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정사회 만드는 정치인을 뽑읍시다..

공정사회 조회수 : 379
작성일 : 2017-02-10 13:12:53
힘든 분들 많으시겠지만
저는 요즘 10대 20대 만큼 힘든 세대들이 있을까 싶습니다..

현재의 젊은 이들은 노력이 배신당하는 삶을 살아오고 있습니다..

어릴때는 죽어라 공부해
공부 안하면 큰일날거처럼 살아왔는데
막상 대학가려니. 혹은 대학 졸업하니

흙수저 아이들에게는 어찌할바를 모르는 직업세계.

그냥 포기하는 사태로 이어지는 시대가 아닌가 싶어요.

몇안되던 보장좋고 급여수준 좋은 직업들. 그것으로 가는 학교들은
나날이 막혀버리고.ㅡ 게다가 더 막으려고 합니다..ㅡ

예전에는 스카이 나오면 뭐라도 했는데
이제는 그런 보장도 없어..

나와서 좋은 기업 간다고 해도 연줄없으면 어떻게 될까 전전긍긍

정유라 같은 아이들은 팽팽 놀아도
좋은 학교 좋은 직업 가지는 것만 같아
상대적인 열패감...

그런 연줄 인맥 등에 의해 학교가고 직업 가지는 것에 대해서
다들 그러려니 하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니..
수시 같은 제도를 통해 어떻게든 남의 손으로 만든 자료도 제것이라 우겨
들어가려고 기를 쓰고..

하다못해 대기업 생산직에서도 노조 차원에서
비공정 루트를 통해 비공개채용으로 아는 인맥을 뽑지요.

다수가 공정하지 않은 룰의 방식에 대해
그러려니 하고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오히려 공정한 룰에 의해 보장된 직업을 가지는 사람
ㅡ 경찰대 나와 고위경찰공무원된 사례. 수능쳐서 교대나온 교사 등등 ㅡ
에 대해서는 너의 포지션에 비해 과한 대우 아니냐 불합리하다 빽빽

이런 소리도 많습니다.

이런 사회분위기가 나날이 더 심해지면 우리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요?
인맥 연줄 돈이 최선이다 어떻게든 빽을 잡아야지.
없으면 그냥 대충 살련다.. 이렇지 않을까요?

노력하면 누구에게나 공정한 기회가 있다는 사회.
공정한 룰을 가진 사회가 형성되어야
자기의 포지션에서 노력하는 젊은이들이 나오고.
젊은이들의 경제활동도 활성화되고 국가적으로도 이득이 아닐까요?

그런 의미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급한 논의는
어떤 공정한 룰로 대학입시를 하느냐..
공정한 룰로 사법. 경찰. 행정 고위공무원을 뽑느냐.
교사가. 공무원이 되는 것이냐 지 ㅡ
현재 상태에서 공정한 룰로 이미 뽑고 있다고 여겨지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직업군에 대해서
일부러 건드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ㅡ

전국민적인 경제적 사회적 지위나 대우의 평등 이런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민주주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국민이 원하는 것은
기회의 평등이지 결과의 평등이 아니지 않을까요??
IP : 223.33.xxx.7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2.10 1:17 PM (222.98.xxx.77) - 삭제된댓글

    이재명 뽑자는 소리로 들리네요. 맞죠?

  • 2. 사람사는세상77
    '17.2.10 1:21 PM (118.130.xxx.178)

    백퍼 동감합니다

  • 3. ..
    '17.2.10 1:23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어떤 직업이든 밥 먹고 애낳고 사는데 문제가 없어야죠.
    여기 82에서 남친이 250 벌어오는데 저는 애 낳아 키우면서 맞벌이하면 너무 힘들어 전업하고 싶어요.
    그러면 다 뜯어말리잖아요.
    차라리 혼자 살아라며.
    저는 육아시설 보충과 최저임금 보전, 그리고 여성의 육아수당이
    여성에게 많은 선택지를 준다고 생각해요.

    공정경쟁의 문제 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루 8시간 노동을 하면 소위 좋은 일자리에서 받는 급여를
    어떤 일을 하더라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렇지 않으면 우리나라 국민들 행복감은 요원하다 생각합니다.
    이 문제 때문에 학창시절은 물론 성인이 되어서도 심한 경쟁에 시달리고
    불안에 시달리죠. 불안한 사회에서 사는 국민은 행복해지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장애인 정책도 형편없어요.
    기준을 칼같이 정해서 이 기준 이하로는 보조를 못 받게 되었는데요.
    가령 60데시벨까지는 지원되고 61까지는 안 되고.. 이런 식입니다.
    61이라고 잘 듣는 게 아니에요. 아주 못 들어요.
    이런 수치화, 계량화된 정책도 크게 문제가 있습니다.

  • 4. 윌리
    '17.2.10 1:29 PM (194.69.xxx.1)

    왕년에 친일인명사전편찬이 논란이 되자
    당시 한나라당은, 먹고 사는 게 중요하지 그게 중요하냐고 했던 기억이 나네요.

