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학신입생 용돈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새내기 조회수 : 1,402
작성일 : 2017-02-13 12:29:29

여기에 많이 올라오는 질문중에 하나죠

이런 저런 글들 찾아보았는데 막상 내 아이가 해당되니 궁금해서 여쭤요

딸아이가 이번에 연대 되어서 송도기숙사에 갑니다

딸아이과 친구들 페북에 비싼 지갑 선물로 받았다 이런 글도 올라오고

주변분들도 연대애들은 좀 사치스러우니

(강남 아이들이 많아서 그렇다고

또 부자집애들이 많다고 )

 여자아이 같은 경우에는 용돈도 넉넉히 주고

예쁘게 꾸며 주라고 하시네요

요즘 오리엔테이션 기간에 회비 걷어서 회식하고 이런 것 많아서 솔솔히 들어가고

3월에도 이런 경우 많을 것 같아요

학식은 기숙사 내에서 아이돈으로 사 먹어야 하는데 식비는 얼마가 적당하고

그 외 용돈은 얼마가 적당한지 모르겠어요

줘 보고 모자르면 더 주고 하면 좋지만,

아이는 부모님 부담된다고 저얼대 돈을 더 달라고 할 아이가 아니어요

넉넉히 주면 또 주는 대로 다 써버리는 아이인지라

얼마 정도가 적당할까요?


그리고 하나 더 질문요

이불은 어느 정도 두께로 지금 준비해 가야할까요?

전 그냥 보통 차렵이불 정도에 담요한 장 위에 덮으면 어떨까 싶은데요



IP : 175.207.xxx.16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7.2.13 12:47 PM (211.237.xxx.105)

    저희 딸 대학3학년 되고, 일산에서 서울 신촌통학하는 앤데 늘 변함없이 용돈은 30만원입니다.
    아마 그정도면 되지 않을까요..
    자기가 과외해서 버는 돈도 있지만 그돈은 적금부어주고 있으니 ..
    사실 제가 가족카드로 해줬는데 한도는 더 넘지만 30만원까지만 쓰라하니
    늘 20~30만원 정도 카드값 나옵니다.
    교통비. 식사비 포함해서요. 나머지는 다 제가 따로 사주거나 비용을 줍니다.
    핸드폰비, 옷값, 책값, 만원 넘는 화장품값, 기타 소소하게 필요한 물건들은 다 사주고
    밥값,교통비, 친구들하고 만나서 노는 비용 합해서 30..
    방학때는 조금 덜 나오기도 하는데 대략 비슷하게 나와요.
    방학때도 친구들하고 놀러가기도 하고 만나기도 하니깐요.

  • 2. 집집마다
    '17.2.13 12:49 PM (121.140.xxx.65) - 삭제된댓글

    옷이나 가방, 미장원, 신발은 다 백화점에서 자주 사줬어요.
    너무 뛰떨어지지 않게요....
    용돈은 쓸만큼 줬어요.
    지나치게 사치스럽지 않는 아이라....원하는만큼요.
    해외여행은 방학때마다 보내줬고요.

    돈은..1달 단위로 주는 것보다 2주 단위로 주는 게 좋아요.
    15일 단위로 해도 되는데...아이들이 날짜 개념이 적고 요일 개념이 더 있더군요.
    한주 건너서 월요일마다 용돈 줬어요.
    현금카드로.

    돈 떨어지면, 야박하지 않게 추가로 줬어요.
    추가돈은 큰돈은 아니고 5~10만원 정도요.
    쓸데 있어서 썻다고 생각했어요.

  • 3. 우리애는
    '17.2.13 1:00 PM (175.124.xxx.166)

    과외 알바는 사회경험에 마이너스라고 안해요
    쉽게 버는데 익숙해지고 학생과 1:1로 보내면서 뭘 배우겠냐고 차라리 커피숍 알바가 더 배울게 많다면서 들어온 과외도 거절했어요

    취미가 뮤지컬이나 공연,영화쪽이라 취미 생활로 많은 부분 쓰고 옷이나 다른것들은 제가 해주고요
    한달 50도 부족해서 20일이 넘어가면 1,20만원 더 받아가요

  • 4. 집집마다
    '17.2.13 1:12 PM (121.140.xxx.65) - 삭제된댓글

    금액을 얘기하지 않는 건....다 달라서입니다.
    학교 다니면서, 밥값, 커피값, 빵값...부족하게 지내는 것은 싫습니다.
    엄마 밑에서 용돈 받고 지내는 마지막 4년일 겁니다.

