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둘중 어느집에서 사시겠어요?

.. 조회수 : 5,169
작성일 : 2017-03-01 22:44:39
원글지웁니다. 댓글 정말 감사드려요...
IP : 175.223.xxx.61
4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3.1 10:47 PM (120.142.xxx.23)

    저라면 고민없이 2번요.

  • 2. ㄴㅇ
    '17.3.1 10:48 PM (118.36.xxx.100)

    2요 2요

  • 3. ...
    '17.3.1 10:49 PM (220.75.xxx.29)

    2번이어야죠.

  • 4. 333222
    '17.3.1 10:50 PM (175.209.xxx.62)

    2번. 고민할 필요도 없어 보임.

  • 5. 저라면
    '17.3.1 10:51 PM (110.8.xxx.9)

    3번을 더 찾아볼 것 같아요..남향 중요하다 생각해서요..

  • 6. ..
    '17.3.1 10:53 PM (175.223.xxx.61) - 삭제된댓글

    3번은 넘 비싸서 없어요 ㅎㅎ
    2번인가요? 남편도 거실 소파에 누워서 티비보는거좋아하는데 2번가면 소파도 없이 티비볼듯한데 답답해하진 않을까요?

  • 7. 하늘
    '17.3.1 10:54 PM (112.150.xxx.153)

    저는 1번이요
    남향 중요하구요
    전업이면 집에있는 시간도 많고 대중교통이용해 시내 다닐수 있지않나요?
    주변에 정말 아무것도 없으면 안되구요
    마트나 병원등은 걸어서 다닐수 있겠죠?

  • 8. ..
    '17.3.1 10:54 PM (61.81.xxx.22)

    출퇴근 시간 고려해서 2번이요

  • 9. .........
    '17.3.1 10:55 PM (216.40.xxx.246)

    2번이요. 애가 어리면 더더욱이.

  • 10. ..
    '17.3.1 10:56 PM (175.223.xxx.61) - 삭제된댓글

    1번 큰마트나 병원은 걸어서 못가요 ㅎㅎ 2번은 다 있구요

  • 11. ...
    '17.3.1 10:56 PM (220.94.xxx.214)

    2번요.
    직장 다니는 사람에게 1시간은 참으로 소중하죠.
    아이도 아빠를 더 많이 볼 수 있을테고요.

  • 12. .........
    '17.3.1 10:56 PM (216.40.xxx.246)

    어차피 애 어리면 계속 나가자고 할거라서 집에서 경치 감상할일이 별로 없을거에요. 층간소음이나 신경쓰이지... 그리고 남편 회사가 가까워야 칼퇴하고 집에 얼른 올거고. 1번은 출퇴근 시간이 은근히 길어요.

  • 13. ....
    '17.3.1 10:56 PM (210.210.xxx.89)

    저는 1번..
    2번은 다른건 몰라도 회사사람이 무지 찾아올듯 싶어요.
    시도때도 없이..

  • 14. dlfjs
    '17.3.1 10:57 PM (114.204.xxx.212)

    2번요 ,,

  • 15. 3번집
    '17.3.1 11:00 PM (121.128.xxx.130)

    찾아보세요.^^

  • 16. ..
    '17.3.1 11:02 PM (175.223.xxx.61) - 삭제된댓글

    2는 좁고 회사분들 남의집에 굳이 찾아가는 분위기는 아니라.. 시도때도 오고 이러진않을거같아요..

  • 17. ...
    '17.3.1 11:05 PM (116.40.xxx.46)

    두 집이 가격이 비슷해서 고민하시는거라면
    2번이 향도 나쁘고 구조도 안 좋은데 왜 가격이 비슷한지
    생각해보세요.
    집은 주변 환경이 중요합니다. 안은 뜯어고치지만 주변 인프라는
    못 고쳐요. 서향? 동향? 물론 불편하지만 향보다 더 중요한
    무언가가 있으니까 비싼거에요.

  • 18. 2번이죠
    '17.3.1 11:06 PM (175.126.xxx.29)

    .......

  • 19. ...
    '17.3.1 11:07 PM (220.127.xxx.232)

    아이가 다닐 학교, 남편들은 모두 2번인데요..
    고민할 필요도 없는데..
    그리고 주변 편의시설도 중요해요

  • 20. hanna1
    '17.3.1 11:07 PM (58.140.xxx.16)

    전 1번요..
    집이 좋아야,,집에 얼른 들어오고싶고,,아이랑 원글님도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즐거울거라서요..

  • 21. ..
    '17.3.1 11:07 PM (175.223.xxx.61) - 삭제된댓글

    2가 더 비싸요
    1, 2의 장점만 믹스된곳은 너무나 비싸서 꿈도 못꾸네요ㅎㅎ

  • 22. ........
    '17.3.1 11:07 PM (222.101.xxx.27)

    남편 직장 다니기 편해야죠. 고민거리도 안되네요.

