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5년전만 해도 아들선호 강했는데

변했네 조회수 : 4,835
작성일 : 2017-03-05 00:23:31
둘째가 15살.
당시만 해도 아들선호가 강했어요.

그런데 그때쯤
알파걸이란 단어가 나오기 시작하고,
아파트값 폭등하면서 결혼시 남자의 부담이 커지기 시작하고,
호주제폐지되고 (엄마성 따르기도 기능)

이런 변화들이 생기면서 아들에 대한 부담이 생긴듯 해요.
딸이 좋아서라기 보다는요.

15년전에 인터넷에 시부 시모 단어 쓴게 참 귀에 거슬린다는 말이 있었는데 요새는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어가구요.

그런데 아이러니하게
여성상대범죄는 더 잔혹해지네요.

IP : 118.220.xxx.21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돌고돌
    '17.3.5 12:27 AM (223.62.xxx.5) - 삭제된댓글

    아들이 상종가를 칠 때 딸 낳은 사람들이 지금 제일 덕 보고 있듯 딸 상종가일때 아들 낳아서 실망한 사람들이 나중엔 잘했다고 할 수도... 물론 어느 쪽이든 자식의 가성비를 따지는거라 나중엔 아들이든 딸이든 똑같이 생각하는 시대가 되길 바랍니다만.

    비슷한 맥락으로, 원글님 지금 딸 선호는 사실 딸 자체 인생이 행복해서라기 보단 부모에게 득이 되는게 딸인 시대라 그래요. 그러니 여성 대상 범죄니 뭐니 해도 딸이 더 좋은거죠.

  • 2. 지금도
    '17.3.5 12:32 AM (118.220.xxx.21)

    생생히 기억나는게
    둘째아기때, 회사사람들과 점심먹는 중에 호주제폐지 뉴스가 나왔어요.
    아들 둘 남직원, 아들 하나 여직원.
    둘이서 그 뉴스보고 나라 망할것 처럼 한숨쉬던거 기억나요.
    특히 아들 하나 여직원은 거품물면서
    아들 하나니까 며느리 내집으로 들여서 지낼 계획이었는데,
    호주제가 폐지되면 어떡하냐고 막 흥분을,

    지금 생각하니 호주제폐지는 잘 한듯

  • 3. ///
    '17.3.5 12:33 AM (61.75.xxx.237)

    시모, 시부, 처모, 처부 어차피 국어사전에 있는 단어인데 지칭으로 무난한 것 같아요

  • 4. ....
    '17.3.5 12:33 AM (61.79.xxx.115) - 삭제된댓글

    다시 아들 선호 현상생길거 같아요
    얼마전 보건사회연구원 원종욱이라는 사람이 저 출산 연구결과 불필요한 스펙 쌓으면 여자 취업 불이익 주자는 식으로 냈잖아요...전 이게 너무 겁나던데요///여자들 취업 막아서 억지로라도 남자들과 결혼 시켜서 남자 밑으로 두려는거 같아서 ㅠㅠㅠ

  • 5. 읭?
    '17.3.5 12:35 AM (59.9.xxx.181) - 삭제된댓글

    호주제가 무슨 가족 문화의 법령도 아니고 그냥 상징적인거엿는데 뭔 놈의 한숨들?

    제 기억으로는 성균관 유림들만 난리나도 나머진 무관심이었는데요.

  • 6. 아휴
    '17.3.5 12:35 AM (58.227.xxx.173)

    정말 아들은 아무짝에도 필요 없는거 같아요
    친정 부모님 편찮으신데 아쩜그리 무심한지
    다행히 노후대책이 되시는 분들이라 생활비 병원비 전혀 부담 안주셔서
    가끔 안부인사하고 들여다 보면 되는데 것두 잘 안ㄴ할려 하고
    며느리는 말하면 입 아프고
    그러니 딸이 좋다 하는 거 같아요

    집이나 안해줬음 억울이나 안하지... 에효.

  • 7.
    '17.3.5 12:36 AM (221.146.xxx.73)

    자식이 노후대비인 시대가 끝나가서 그런것.

  • 8. 요리조리1
    '17.3.5 12:37 AM (1.231.xxx.11) - 삭제된댓글

    아직까지 남아 선호가 강하고요. 여자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남자가 경제적으로 무능하면 장가가기 힘들어질것 같아요. 요즘 전세가격이 허덜덜인데 여자가 고생하려고 시집가려 안하죠..

  • 9.
    '17.3.5 12:39 AM (59.9.xxx.181) - 삭제된댓글

    아휴님 원래 여형제 있는 아들들이 유난히 더 그래요. 특히 누나 있는 남동생이면 거의 다 그럼.