  • 5. 저희는
    '17.2.13 1:20 PM (211.226.xxx.127) - 삭제된댓글

    큰 아이는 50, 작은 아이는 60 줍니다.
    휴대폰비용이 포함이고요. 집이 멀어서 교통비가 하루에 최소 7천원, 9천원 들어요.
    한 달에 20일 통학으로 계산하고, 휴대폰비용 제하면 밥 먹고 용돈 쓰는데 30만원인 셈이죠.
    옷, 신발, 단가 높은 화장품, 책은 제가 사주고요.
    연대생들 형편 넉넉해서 용돈 많이 쓰는 아이들은 저희 집 두 배는 금방 쓰고요.
    소지품, 옷등 다 고가인 아이들도 많아요. 원글님 댁 자녀가 자존감 있고 크게 개의치 않으면 별로 문제 되진 않을 겁니다.
    주변에 어떤 아이들이 있느냐로 밥값, 커피 값, 놀러 가는 것.. 쓰는 비용이 달라질 거고요.
    아이가 술자리 좋아하면 또 돈 많이 듭니다.
    저희 아이들은 술 안 하는 스타일이라 저 용돈으로 학식 먹고, 시간 없으면 굶기도 하고, 편의접에서 달걀 하나사먹기도 했다가 친구들과 애슐리도 가고. 파스타집도 가는 등.. 융통성있게 씁니다.
    세뱃돈, 조부모님, 친척이 주는 용돈 (5만원에서 10만원씩 되니 명절 지나면 몇 십 생겨요.) 모아뒀다가 필요할 때 쓰고요. 특별한 문화생활 콘서트, 전시회, 자기 선호하는 수집품에 저 한테 손 안벌리고 씁니다.
    그런 용돈은 알아서 쓰게끔 아이들에게 그냥 둡니다.
    저는 한달 단위로 용돈 주는데 현금 찾아서 깨끗한 돈으로 그림 맞춰 봉투에 넣어 줍니다.
    각자 휴대폰 요금 빠져나가는 통장에 알아서 돈 넣고.
    한 아이는 현금 2~3만원씩 자기 지갑에 넣어서 돈을 쓰고.
    한 아이는 일주일에 한 번씩 통장에 돈을 넣고 체크 카드로 쓰고요. 현금 영수증도 챙깁니다.
    용돈의 액수보다도 돈을 어디에 쓰는지, 소비 습관을 체크해 보는 것이 중요하고 돈을 대하는 기본 태도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처음이니 일단 정해진 액수를 주시고 두 달 정도 지난 후 둘이 의논해서 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여자아이들은 미용실에 돈이 많이 듭니다. 어느 수준의 미용실을 갈건지도 생각해보세요.
    경험상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보는 기간이라고 생각하고 너무 부모님의 생각만 주장하지 마시고 한 학기 지내면서 자리 잡아 가도 됩니다.
    각자 형편에 따라 알바가 필요하기도 하고, 여행까지 모두 지원하기도 하고. 자기 분수에 맞춰 쓰는 것이 맞겠죠.
    대학생이 되는 때까 돈에 대해 가르치는 중요한 때입니다.
    이불은 말씀하신 대로 차렵에 얇은 극세사 패드 같은 것 얹으면 충분합니다. 빨기도 쉽고요.

  • 6. 조금 여유있게
    '17.2.13 1:39 PM (14.47.xxx.162) - 삭제된댓글

    주는편입니다.
    순수 용돈만 30만원 주고 가족카드 만들어 사용하게 줬습니다.
    교통비나 옷값등 소소한것들은 따로 사줍니다. 저도 윗님처럼 대학생활하는동안은
    조금 여유롭게 생활했으면 해서요. 그래도 과소비하는 아이 아니라 통장에 용돈 남겨서
    적금 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9571 시어머니 심뽀 8 정치몰라 2017/05/20 3,797
689570 회사동반 퇴사 후 ‘무직’으로 무작정 독일 이민 간 30대 부부.. 5 그냥 2017/05/20 4,692
689569 잠실종합운동장수영장이용질문입니다 2 수영장 2017/05/20 1,187
689568 왜 문재인 대통령님은 사시폐지하고 수능 절대평가 하려는지?? 19 이해불가 2017/05/20 2,735
689567 에딘버러 승범이네 지금도 민박하시나요? 2 영국 2017/05/20 2,418
689566 파인애플 식초하고 남은 건더기 파인애플요~ 3 다이어터 2017/05/20 1,947
689565 친구가 무섭다는 초저학년딸엄만데 이럴땐 어떻게 대처해야되나요 속.. 3 초보학부모 2017/05/20 1,268
689564 시험이 꼭 대학입시만을 위한건 아니죠 2 ㅇㅇ 2017/05/20 648
689563 수행 없애고 중간기말만 남기자는분 27 .. 2017/05/20 2,444
689562 윤석열, 옷벗은 채동욱과 박형철, 그리고 황교안 ... 2017/05/20 2,328
689561 윤리적인 은행 추천해주세요 6 ㅇㅇ 2017/05/20 1,241
689560 조문객, 답례품 뭐가 좋을지요? 7 진호맘 2017/05/20 4,741
689559 남편이 현관에 신발을 걸어오면서 벗어요 14 싫어여 2017/05/20 3,326
689558 일본회사에 선물할 도자기 구입처 문의 6 숑숑이 2017/05/20 836
689557 저와 다이어트 같이하실분-마감입니다 43 4848 2017/05/20 3,420
689556 대학에서 조별과제로만 학점낸다면 난리나겠죠. 15 ........ 2017/05/20 1,962
689555 [시선_클로징] '사면'의 기적 1 고딩맘 2017/05/20 710
689554 교육정책 걱정 되시는 분들은요. 35 교육 2017/05/20 2,772
689553 지금 채널cg*에서 화려한휴가 영화하네요. 2 마쉐리~ 2017/05/20 734
689552 文대통령, 유엔 사무총장-EU상임의장과 잇달아 통화 2 샬랄라 2017/05/20 1,380
689551 교육정책 보니.. 앞으로 학군좋은 중고등학교 근처 집 값 더 오.. 12 짜증 2017/05/20 5,159
689550 친구에게 핸드폰을 팔았는데 19 조언부탁드려.. 2017/05/20 4,036
689549 드럼세탁기와 건조기 중 어떤 것을 살까요? 7 세탁 2017/05/20 2,236
689548 (공유) 빨갱이라는 말이 생겨난 이유(소중한 역사공부) 3 등불 2017/05/20 1,122
689547 518 유가족 안아주는 문재인 대통령 3 감동 2017/05/20 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