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에 재능없는데, 요리 배우는 곳 없나요? 한식조리사?

한숨만 조회수 : 2,403
작성일 : 2017-03-05 08:43:05

자격증 따는것과 요리를 잘 할 수 있는것과는 차이가 있나요??

 

제대로 할 줄 아는 요리가 없습니다(간단한 나물무침조차 못합니다. 감각이 없습니다)

요리 자체에 관심도 없구요

그래서 매번 반찬가게에서 반찬 사다먹었습니다.

식구도 적기때문에 그게 훨씬 경제적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요리의 그 전과정

ㄴ 재료 씻고, 다듬고, 데치고, 무치고-> 맛보면서 간 조절-> 접시에 담고-> 뒷정리&마무리 ;

 

저는 간단한거 뭐 한가지해도 온 주방이 난장판이 됩니다.(요령이 없어서기도 하지만, 목표지향적? 이라

일단 후딱후딱 음식 다 만들어놓고 뒷정리건 뭐건 하자주의 였거든요.

 

그리고 남의 평판에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제가 나름대로 온갖 스트레스 받아가면서 그 번거로운? 요리씩이나 했는데 먹는 사람들 반응이

그냥 먹을만은 하다? --> 이 정도의 평가가 나오면, 너무 화가 납니다. 내가 다시는 요리 하나봐라..

이런 생각이 저절로 들었고,

그래서 지금까지 안하고/못했던 이유기도 합니다.

-

 

간단한? 나물무침요리부터 찬찬히 배울 수 있는 곳 어디 없을까요?

요리학원을 다녀야 하나요?

국비로도 배울 수 있나요?

새댁들은 요리를 어디서 배우나요? 친정 엄마로부터??

저는 친정엄마가 안계세요ㅜ

한식조리사 자격증과 요리실력과는 상관 없나요??

 

 

 

 

IP : 222.96.xxx.11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3.5 8:44 AM (58.237.xxx.65)

    그냥 자격증 말고 문화센터 같은데 다니는게 낫지 않나요..??? 저는 유튜브로도 많이 봐요... 눈으로 보니까 대충 알겠더라구요... 자격증은 반찬 만들고 하는데는 별로 쓸모 없어요...

  • 2. 제주변 요리학원다닌사람들
    '17.3.5 8:48 AM (125.180.xxx.52)

    재료만봐도 기본레시피가 머리에 박혀있더라구요
    그래서 뭘만들어도 금방 맛있게 잘만들어요
    요리학원다녀보세요

  • 3. 요즘
    '17.3.5 8:49 AM (125.180.xxx.52)

    요리학원은 자격증말고도 요리못하는사람들 배울수있게 다양하게 나눠져있어요

  • 4. 음. 엄마한테 못배운 1인
    '17.3.5 8:58 AM (182.215.xxx.17)

    집근처 평생학습관. 여성회관에도 있고. . 저도 이곳에서
    기본기 다시 익혔어요. 아님 tv 요리프로그램 보면 재료손질부터 나와요. 초보요리책도 있고요. 처음부터 잘하려고
    말고 차차 늘어갈꺼에요

  • 5. 글구
    '17.3.5 8:59 AM (182.215.xxx.17)

    나물무침 어려운거 맞습니다. 들어간 노동력에 비해
    한접시 먹으면 끝!

  • 6. ...
    '17.3.5 9:21 AM (175.223.xxx.219)

    혹시 맛있는 음식 먹는 거 좋아하시나요?
    요리 이전에 미각을 좀 단련해 보세요
    이게 맛있고 맛없고 정도를 떠나서 입맛이 예민해서 맛을 잘 분석할 줄 알면 요리 잘하게 됩니다

    그렇게 복잡하게 하고도 그냥 먹을만하다는 정도의 음식이라면 만드는 사람의 입맛이 정교하지 않아서일 가능성이 커요
    복잡하게 요리하지 않아도 간단히 적당히 투닥투닥해도 맛있게 할 수 있는 이유가 그거거든요
    맛있는 녀석들이 맨날 그러죠. 먹어본 자가 맛을 안다.
    이게 정답같더라구요. 여러가지 맛을 많이 맛보고 맛있는게 뭐라는 걸 알고 나면 그다음 요리는 쉬워져요.
    요리 자체를 배우기 이전에 맛을 먼저 느끼고 경험해보세요

  • 7. 사실
    '17.3.5 9:29 AM (222.96.xxx.11)

    먹는것에 관심이 없습니다(그래도 통통합니다 ㅜㅜ )
    본문에도 썼지만, 요리의 그 전과정(번거로운!!!!!!!!)이 저는 너무나 싫습니다.
    간단하고, 소박한 음식을 좋아합니다.

    감자,고구마 쪄서 먹거나 하는 그런 정도요;( -->이건 요리가 아니죠, 그냥 조리죠)
    음식의 원형 그대로의 모습과 맛에 열을 가하는것뿐인..

    제가 나이도 많은데; 제대로 할줄 아는게 하나도 없고
    매번 반찬가게에서 사다먹는게 어느순간 너무 부끄럽더라구요

    요리는 하다보면 실력이 는다고하는데, 글쎄요..
    저는 그 -하다보면-의 과정까지 가본적이 없어요ㅜ 하다가 포기를 한 경우라..
    어쨌든 저는 요리에 재능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도 식재료 장을 볼 생각만해도 한숨만 푹푹 나올 정도입니다.

  • 8. 나물 잘하고픈 1인
    '17.3.5 9:48 AM (61.101.xxx.111)

    나물은 레시피보다 손맛도 중요해서 더더욱 맛내기가 힘들어요.
    저는 나물을 정말 좋아해요. 어렸을때 엄마에게 대보름 9가지 나물 만들어 달래서 혼자 며칠을 좋아라 먹을정도로..