    누나나 여동생이 다 해주니 손 놔버리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차라리 아들만 있는 집이면 억지로라도 하는 경우가 더 많고요. (막장 집 아니라는 전제하에)

  • 10. 산부인과 샘이
    '17.3.5 12:44 AM (118.220.xxx.21) - 삭제된댓글

    요새 아들선호사상은 시부모, 그것도
    옛날에 비하면 많이 줄었다고 하네요.
    산모 아빠들은 대부분 딸선호라고

  • 11.
    '17.3.5 12:46 AM (125.177.xxx.71)

    딸이 키울 때 아들에 비해 수월하고 사고도 덜 치죠.
    물론 세상이 위험해서 걱정은 많지만 육체적으로도 덜 힘들게 하고 사춘기 때 말을 안 들어도 좀 덜 막 나가는 경향이 있으니까요.
    커서도 게임에 빠져서 속 썩이거나 사업 한다고 집안 거덜내는 거 아들이 월등히 많은게 사실이고요.
    부모에게 더 살갑게 대하고 더 챙기고 하니까 그런 필요에 의해 딸을 선호하는 것 같아요.
    많은 부모들이 뭔 속상한 일만 있으면 딸 붙잡고 하소연 하잖아요,
    정작 자기를 속상하게 한 건 아들인데. 아들은 어렵다, 받아주지 않는다, 무뚝뚝하다는 이유로 놔두고 딸만 잡아대고.

    전 요즘 딸바보네 어쩌네 하며 딸을 선호하는 현상 역시 아들에게 요구하지 못하는 돌봄노동, 감정노동을 딸에게 바라는 또 하나의 차별이라고 생각해요.

  • 12. 산부인과샘도
    '17.3.5 12:49 AM (118.220.xxx.21)

    격세지감을 느끼신다고 하시더라구요.
    20여년전만해도
    조부모 외조부모 부모 모두 아들선호였는데
    요새는 조부모만 아들선호 있다네요.
    이것도 예전에 비하면 많이 약해졌다고.
    특히 요새 부모는 딸선호가 강하다고요

  • 13. ㅇㅇㅇ
    '17.3.5 1:04 AM (175.223.xxx.54) - 삭제된댓글

    병신같은 호주제 때문에 덜떨어진 남자들이 어깨에 힘주고 살고 진짜 가관이었죠
    15년전에 초딩딸 2명이나 있는데 늦둥이 돌쟁이 아들을 두고 하는말이 하늘을 얻은거 같다고 하는 여편네를 본적이 있네요 아직도 아들타령 하는 여자 있을껄요?
    장남 종가집 이런 집안 며느리들요

    호주제폐지랑 집값 폭등이 아들 값어치 뚝 떨어뜨리거 맞아요

  • 14. .......
    '17.3.5 1:28 AM (49.172.xxx.87) - 삭제된댓글

    그거 시위사진들 지금 보면 진짜 제대로 웃기죠..ㅋㅋㅋㅋ
    갓쓰고 나온 늙은 할배들이
    "암탉이 울면 나라가 망한다" 피켓들고 시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15. ...
    '17.3.5 1:34 AM (211.36.xxx.152)

    아들에 대한 부담 그런거 생각해본적 없고
    자식 키우며 가성비 따져본적도 없어요
    그냥 딸이 더 좋아요

  • 16. 집값
    '17.3.5 1:35 AM (1.234.xxx.187) - 삭제된댓글

    집값 폭등이 제일 큰 거 같아요. 친척들 보면 사촌오빠들 결혼할 시기에 집 구하느라 전전긍긍해요..
    82에선 반반이 대세라고들 하지만 현실에선 안그렇더라고요
    그리고 작은엄마들도 일단 집이라도 도움받고 시작해야 돈도 금방 모은다면서 어떻게든 해주려고 아끼고 아끼고요..

  • 17. 아들둘딸하나맘
    '17.3.5 7:11 AM (175.209.xxx.210)

    갈수록. 남자가 살기 고달픈세상이에요
    요즘 여자들 특히 한국여성들 너무 영악해요

  • 18. 그런데
    '17.3.5 8:12 AM (223.62.xxx.201) - 삭제된댓글

    노처녀들 결혼하기 힘든시대죠. 특히 스펙좋은.
    스펙좋은 남자가 정말 없네요. 비슷한사람도.
    좀 낮춰야 가능할까.

