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 데친후 찬물에 헹구는게 맞나? 안맞나?

시금치 조회수 : 6,691
작성일 : 2017-02-27 06:53:36
시금치 삶은후 찬물에 헹구면 수용성 뭔가 빠져나갈듯싶기도
하고, 양념안하고 보관하면서 조금씩 꺼내먹으려할때
쉽게 상하는 원인이 될듯도 싶고요.
데친후 그대로 꼭짜서 넓게펼쳐 신속히 식힌후 보관하면
더오래 보관할수 있는데, 약간의 떫은맛이 나더라구요.
어느방법이 옳은지?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IP : 61.74.xxx.19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2.27 6:58 AM (114.206.xxx.150)

    찬물에 헹궈야 결석의 원인이 되는 수산염도 줄어들고 파릇한 색도 유지돼요.

  • 2. 시금치
    '17.2.27 6:59 AM (121.176.xxx.33)

    당연히 휑구는 데..
    시금치를 저는 씻지 않고
    데쳐서 씻거든요
    데친물이 깨끗 하지 않으니 (흙이나 이물질)
    저는 얼른 데쳐서 휑궈요

  • 3. ..
    '17.2.27 7:02 AM (124.53.xxx.131) - 삭제된댓글

    다듬어 깨끗이 씻고 데친 후 흐르는 물에 재빨리 휑구고..
    시금치는 그때그때 한끼먹을 정도만 이 그나마 나은거 같아요.

  • 4. ...
    '17.2.27 7:54 AM (58.226.xxx.169)

    바로 찬물에 씻지 않으면 오버쿡 되잖아요.
    요리책에도 보통 데친 야채들은 바로 찬물에 헹구라고 해요.

  • 5. 수용성 뭔가가
    '17.2.27 8:01 AM (175.192.xxx.109) - 삭제된댓글

    빠져나가게해야 몸에 좋은거임.ㅡ댓글에 써있네요

  • 6. 안 씻어요
    '17.2.27 8:08 AM (121.188.xxx.59)

    우리 남편이 시금치 나물을 아주 좋아해서 시금치 정말 자주해요.
    겨울에 섬초는 정말 좋아해서 거의 매일.
    그렇지만 시금치를 데치는 과정으로 수산염은 제거됩니다.
    따라서 찬물에 씻을 필요없어요.
    그냥 데친 물을 버리면 되는겁니다.

    저는 시금치 데치기 전에 4번 이상 잘 씻어요.
    시금치는 잘 씻지 않으면 모래 씹히는 불상사가 일어나죠.
    시금치 데친 다음에는 찬물에 헹구지 않고 물을 쥐어짜지도 않아요.
    그냥 체에 받혀서 물 빠지게 뒀다가 양념합니다.

  • 7. ㅇㅇ
    '17.2.27 8:16 AM (49.142.xxx.181)

    우리 중고등학교 가사시간에 배웠죠.
    녹색 채소는 소금물에 데친후 찬물에 재빨리 씻어야 색과 향, 영양소가 보존된다고요.

  • 8. ㅡㅡ
    '17.2.27 8:19 AM (111.118.xxx.165)

    기초적인 질문에 황당답변이 나오는군요..

  • 9. ladypee
    '17.2.27 8:51 AM (59.19.xxx.81)

    기초적인 질문에 황당답변이 나오는군요..222222

  • 10. 까디
    '17.2.27 10:07 AM (191.187.xxx.67)

    저는 그동안 시금치는 데친후 찬물에 안헹구고 짜서 양념했는데요.
    뭐가 맞는건지 누구 확실히 알려주세요.

  • 11. ㅇㅇ
    '17.2.27 11:59 AM (49.142.xxx.181)

    뭐가 맞긴요. 소금물에 데쳐서 찬물에 헹구는게 정답이에요. 참.. 가사시간에 이런거 안배우신
    세대들도 많은가봐요.
    이거 가사시험에 매번 나오던 중요문젠데;;;

  • 12. 안 헹궈요
    '17.2.27 1:42 PM (112.186.xxx.156) - 삭제된댓글

    저 시금치 데친 다음에 찬물에 헹구지 않아요.
    이유는 순전히 미적인 이유로..
    찬물에 헹구고 나면 시금치가 덜 예쁘더라구요.