  • 23. 2번요
    '17.3.1 11:08 PM (122.40.xxx.85)

    남편 회사 도보가능
    주변의 온갖 편의시설
    1번이 좋아보여도 살다보면 갈곳도 없고 답답해요
    남편도 고생이고요

  • 24. 쭈르맘
    '17.3.1 11:08 PM (124.199.xxx.244)

    쭉 사실건가요?
    매매라면 2번이 더 낫죠
    인프라를.보니
    2가 학군도 좋겠구. ,
    학군.학원가.교통 좋은곳이 1등입니다
    남향.복도식.이런거는 그다음 입니다.
    출퇴근 피로감 없는게 최곱니다

  • 25. ㅇㅇ
    '17.3.1 11:11 PM (58.140.xxx.201)

    2번요~ 5글자 채우라네요.

  • 26. 2번요
    '17.3.1 11:12 PM (119.207.xxx.151)

    아이가 어려 더욱더요. 걸어서 다닐수있는게 좋은거에요.
    1번은 생활하기 불편할거에요.

  • 27. ..
    '17.3.1 11:13 PM (110.8.xxx.9)

    3번의 대안이 없다하시니,,

    1번집의 불편한 점
    - 남편 직장이 멀다.(자차 30분, 대중교통 50분이면 아주 먼 거리는 아니네요. 이 문제는 남편의 의견이 중요할 듯해요.)
    - 학교가 멀다(초등이라면 얼마나 먼가요? 제가 보기엔 이 부분이 매우 중요)
    - 시내가 멀다(장보기할 중소형 마트라도 있으면 괜찮을 듯. 아이가 초등 하나면 마트 문화센터 다니거나 할 일은 없으니 큰 마트는 상관 없더라고요. 인터넷 주문도 다 되고 해서.)
    - 지하철, 병원이 멀다.(엄마가 차가 없다면 지하철은 가까운 것이 좋습니다. 지하철이 멀더라도 집 근처에 버스가 많이 있으면 괜찮고요. 병원은 소아과 정도는 가까이에 있으면 괜찮아요. 큰 병원은 좀 멀더라도..)

    2번집의 불편한 점
    - 화장실 1개인가요?
    - 거실 좁음
    - 전망 없음
    - 서향(남향보다 겨울에 좀더 춥고, 여름에 해가 더 오래 들어와 좀더 더움)

    이래저래 고민해봐야 윗집 뛰는 애들, 아랫집 극도로 예민한 사람 없는 집이 가장 좋은 집이긴 한데,,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당사자 입장에서
    그 불편을 감수하고 선택하는 집으로 결정해야 할 거예요. 결국 그 가족의 취향이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른 거죠.

    남편 입장에선 거리가 멀고
    아내 입장에선 시내가 멀고
    아이 입장에선 학교가 멀고요.

    맘에 드는 집 잘 선택하시길^^

  • 28. ==
    '17.3.1 11:14 PM (210.91.xxx.109)

    저도 2번이요. 출퇴근 시간 줄여서 몸을 아끼는 것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길이라는 걸 요즘 느껴서요.

  • 29. 당연히 2번이죠.
    '17.3.1 11:19 PM (124.53.xxx.240) - 삭제된댓글

    출퇴근 거리 멀면 너무 힘들죠.
    당연히 2번이네요.

  • 30. ............
    '17.3.1 11:20 PM (216.40.xxx.246)

    더 비싼데는 이유가 있어요

    1번이 장점이라면 뭐 시골가면 저런조건 흔한데도 왜 사람들이 시골에 안살겠어요? 불편해서죠.

  • 31. 무조건
    '17.3.1 11:20 PM (118.32.xxx.18)

    2번
    무조건 지하철 가까워야함

  • 32. ..
    '17.3.1 11:24 PM (175.223.xxx.61) - 삭제된댓글

    2번이 압도적으로 많네요~
    남편은 자신은 둘다 좋으니 저 알아서 정하라고;;;
    고견들 감사해요^^ 계속 의견주셔도 감사해요
    아직 초등가려면 좀 남았어요..초등은 1이 다섯배는 더 먼듯합니다

  • 33. ...
    '17.3.1 11:34 PM (125.185.xxx.178)

    2번은 역세권.
    매매해도 1번보다는 더 낫습니다.

  • 34. 지리적 여건은
    '17.3.1 11:42 PM (114.206.xxx.150)

    당연히 2번인데 서향, 게다가 복도식, 매매라면 좀 더 찾아보세요.
    복도식에 서향집은 여름에 대책이 안설거예요.
    동서향집은 추위를 극도로 타는 체질이라 더위가 두렵지 않으면 몰라도 점점 더 아열대성으로 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선 가급적 피하는게 좋아요.
    동서향인데 맞바람 쳐서 더운줄 모른다는 댓글이 분명 나올테지만 동향쪽 창을 통해 새벽동틀무렵무터, 서향쪽 창을 통해 오후 해넘어갈때까지 작렬하는 한여름 태양의 열기는 맞바람으로도 솔직히 해결이 안되요.
    해를 가리려면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쳐야하고 맞바람을 치려면 커튼을 걷어야하는데 해는 가리고 바람은 들게하는 방법이 없어요.
    더군다나 복도식이면 맞바람 칠게하는 창문도 없잖아요.
    암막커튼으로 해를 차단하고 에어컨을 여름 내내 틀어야 견뎌요.
    2번을 선택하려거든 일단 전세로 살아보고 결정하셨으면 좋겠어요.

