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학중인 아이 손가락골절

정형외과 문의 조회수 : 1,800
작성일 : 2017-02-21 13:10:31
현재 미국에서 재학중인 아들이 농구하다가 손가락이 부러졌는데도 병원도 안가고 2개월 꼬박 방치 ㆍ 두번째 또 검지 손가락이 또 금이 갔나봐요ㆍ뒤늦게 제가 알아 전후 사정을 들어보니 골절되어 형태까지 구부러진 새끼 손가락을 다시 부수어?(거기 의사쌤표현 )치료를 한다는데 ᆢ
제가 암만 생각해도 한국와서 치료하는게 나을거 같아서 여쭙는건데
이렇게 고절된지 몇개월뒤에 수술해도 손가락이 예전처럼 곧게 복원이 가능한가요?너무 답답하고 여쭐데가 없어서 문의 드려요ㆍ
아시는 분 답글 좀 달아주세요~~
IP : 1.234.xxx.2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한국으로 부르세요.
    '17.2.21 1:16 PM (175.193.xxx.57)

    미국은 치료가 평준화 되어 있지 않아요. 한국은 그냥 대기표만 뽑으면 최고 의사에게 치료 받을 수 있지만
    미국 의사는 편차가 심해요. 어지간한건 한국이 훨씬 나아요. 아이 유학 보낸다고 괜히 손 장애 만들지 마시고 얼른 부르세요. 제가 아는 언니는 골반골절이 됐는데 그렇게 아픈데도 비행기 타고 한국 와서 공항에서 휠체어 타고 병원 응급실로 바로 갔어요.

  • 2. ㅇㅇㅇ
    '17.2.21 1:18 PM (183.214.xxx.171)

    뼈가 잘못붙으면 다시 부러뜨려서 제대로 맞춰야한대요

  • 3. ㅇㅇ
    '17.2.21 1:21 PM (175.209.xxx.110)

    무조건 한국으로 오세요.
    저도 미국에서 학교 다니다가 발목 살짝 금이 갔었는데..
    미국 대학병원에서 엑스레이 찍어보구는 그냥 멍든 거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지내다가 갑자기 심각해져선 방학 때 휠체어 타고 출국했어요 ㅠ

  • 4. ///
    '17.2.21 1:35 PM (61.75.xxx.237)

    한국으로 오세요.
    그거 수술 잘못하면 손가락 기능 나갑니다.
    예전 아버지 친구 아들이 미국유학가서 손가락 뼈 부러져서 학기중인데도 비행기 타고와서
    수술 받아서 참 이상해서 물어보니
    미국은 그런 수술 받으면 수술비 몇천만원은 기본이고 수술 받아도
    수술 솜씨를 못 믿어서 학기중임에도 한국에 와서 수술 받는다고 했어요.

    원글님 아이에게 하루라도 빨리 귀국하게 해서 손가락 전문 병원에서 수술 받으세요.
    전에 뉴스보니 대학병원보다 더 유명한 수지전문정형외과가 있는 것으로 압니다.

    까딱하면 손가락 불구 됩니다.

  • 5.
    '17.2.21 1:35 PM (180.66.xxx.214)

    제 친구도 유학 중 발목뼈가 으스러 졌었어요.
    학교 보험으로 커버 되는 거였구요.
    그런데 현지병원 소견 듣자마자, 당일 바로 비즈니스 클래스 끊어서
    친구 부모님이 한국으로 데리고 오셨지요.
    귀한 딸 타국에서 다리 병신(표현 죄송..;; 어머니가 실제 그렇게 말씀하심) 만들일 있냐구요.
    인천공항에 앰블런스 대기시켜 놓고, 바로 병원으로 이송 해서 수술 했어요.
    응급 환자들은 공항, 항공사 에서도 수속 빠르게 해준다고 하더라구요.

  • 6. ///
    '17.2.21 1:36 PM (61.75.xxx.237)

    그리고 미국있는 아들 귀국시킨 아버지 친구분 정형외과 의사예요.
    본인이 수술한 거는 아니고 당연히 수지전문 정형외과 보냈는데, 그 분야는 우리나라가 더 낫다고 했어요

  • 7. ...
    '17.2.21 1:36 PM (125.142.xxx.42) - 삭제된댓글

    첫 골절후 그냥 방치하면 (뼈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 붙는 원리라서)
    변형된 형태로 굳었기 때문에(붙었기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환부의 뼈를
    다시 띠어서/쪼개서/잘라서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연히 첫 치료(였었을때)보다, 복잡해 질 수 있고, 치료결과도 당연 영향이 있겠죠.

    그래서 첫 골절의 적절한 치료가 가장 중요한 겁니다!!

    저라면...
    한국으로 불러들여서 제대로 우선 치료 받게 할 텐데요.

    (저도 미국에서 유학했지만)
    유학생신분(유학생 의료보험가지고) 그런 치료 받기가
    시스템으로나, 경제적으로나... (한국보다는) 덜 수월할것 같습니다.

    자녀분을 돌봐 줄 (현지생활/의료치료관련) 아주 빠삭한 분이 계시다면
    (돈이 아주 많이 들어 그렇지) 치료는 잘 받을 수 있기도 해요.