    시금치를 데칠 때도 저는 물이 팔팔 끓으면 불을 끄고 시금치를 데칩니다.
    시금치는 금방 데쳐지니까 끓는 물에 오래 두면 안되어요.
    데치고나서 바로 건져서 뭉친 상태로 두지 않고 잘 식도록 하고 가만 냅둬요.
    그렇게 물빠지게 둔 다음에 다 식고 물 빠지면 무쳐요.

    찬물에 바로 헹구는 건 너무 뜨거운 물에 해서 그런거 아닌가요?
    시금치를 식히는 방법이 찬물에 헹구는 것만 있는건 아니죠.
    식히는 방법이 자신의 방법만 옳고 다른건 다 틀렸다고 하는건 무슨 오만인가 싶네요.

  • 13. 찬물로 헹구지 않아요.
    '17.2.27 1:44 PM (112.186.xxx.156)

    저 시금치 데친 다음에 찬물에 헹구지 않아요.
    이유는 순전히 미적인 이유로..
    찬물에 헹구고 나면 시금치가 덜 예쁘더라구요.

    시금치를 데칠 때도 저는 물이 팔팔 끓으면 불을 끄고 시금치를 데칩니다.
    시금치는 금방 데쳐지니까 끓는 물에 오래 두면 안되어요.
    데치고나서 바로 건져서 뭉친 상태로 두지 않고 잘 식도록 하고 가만 냅둬요.
    그렇게 물빠지게 둔 다음에 다 식고 물 빠지면 무쳐요.

    찬물에 바로 헹구는 건 너무 뜨거운 물에 해서 그런거 아닌가요?
    시금치를 식히는 방법이 찬물에 헹구는 것만 있는건 아니죠.
    깍두기도 소금에 절이지 않고 담는 방법도 있듯이
    자신의 방법만 옳고 다른건 다 틀렸다고 하는건 무슨 오만인가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1065 (끌어올림) 유지니맘님 글 3 .... 2017/04/08 838
671064 오늘 문득 행복해진 이유 4 문득 2017/04/08 1,464
671063 서른 중반이 넘어서면서부터 관계가 어렵네요 2 관계 2017/04/08 2,206
671062 가디건 좀 봐주세요. 2 골라주세요 2017/04/08 948
671061 민주당 ARS 부정경선 의혹, 검찰에 고발됐다 32 부정경선 2017/04/08 1,034
671060 임플란트해넣은 바로 앞니가 욱신 1 기린905 2017/04/08 1,472
671059 부모복이 최고 네요 23 누구네 딸 2017/04/08 13,175
671058 박이랑 최순실은 민주당에 고맙겠어요 5 팩트 2017/04/08 947
671057 제주 곶자왈, 비자림, 절물자연휴양림 이중 어디가 좋나요.. 10 제주 2017/04/08 5,102
671056 살면서 뭔가를 이뤄내본적 있으세요? 다이어트 돈모으기 모두 다요.. 8 ,,, 2017/04/08 2,076
671055 4월5일 알앤써치 투표 꼭 하겠다는 사람 68% 12 00 2017/04/08 854
671054 저는 수시 늘린다는 사람은 못 뽑습니다. 34 .... 2017/04/08 2,521
671053 9급 합격률 2%는 과장이에요 7 ... 2017/04/08 2,080
671052 아들이 군대를 갑니다 9 나린 2017/04/08 1,546
671051 와아~~이건 뭐, 안철수 이 양반 ... 44 2017/04/08 2,427
671050 어릴때 놀면서 하는 하는게 효과 있던가요? 7 2017/04/08 1,010
671049 정치나 화사나 어디든 비열한짓 하는사람 있지않나요?궁금요.. 2 아이린뚱둥 2017/04/08 343
671048 이명박대선때 bbk의혹.잘못이다라고 그렇게 얘기해도 5 긴장합시다... 2017/04/08 400
671047 2년간 사용하던 가구 얼마에 처분해야할까요? 4 가구고민 2017/04/08 1,017
671046 문안 제대로된 여론조사 5 질문공개 2017/04/08 594
671045 ............... 16 .. 2017/04/08 3,763
671044 이명박형과 박지원이 사돈지간 15 헉 이럴수가.. 2017/04/08 1,155
671043 안지지자가 조용한 이유 51 안지지자 2017/04/08 1,651
671042 순수 안빠들은 종편에서 안철수 미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나요? 36 ㅇㅇ 2017/04/08 754
671041 문재인 후보 경북 상주에 왔는데 분위기 짱입니다. 14 ... 2017/04/08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