  • 35. ...
    '17.3.1 11:43 PM (211.58.xxx.167)

    2번. 시간이 지날수록 1번은 후회합니다. 1번은 뭐든 힘들거에요.

  • 36. ..
    '17.3.1 11:55 PM (175.223.xxx.61) - 삭제된댓글

    2번 거실이 넓었음 고민도 안했을텐데
    답답함을 느낄까봐 고민되네요 좀더 비싸기까지 하니;;
    만약 2번으로 한다면 좁은거실 인테리어 연구해야겠어요 의견감사합니다

  • 37. ......
    '17.3.2 12:08 AM (211.200.xxx.12)

    2입니다
    왜 둘이 가격이 비슷하겠어요
    2에요

  • 38. 2,번
    '17.3.2 12:26 AM (1.11.xxx.189)

    1번 2번 다 살아봤어요 일단 아이가 없다면 1번도 생각해보겠지만 아이가 있다면 2번요
    그리고 저도 1번살때 병원이 주위에 없어서 일반 내과를 가자해도 차를 타고 갔어야했고 아이가 갑자기 아플때도 번거롭구요 2번 서향집에도 살아봤는데..진짜 남향을 이래서 사람들이 찾는구나 싶었어요 그래도 아이가 있다면 전망이나 남향을 포기하더래도 2번이 나을거 같아요

  • 39. ..
    '17.3.2 12:27 AM (222.237.xxx.50) - 삭제된댓글

    요즘 더워서 향보다 전망인것 같아요. 둘중에 저라면
    2번입니다. 남향도 종일 에어컨 틀어야해요.

  • 40. ..
    '17.3.2 12:29 AM (222.237.xxx.50) - 삭제된댓글

    근데 전망도 없다고 쓰셨네요. 어린아이 있으면 주변에 갈곳 많은게 중요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2027 인터뷰한 교수님이 기가 막혀서 웃네요................. 13 ㄷㄷㄷ 2017/04/10 4,229
672026 강수진은 이제서야 5시간 숙면한다고 하네요 50 국립발레단 .. 2017/04/10 20,067
672025 버스떼기도 나왔어요??? 6 사퇴해! 2017/04/10 493
672024 증조할아버지 무덤을 자주 찾아가는거 평범한가요?? 7 ... 2017/04/10 1,118
672023 그래도 Jtbc 네요 12 6769 2017/04/10 1,572
672022 잘 한 시험지만 학원샘에게 보여주는 아이... 3 어찌할까요 2017/04/10 736
672021 차떼기를 보면서... 3 국민당 2017/04/10 452
672020 저는 살면서 왜 한번도 여론조사 전화를 받은적이 없을까요.. 6 여론조사왜곡.. 2017/04/10 666
672019 마라톤 인터뷰 정책 현안 술술 1 소통왕 문재.. 2017/04/10 403
672018 시금치 꽃도 먹나요? 4 토마토 2017/04/10 4,763
672017 JTBC 뉴스룸 '국민의당 원광대 학생 버스 강제 동원 '안철수.. 26 버스떼기안땡.. 2017/04/10 2,188
672016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1 궁금맘 2017/04/10 511
672015 국당, 차떼기가 지금 광주, 전북, 부산에서 걸렸는데... 18 진짜 2017/04/10 1,010
672014 트럼프가 부시 버금가는 전쟁광인가요 ㄷ ㄷ 5 원글3팀 2017/04/10 1,036
672013 자녀가 나중에 어떤 직업 갖길 바라시나요? 4 궁금 2017/04/10 1,880
672012 더민당 네거티브의 비효율성. "이번에는 안철수".. 14 getabe.. 2017/04/10 748
672011 文측 '하태경 의원, 가짜뉴스 녹음기 버리길…법적조치 예정'(종.. 6 벌받아라.... 2017/04/10 743
672010 세월호1091일) 3주기 코앞, 세월호는 철조망 바로 코앞에. .. 8 bluebe.. 2017/04/10 372
672009 세월호 유가족들이 안철수를 외면하고 개무시했던데... 13 ㅇㅇ 2017/04/10 1,669
672008 버스 떼기로 대통령 후보된 안철수 13 ㅇㅇ 2017/04/10 925
672007 드라마추천해주세요 4 작년 4월부.. 2017/04/10 1,517
672006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경험 몇가지 뽑아보라면..뭐가있으신가요?... 4 아이린뚱둥 2017/04/10 2,137
672005 단독/중앙선관위 “주요 방송사 여론조사 샘플링에 이상 발견, 조.. 7 조작여론조사.. 2017/04/10 755
672004 문재인, "한국동의없는 선제타격 있어선 안된다".. 10 한반도주인은.. 2017/04/10 952
672003 그러니까 하태경 말을 믿지 말라고 했잖아요. 5 ㅇㅇ 2017/04/10 1,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