    시금치나 콩나물 하나만 해도 같은 재료로 만들었는데 데치는 정도 헹궈서 짜서 무치는 전 과정의 숙련도로 맛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주부경력 15년 넘었는데도 제 나물이 별로 맛이.없어요..ㅠ
    나먹자고 뭘 해...(준비 과정도 번거롭죠)하곤 안해버립니다.

    그나마 연두 같은거 좀 넣어서 무치면 먹을만해요.

    맛있게 먹겠다는 욕심 빼고 건강을 위해 그 식재료를 먹는데 의의를 두시면 어떨까요?

    간을 좀 세게하고 참기름 넉넉히 두르고 그럼 먹을만은 하더라구요...ㅠㅠ

  • 9. ㅇㅇ
    '17.3.5 9:51 AM (118.33.xxx.132)

    한식조리사 자격증반 요리학원 다녀보시는 것도 좋아요.
    재료다듬기, 요리순서, 요리중간중간 정리정돈등.
    초보분들이 요리를 배울때 전체적인 흐름과 기초가 잡힐수 있어요.
    배운거 집에서 두어번씩 연습해보면 더 숙달되고, 손놀림에 자신감도 붙고요.

  • 10. 나물은
    '17.3.5 12:28 PM (175.211.xxx.50)

    일단 원재료가 실해야 맛있어요.
    양념인 소금 깨 기름도 어느 정도 좋아야합니다.

    시금치라면 남해초나 섬초 구해서
    후딱 다듬고 한두번 씻고
    끓인물 부어 두번 뒤적인 후(데치지 않고 트건문ㅅ에 넣었다 뺌)
    찬물 헹궈 물기 짜고
    국간장 깨 참기름만 넣고 골고루 주물러 먹음 맛나요.
    잎은 부드러운데 줄기는 아작한 느낌.
    파 마늘 안넣고 합니다.

  • 11. 페시네
    '17.3.5 2:56 PM (119.149.xxx.239)

    나물요리 어려워요ㅠㅠ

  • 12. 한식 손많이가요
    '17.3.5 3:43 PM (118.217.xxx.54)

    불필요할정도로 손이 많이가죠.
    채 썰지 삶고나서 볶지
    간하지 고명올리지....

    저는 그냥 나물이나 김치나 손 많이가는건
    다 사먹는게 맞다고 봐요.
    나물 김치 마른반찬류는 사먹고
    일품요리나 국정도는 불 위에 올려두면 맛이배고
    또 나름 시간대비 효과도 크니까요.

    다하면 좋겠지만 일도해야하고 해서
    그정도로 타협하기로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9752 시외할아버님이 돌아가셨어요 17 .. 2017/03/09 2,975
659751 5월 연휴 칠순 해외여행 어디가 좋을까요? 13 오예 2017/03/09 2,161
659750 임신중. 살이 너무 많이 쪄서 우울해요 13 우울 2017/03/09 2,922
659749 한국 아시아 태평양 16개국중 최고 부패국으로 지목 4 사랑79 2017/03/09 648
659748 빵셔틀하는 놈만 디지게 맞는... 호구 대한민국 김09 2017/03/09 572
659747 아귀찜 얘기나와서 생각났어요 4 . . . 2017/03/09 1,581
659746 자식들 떠들고 뛰어도 가만두는 엄마들 심리 11 ㅡㅡ 2017/03/09 1,771
659745 연애만큼 계산적이고 이기적인거 없다는 말에 공감하세요? 7 연애 2017/03/09 2,636
659744 이재명, 사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제안…동결-협상-합의 11 .. 2017/03/09 422
659743 헌재 탄핵인용위한 긴급 촛불행동ㅡ팩트티비 고딩맘 2017/03/09 441
659742 갑자기 욕지기가 나올 정도로 더럽네요. 3 정말 더럽네.. 2017/03/09 1,702
659741 나이들수록 사람 만나기 싫은 거.. 정상인가요? 10 .. 2017/03/09 4,631
659740 여쭤볼게요, 냉이랑 달래랑 같이 넣고 4 ㅕㅕ 2017/03/09 938
659739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닌 거 알지만 막상 학부모가 되면 공부공.. 10 공부공부 2017/03/09 2,988
659738 문재인 지지자들은 왜 이재명을 이읍읍이라고 하나요?? 7 궁금 2017/03/09 2,732
659737 원룸사는데 햇빛이 하나도 안들어와요 13 원룸 2017/03/09 4,341
659736 오늘 모의 고사 어땠나요? 4 지나가다 2017/03/09 1,984
659735 탄핵이 되면 차분히 주말보내면 좋겠어요 11 역풍 2017/03/09 2,225
659734 아파트에서 문닫는소리 얼마큼 조심해야하나요? 10 .. 2017/03/09 6,355
659733 쌀 18키로 25900원하고 20키로 28500원하고 어느게 더.. 2 ^^* 2017/03/09 991
659732 국 끓일때나 나물 데칠때.. 생수 vs 수돗물?? 10 아리아리 2017/03/09 2,625
659731 저 탄핵 인용되면 100만원벌어요 ㅋ 2 2017/03/09 1,647
659730 언제 먹어도 맛있는 국은 뭐일까요 33 ㅇㅇ 2017/03/09 5,104
659729 고깃집인데요 손님이 영업시간 외에도 10 음식점 2017/03/09 2,875
659728 사임당 저만 재밌나요? 17 영애씨 2017/03/09 3,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