    정의로운 사회가 되여 잘 먹고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5. ..
    '17.2.10 1:33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절박한 게 손에 쥐어지는 게 중요하죠.
    항상 그럴싸한 말들로 공약을 하지만,
    정작 시민들의 손에 쥐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죠.
    그러니, 구체적으로 지금 국민들이 숨넘어가게 어려운 문제..
    그것들을 하나둘씩 손에 쥐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공정사회는 그야말로 토양 같은 거라..
    그게 중요하기는 해도 그것이 목표가 될 수는 없잖아요.

  • 6. ..
    '17.2.10 1:33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절박한 게 손에 쥐어지는 게 중요하죠.
    항상 그럴싸한 말들로 공약을 하지만,
    정작 시민들의 손에 쥐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죠.
    그러니, 구체적으로 지금 국민들이 숨넘어가게 어려운 문제..
    그것들을 하나둘씩 손에 쥐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공정사회는 그야말로 공기, 토양 같은 거라..
    그게 중요하기는 해도 그것이 목표가 될 수는 없잖아요.

  • 7. 공기가
    '17.2.10 1:40 PM (223.33.xxx.7)

    공기와 토양이 가장 중요하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제 가치관이예요.

  • 8. 공기가
    '17.2.10 1:46 PM (223.33.xxx.7)

    공정하고 쉬운 룰이 있는데

    굳이 비공정한 룰을 들이대는 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리 착하고 정의로운 척을 해도 정의로운 집단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 9. ..
    '17.2.10 1:47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사유재산이 인정되는 한, 공정할 수가 없어요.
    부모 재산이 자녀의 신분이 되는 세상입니다.
    그런 세상에서 공정사회를 부르짖는 것은 뜬구름 잡는 소리나 마찬가지죠.
    법이 없어서 공정사회와 거리가 먼 것도 아니고요.
    그러니, 공약이나 연설에서 부르짖는 공정사회는 구체성과 실현가능성으로 엄격하게 평가받아야 합니다.

  • 10. 이런
    '17.2.10 1:52 PM (222.114.xxx.110)

    사유재산 인정된다고 공정사회 되도록 다른쪽으로라도 방법을 모색하지 않고 노력을 안한다는건 더 바보미련퉁 생각이죠.

  • 11. 공정사회
    '17.2.10 1:55 PM (222.114.xxx.110) - 삭제된댓글

    법 안에서 쉽게 실천하고 실현가능한 것들부터 바꿔나가야 함..

  • 12. 공정사회
    '17.2.10 1:58 PM (222.114.xxx.110)

    법 안에서 가능한 것들과 쉽게 법개정이 가능하고 실천하고 실현가능한 것들부터 바꿔나가야 함..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5887 (펌) 패기 넘친 35세 문재인 ᆢ 5 요건또 2017/05/10 2,406
685886 닥과 이재용은 기분이 째진다 21 달타냥 2017/05/10 4,956
685885 4년전에 1 맥도날드 2017/05/10 440
685884 올해 노벨평화상 6 ... 2017/05/10 1,760
685883 [서민교수의 어쩌면] 국민에 바란다 고딩맘 2017/05/10 621
685882 (일상)채소를 손쉽게 많이 먹으려면 어떤 방법이 8 있을까요? 2017/05/10 1,600
685881 유시민님 장관 하실거 같아요 46 2017/05/10 17,492
685880 중보기도가 뭔가요? 2 기도 2017/05/10 772
685879 요즘은 어떤 종이신문 보시나요? 추천해주세요 3 신문 2017/05/10 580
685878 요요 무섭네요 2 ㅇㅇ 2017/05/10 1,369
685877 프리랜서 수금 관리 어케 하나요? 간단한 엑셀서식 어디에서 구할.. 프리 2017/05/10 395
685876 김경수도 문재인정부 일해야함 9 강력추천 2017/05/10 3,519
685875 취임사 듣다가 울었어요~!!! 12 그루터기 2017/05/10 2,493
685874 권리당원 가입했어요 9 더민주 권리.. 2017/05/10 1,022
685873 기쁜데 왜케 불안하죠?? 6 ㅡㅡ 2017/05/10 1,081
685872 9년만에 뉴스 봅니다 3 --;; 2017/05/10 383
685871 조국 교수 비검찰출신인데...검찰 좀 청소할까요?.......... 8 ㄷㄷㄷ 2017/05/10 2,781
685870 바지락에서 노란색 물나오느건 뭐죠? ^^* 2017/05/10 297
685869 취임식 너무 후딱 하네요... 4 ... 2017/05/10 1,240
685868 점심 시간에 문재인 대통령님 영접했어요 ㅠㅠ 24 ciel 2017/05/10 5,230
685867 긴급속보 !!!! 조국교수 49 아름다운사람.. 2017/05/10 22,224
685866 곧 제대로 된 취임식 있을 겁니다 5 .. 2017/05/10 1,125
685865 문재인 대통령으로 얻는 정책적 장점이 뭐가 있나요? 4 .... 2017/05/10 426
685864 조국 교수?? 정무 수석에 내정?? 6 2017/05/10 1,464
685863 내일 썰전 재밌겠어요.. 3 .. 2017/05/10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