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민상담)공부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는 고딩아이.

삼키로 조회수 : 1,016
작성일 : 2017-02-16 13:41:50
고2 올라가는 남학생입니다.

학교에서는 공부하는 시간에 비해 성적이 좋지 않다고 하고

자기 물건이나 수행평가를 깜빡깜빡해서 놓치기 일쑤라고 합니다.

정작 핵심을 공부하기보다는 별로 중요하지 않는 부분을 열심히 판다.

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정작 뭘 하라고 시키면 앞에서는 예. 하고

잊어버립니다.

그러나 정작 자기에게 필요한 일은 꼭 기억하고요.

좋아하는 팝송가사는 줄줄 외웁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까지는 어느정도 했던 아이인데.

성적이 원하는 만큼 나오지 않고 기대했던 아빠도 간섭하고 하니

아이가 공부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합니다.

올해 고2가 되는데 ....

그럴 때가 아닌데...

혹시 이런 고비를 슬기롭게 넘기신 분들

교육분야 전문가가 계시거든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IP : 61.108.xxx.13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7.2.16 1:56 PM (119.82.xxx.19)

    미혼... 전 시험용공부를 열심히 했어요.
    근데 제가 애를 낳아서 아이가 공부를 안한다면 그냥 냅둘것같네요..
    다 자기팔자가 있고.. 그냥 알아서하게 냅둘것같아요.
    공부가 인생에 다도 아니고...

  • 2. ...
    '17.2.16 1:58 PM (125.177.xxx.135) - 삭제된댓글

    공부하는 시간에 비해 성적이 좋지 않다
    핵심을 공부하기보다는 별로 중요하지 않는 부분을 열심히 판다

    --> 이런 말은 아이가 공부머리가 없다는 말을 둘러서 한 말이예요.
    초중등까지는 공부에 깊이가 크게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노력으로 커버가 되지만
    고등부터는 종합적인 이해력과 사고력이 필요한데 그게 안 되면 노력해도 올라가는데 한계가 있거든요.

    본인도 해도 안 된다는 기분이 드니까 더 하기 싫겠지요.
    공부 안 해서 성적이 안 나오면 내가 공부 안 해서 그래 라는 핑계가 생기지만
    공부 열심히 해도 안 나오면 이건 자기가 머리 나쁘다는 이야기 밖에 안 되니까
    노력하기 싫어지고 그러니 공부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거죠.

    좋아하고 필요한 일은 기억하고 잘 한다니 그 분야를 찾아서 노력하는 게 낫지 않을까 싶네요.

  • 3. 닥달하지마세요
    '17.2.16 2:04 PM (211.36.xxx.28)

    아이가 하고싶은일을 찾아주세요
    공부하는애들은 확실히 타고나고 다르더군요
    아이입에서 그정도말이나온건..공부할체질이아닌듯

  • 4. 님은
    '17.2.16 2:13 PM (175.126.xxx.29)

    알았나요?
    왜 공부를 해야하는지?

    님은 지금은 아나요?
    왜 살아야 하는지?

    50다돼가는 지금도 모르겠는게
    저런 문제 아닌가요?

  • 5. ..
    '17.2.16 2:19 P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사실 많은 고민들이 돈을 버릴 맘이 있으면 참 쉬워져요.
    전문가한테 맡기는 거죠.
    요즘은 소아정신과에서 학습클리닉도 운영하는데
    본전을 뽑을 생각 아니면 도움될 거예요.

  • 6. 대학졸업 후는
    '17.2.16 2:20 PM (117.111.xxx.154) - 삭제된댓글

    네 힘으로만 먹고 살아야한다는 것 강조하세요
    직업의 중요성 강조

    독립심 키워주는 부모가 진짜 좋은 부모에요
    재산 줄께, 부모가 책임져줄께 ㅡ 이런 말은 자식 평생 백수 루저로 만드는 길

  • 7. 신약성경
    '17.2.16 2:21 PM (117.111.xxx.154) - 삭제된댓글

    읽어보는 것도 도움될거에요
    선한 자가 강해져야 하는 이유

  • 8. 강요에 의한
    '17.2.16 2:23 PM (123.213.xxx.216) - 삭제된댓글

    삶을 살던 이들이 저런 말을 해요.
    왜라는 물음이 곧 하기 싫다
    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냅두면 바닥을 칠테고 스스로 깨닫는 바가 있지 않을까요
    지금도 엄마가 있는대로 압박해서 어찌저찌 대학 간다쳐도
    대학 가면 공부 하며 졸업후 취직은 하겠습니까
    몇십년 밥벌이가 십이년 공부,수능 보다 몇천배 더더더 어려운 짓인데?