  • 19. 올온
    '17.3.5 9:06 AM (175.197.xxx.46)

    자꾸 딸이 낫다 하는 것도 별로예요. 딸에게 너무 많은 짐을 ㅈ워요. 애교많고 살가운 딸. 이런 것도 일종의 판타지예요. 무심한 성향의 저는 전 그런 것 땜에 어릴 때부터 스트레스 받았어요

  • 20. 저희집이
    '17.3.5 9:06 AM (1.225.xxx.50)

    딸많은 집 외아들이 제 남편인데
    부모에게 정말 무심합니다.
    근데 이 무심한 아들도 소용이 있는게요
    시부모 챙기는거 며느리가 하게 만드네요.
    시누이들이 가만 있나요 어디 ...
    간병도 며느리가 다 해요.

  • 21. ㅋㅋㅋㅋ
    '17.3.5 11:06 AM (59.31.xxx.81)

    갈수록 남자들이 고달프대ㅋㅋㅋㅋㅋㅋ미치겠다 진짜ㅋㅋㅋ

  • 22. kkkkk
    '17.3.5 12:00 PM (121.160.xxx.150)

    당연 누리던 걸 점점 못 누리게 돼니까 남자들이 갈 수록 고달파지는 게 맞지요
    힐러리의 여성 지지자들의 선거 독려 문구가
    트럼프 찍으면 섹스 거부한다인 거 봤어요?
    겉으로는 절대 아니라고 해도 여자들이 섹스를 무기로 이용하는 건 사실이에요.
    연애에서 여자들이 수 틀린다고 입 다물고
    나 힘든데 안 알아준다고 섭섭하다고 징징 거리는 거
    모두 너 그러면 섹스 안해준다의 소리없는 표현이지요.
    그러니 공창제를 허용해야 해요.
    그럼 남자들의 결혼욕도 줄어들고 여자들도 사악한 남자들의 결혼욕=섹스욕에 빠져
    인생 망치는 ㅋㅋ 경우가 줄 테니 윈윈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4732 진보적인 대선후보가 1번인거 처음인건가요? 3 ㅇㅇ 2017/04/16 570
674731 호남지지가 창피한 후보 32 감동있어 2017/04/16 2,239
674730 뭐야 영선언니 문캠 합류한다고??? 14 ㅇㅇ 2017/04/16 2,149
674729 남자친구가 침대에 '몰카' 설치하는걸 보고 도망쳤어요 5 ㅎㅎ 2017/04/16 5,069
674728 이건 아니죠..정치관련 처음 쓰는데요 44 카니발 2017/04/16 2,069
674727 방충망 교체하려고 하는데 팟캐에서 광고했던 업체명이 생각이 안나.. 3 방충망 2017/04/16 1,267
674726 빙초산 들어간 음식이 몸에 얼마나 안좋은가요??? 도와주세오 5 아무래도 2017/04/16 2,300
674725 궁금하네요 1 정말 2017/04/16 389
674724 어제 광화문광장에서 있었던 몇 토막 얘기 10 꺾은붓 2017/04/16 1,736
674723 안철수 후보님 국민의당 탈당하셨어요? 20 생강 2017/04/16 1,787
674722 남산 벚꽃길 루트좀 추천해주세요~ 2 질문 2017/04/16 1,093
674721 엠팍에 이거보세요... 10 웃겨드려요 2017/04/16 1,670
674720 홍콩에서 us달러사용 4 홍콩달러 2017/04/16 1,258
674719 맥 스트롭크림 대체할 저렴이 어떤거 쓰세요? 4 ㅇㅇ 2017/04/16 2,719
674718 자동으로 뜨는 문자, 어떻게 없앨까요? 3 자동문자 2017/04/16 573
674717 몇살때부터 기억이 선명하게 나세요..??? 19 ... 2017/04/16 2,378
674716 안철수의 허수아비 공격 14 고딩맘 2017/04/16 1,043
674715 선관위는 k값 조작에 답할 의무가 있나요? 11 201705.. 2017/04/16 845
674714 30년지기 친구에게 서운한 마음 제가 이기적인걸까요? 13 30년지기친.. 2017/04/16 4,175
674713 티비보면서 같이 할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4 뜬금없지만 2017/04/16 818
674712 안철수 후보 선거벽보 참 못 만든것 같아요. 20 수인503호.. 2017/04/16 2,189
674711 문재인 세월호 단식기간 업무추진비 결제한 내역 27 oo 2017/04/16 1,309
674710 세월호유가족 눈을 캡사이신 묻힌 장갑으로 문지름 6 그알 2017/04/16 1,470
674709 (신해철법)의료사고 피해구제법의 통과 과정을 알아봅시다. 2 .... 2017/04/16 435
674708 박사모스런 총각과 싸움날 뻔한 이야기 6 어제 2017/04/16 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