 차이가 너무 커서 절대 여자가 직장 관둘 수 없구요. 딩크들는 더 많아 질 거예요

  • 11. 힘드네요..
    '17.3.11 12:11 PM (124.54.xxx.150)

    애낳아 키우고 노후대비하고 현재도 살아야하고..

  • 12. Ddo
    '17.3.11 1:16 PM (110.70.xxx.200)

    30대 초 공기업-교사 부부 5-600만원 소득
    딱 평균이네요... ㅜㅜ 자산은 3억 8천 훨씬 안되는....에효
    역시 집안 능력이 제일 중요...

  • 13. ..
    '17.3.11 1:50 PM (112.152.xxx.96)

    근데..막상 애 학교 보내보니..반에 맞벌이가 그닥 많지 않아요..10명에 2~3명 정도인데..그리 맞벌이 많이하나요..실제 그렇지 않은거 같아요..뉴스나 그리 나오지.

  • 14. ...
    '17.3.11 3:37 PM (114.204.xxx.212)

    30대 맞벌이 부부면 그럴수 있겠어요 근데 시터쓰고 하면 남는게 별로 없는게 문제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1045 이제 엠넷 멜론같은데서 한곡씩 구매하는거 못하나요? 1 음원 2017/03/13 798
661044 슈퍼맨에 동호... 8 다시보기 2017/03/13 3,133
661043 개헌저지 때문에 촛불집회가 계속 이어져야 할 모양입니다. 11 아마도 2017/03/13 1,002
661042 인색한 친정 아버지 두신 분들 5 ... 2017/03/13 2,179
661041 랑방컬렉션, 한섬에서 만든거죠? 옷 잘 아시는분들 6 잘몰라서 2017/03/13 3,916
661040 아버님 모실게요에서 여주 이수경은 왜 김원한테만 참으라고 하는거.. 4 모실게요 2017/03/13 1,221
661039 북유럽은 뭐 볼거 있나요? 6 여름 휴가 2017/03/13 1,668
661038 박정희 죽음에는 미국의 개입이 확실합니다. 제친구 아빠가 당시 .. 27 아마 2017/03/13 5,356
661037 락스 정말 좋네요 7 ㅇㅇㅇ 2017/03/13 3,647
661036 고모부 칠순이라 친척들 모여서 식사하는데 축의 얼마할까요 9 ... 2017/03/13 3,250
661035 대선치를 때 개헌 국민 투표도 같이 하겠다네요 21 2017/03/13 2,071
661034 편도가 많이 부어있는데 식사를 어떻게해야할까요.. 3 감기 2017/03/13 614
661033 ˝대통령 탄핵은 북한지령˝ 이른 아침 사저 앞 박사모들 8 세우실 2017/03/13 1,219
661032 김희선이랑 나랑 동갑인데............. 7 mm 2017/03/13 3,109
661031 턱보톡스랑 윤곽주사맞으신분? 12 2017/03/13 5,710
661030 황교안 빨리 처리해야할듯 .. 2017/03/13 454
661029 손혜원 의원~ 3 ㅁㅁ 2017/03/13 1,022
661028 박그네가 처음 코너 몰렸을 때 내민 카드가 개헌이었죠 1 ㅇㅇ 2017/03/13 984
661027 2017년 3월 13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7/03/13 666
661026 박씨 할머니가 믿는 것은 돈이다 6 닭도리탕 2017/03/13 2,283
661025 She's gone ...... 7 She 2017/03/13 1,453
661024 그집회를 보면서 생각난 것이 샬랄라 2017/03/13 369
661023 김평우의 우리나라 후진국..발언 참을수가없네요 10 ㄱㄴㄷ 2017/03/13 2,162
661022 외국살기 15 질문 2017/03/13 2,950
661021 박근혜는 자살이 아니라 암살 가능성이 10 흠~ 2017/03/13 5,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