  • 9. ........
    '17.2.16 2:32 PM (211.207.xxx.190)

    말 그대로네요.
    시험에 나오는 핵심적인 부분보다는 관심있는 내용만 본다는게...고집있는 아이같네요.
    그래도 잘하지는 못하더라도 기본은 해야한다고 말해보세요.

  • 10. DHL
    '17.2.16 2:58 PM (155.140.xxx.40)

    저도 지금도 잘 모르겠는데... ㅎㅎ
    뭐에 관심이 있는지를 대화 해보세요. 공부 잘하면, 잘한다기보다 본인이 하고싶은 일 자유롭게 하고
    살수 있을만큼 하면 좋지요. 하지만 지나고 보니 또 꼭 공부를 해야만 연결되는 일들도 있고
    아닌 일들도 있어요. 제 남편은 만화를 그려도, 농사를 지어도 대학을 나와야 한다 주의지만
    전 또 다르네요.. 기술에 관심있다면, 그리고 그 일을 하기 위한 계획이나 본인의 뜻이 있다면
    꼭 공부까지 잘해야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서요..

  • 11. 엄마 닮아서 그렇죠
    '17.2.20 9:15 AM (121.88.xxx.161) - 삭제된댓글

    님은 공부 잘 하셨나요? 공부가 중요하면 엄마가 먼저 솔선수범해야죠.

    엄마가 공부 잘하시면 엄마가 수능봐서 의대가고 성형외과 의사되서 돈 많이 버셔서

    아들은 하버드 기부금 입학시키면 되잖아요? 솔직히 아들 공부는 엄마 닮는다고 하더이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4306 애기낳고 이런 증상 일반적인가요?? 20 dorlsi.. 2017/06/03 2,809
694305 15평 혼수 조언 좀 해 주세요 16 .... 2017/06/03 3,085
694304 만61세실비보험에대해서물어볼게요~ 3 그냥 2017/06/03 674
694303 캐나다 자유당 트루도 공약이 F35 철회였군요. 록히드마틴 .. 2017/06/03 652
694302 이니 하고 싶은거 다해~ 6.2(금) 2 이니 2017/06/03 872
694301 위암 환자 자연치료 하는곳 있나요 4 자연 2017/06/03 2,130
694300 많이 살았다 생각해요 4 nn 2017/06/03 1,746
694299 엊그제 밤에 물담근 검은콩 먹을수 있을까요? 4 이런 2017/06/03 645
694298 문재인 대선승리 득표율의 비밀 8 ㅁㅁ 2017/06/03 2,770
694297 시어머님이 진심으로 정말 좋으신분들 계신가요? 48 임수맘 2017/06/03 7,156
694296 어제 남자아기 이씨성에 서자 4 여름 2017/06/03 1,162
694295 한겨레 임시주총에 다녀왔습니다. 61 잊지말자 2017/06/03 53,592
694294 에어프라이어로 치킨윙 구워 보신 분,,,,,, 2 요리 2017/06/03 1,628
694293 이케아 솔스타 소파베드 어떤가요? 1 캬바레 2017/06/03 1,212
694292 봉하마을 가려고하는데 짐보관 할 데 있을까요?? 1 반짝반짝 2017/06/03 619
694291 유시민의 새예능프로 첫회 감상기 60 강추 2017/06/03 16,011
694290 사이버 강의 듣는 분들 존경스럽네요 2 에휴 2017/06/03 1,241
694289 어학원 원장님들은 어떤가요? 2 aa 2017/06/03 1,137
694288 알쓸신잡 보고 태호피디가 안타까웠어요. 36 한때 무도광.. 2017/06/03 17,297
694287 "하루에 카드 28,000원 꼴로 쓰는게 정상적이냐&q.. 5 수준 2017/06/03 3,232
694286 방금 노래가 좋아에 나온 가족 보셨어요? ... 2017/06/03 530
694285 [시선] Ep.15 진화한 시민, 고립된 언론, 비루한 의원들 고딩맘 2017/06/03 542
694284 면허 따고 얼마나 지나야 고속도로 탈 수 있을까요 5 2017/06/03 1,212
694283 김빙삼옹에 대하여 1 문자항의 2017/06/03 1,155
694282 이사한 집의 유리로 된 천장 고민 만땅! 4 도리사 2017/06/03 2,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