  • 8. ///
    '17.2.21 1:38 PM (61.75.xxx.237)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뛰어난 의료기술이 있지만 그건 미국 상류층들이나 이용할 수 있어요.
    일반인들은 그런 의사를 만날 수 없는 의료시스템입니다.

  • 9. ...
    '17.2.21 1:58 PM (124.49.xxx.155) - 삭제된댓글

    남자 조카가 농구 하다가 팔이 골절 됐어요.
    혹시몰라 보험을 빡세게 들었다고 하더니 미국 학교에서 연결해준 병원에서
    치료 받았는데 다친데가 또 다쳤어요.
    어느분이 쓰신것처럼 La에서 비즈니스타고 와서 청담동
    마*병원에서 재수술하고 입원 했어요.
    한국으로 불러서 치료 받게 하세요.

  • 10. 정형외과 문의
    '17.2.21 2:26 PM (1.234.xxx.27)

    아 ᆢ
    귀한 답글 너무 큰 위안이 되네요ㆍ
    막연히 너무 불안했었거든요ㆍ
    덕분에 여유롭게 침착하게 병원 수배중입니다 ㆍ
    댓글 주신 분 들 거듭 감사합니다 ㆍ
    편안하고 행복한 오후되세요~~^^;;

  • 11. 샤베
    '17.2.21 4:51 PM (202.136.xxx.15)

    미국에서 팔 부러진 아들 현지에서 수술했는데요. 의술이야 미국이 최고지요. 바로 응급실로 가면
    수술해주구요. 보험이 있나 문제겠지요.
    근데 이미 붙었다면 한국으로 나오라고 할거에요.

  • 12. 샤베
    '17.2.21 4:51 PM (202.136.xxx.15)

    그리고 응급환자 비행기 안태워주려고 합니다. 의사 소견서 있어야 탈 수 있어요.

  • 13. 음..
    '17.2.21 9:24 PM (67.184.xxx.110)

    대학생이면 유학생에게 의무적으로 보험 가입하라고 할텐데요.
    그럼 (대학병원이 있는 학교라면) 대학병원은 쉽게 갈 수 있고 거의 커버됩니다.
    대학병원 가라고 하세요. 병원 사이트에서 해당 전공 사이트 들어가시면 의사 약력도 다 나오니 확인해 보시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6841 외부자들 재미있겠네요 moioio.. 2017/02/28 582
656840 아이 키우먄서 부모님의 싫은점을 그대로 하고있네요 2 Gg 2017/02/28 759
656839 약간 많이 민망한 얘기.. 치마 입었을 때 앞부분..... 30 속상 2017/02/28 23,133
656838 삼겹살보다 앞다리살 더 좋아하시는 분 계세요? 16 맛난밥 2017/02/28 3,364
656837 제 남편은 자기 동생이 미친짓을 해도 조카는 이쁜가봐요 6 ... 2017/02/28 2,657
656836 친절하지 않은 의사가 계속 어떤 약을 권하는데 4 고지혈증 2017/02/28 1,268
656835 댓글 진짜 이상.. 37 ㅡㅡ 2017/02/28 3,522
656834 피고인 보는데 제 심장이 조마조마 ㅠㅠ 13 ㅇㅇ 2017/02/28 3,011
656833 내일 광화문 집회 때문에 오시는 형님네를 위해! 3 새벽 2017/02/28 1,244
656832 인스타그램 악플러들 다 잡혔나요? 5 ㅇㅇ 2017/02/28 2,208
656831 고소영 괜찮은데요 13 Dd 2017/02/28 4,096
656830 백선생 찌개용 맛간장 뭐뭐 넣은거예요? 5 짜글이 2017/02/28 2,699
656829 역대 가수들중 가장 음색이 좋았던 가수 순위. 33 ㅇㅇ 2017/02/28 4,926
656828 외국계 연봉 4 돈노 2017/02/28 2,641
656827 89세 할머니가 넘어지셨어요 8 급질 2017/02/28 3,171
656826 퇴직후 집에만 있는 남편...너무 힘들어요. 83 난감 2017/02/28 32,548
656825 지금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에 대해 나오네요 11 콩0 2017/02/28 1,767
656824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그렇게 많이들 해먹는다고 하네요... 9 ,,, 2017/02/28 2,831
656823 특검 '朴대통령, 세월호 한 달 뒤부터 2년여간 보톡스 5회' 10 .... 2017/02/28 3,123
656822 마트가다가 말 안듣는 아들때문에 눈물나네요ㅠ 30 Aa 2017/02/28 6,484
656821 나이 80중반이신. 어르신 1 82cook.. 2017/02/28 1,012
656820 까만검정머리가 나중에 흰머리가 확올라온다던데 진짜인가요? 7 마른여자 2017/02/28 2,374
656819 정말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 좋은 집은 있는건가요? 16 ... 2017/02/28 6,390
656818 남자는 도대체 언제 생기려나 1 rrr 2017/02/28 1,385
656817 3월 1일 17시 광화문광장에서 봅시다 2 ... 2017/02/2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