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방 싱크대 바꿀꺼에요. 궁금한거 있어요. 팁 좀 부탁드려요.

고수님들께 부탁 조회수 : 2,008
작성일 : 2017-01-18 15:01:27
살림 고단수분들이 많으시니까..
초보주부 질문합니다.

담달에 이사하면서 싱크대만 바꾸고 들어가려고 해요.

1. 싱크대 개수대 앞 젠다이(?) 필수일까요?
전세집 살때는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2년마다 이사다니며 적응하고 살긴 했는데
인테리어 사진들 보니 요새는 안하는 집들이 종종 있는 것 같아요.
지금 집에서는 젠다이에 주로 음쓰 통, 주방세제, 핸드워시 올려놓고 쓰고 있어요.

2. 주방 수전 및 배수구 위치?
이것도 역시 전세집에 되어 있는 대로 적응하며 쓰긴 했어요.
효율적인? 것으로 보면 주방 수전이 싱크볼 좌 우 중앙 어디에 있는것이 편하세요?
그리고 배수구는 역시 좌 우 중앙 어디에 있는것이 편하신지요?

3. 식기세척기(빌트인) 위치
개수대 바로 옆에 붙어있는게 좋다고 하던데
개수대 오른쪽칸에 넣는 것이 편하겠지요? (오른손잡이 기준)
IP : 14.39.xxx.23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18 3:08 PM (110.70.xxx.73) - 삭제된댓글

    1번은 있는 집 살다가 없는 집 사니까 무척 불편해요
    있을 때도 거기에 뭘 많이 올려놓은건 아니었는데도 없으니 허전하고 불편해요

    2번은 둘다 가운데요.
    지금 수전이 오른쪽 끝에 있는데 방향을 최대 가운데로 향하게 해도 한쪽으로 치우쳐서 설거지 할때 오른쪽 씽크대쪽으로 물도 많이 튀고 불편해요
    그리고 하수구 구멍은 왼쪽 끝인데 제가 음식물 바구니를 왼쪽에 놓고 쓰거든요. 구멍이 있으니 바구니가 자꾸 미끄러지면서 하수구 뚜껑이 빠지게 되요.
    설거지 감이든 음식쓰레기 바구니든 양 사이드로 주로 놓은 편이라 개운데에 있는게 나을거 같아요

    3.
    안써봤지만 오른쪽이 나을거 같아요

  • 2. 원글
    '17.1.18 3:22 PM (14.39.xxx.234)

    젠다이는 없으면 아무래도 불편한 점이 있겠지요?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 3. 지난 달 인테리어 입주
    '17.1.18 3:41 PM (163.152.xxx.151)

    1. 싱크대 개수대 앞 젠다이(?) 필수일까요?

    제 주방은 개수대 앞에 창이라 자연스럽게 창턱이 젠다이 역할 하는데요,
    주방세제와 핸드로션 등을 두려면 있는게 편해요.


    2. 주방 수전 및 배수구 위치?

    주방수전은 대개 튀어나오니까 왼, 오른, 중앙 어디든 불편하지는 않았어요. 배수구는 왼쪽이나 오른쪽 한쪽으로 몰리는게 저는 편하더라고요. 배수구 있는 쪽이 아무래도 조금은 들어가게(경사지게) 되는 구조거든요. 나머지 한 쪽이 평평한 부분이 넓어지니까 더 좋던데요.


    3. 식기세척기(빌트인) 위치

    제 주방에는 개수대 오른편에 이미 식기세척기 위치가 잡혀있는 상태에서 그냥 밀어넣은거라 선택의 여지가 없었는데, 전 오른손잡이지만 왼손으로 그릇잡고 오른손으로 수세미 잡지 않나요? 그렇다면 왼쪽으로 선택할 수 있으면 그 위치가 더 편할 것 같아요.

  • 4. 주방 좋아
    '17.1.18 3:45 PM (125.186.xxx.115) - 삭제된댓글

    1. 젠다이 ㅡ 없으면 깔끔해요. 주방세제는 싱크대에 수전이랑 같이 묻으시면 보기 좋아요
    2. 수전 ㅡ 수전 모양과 싱크볼에 따라 다 달라요, 목 긴 형 이면 중앙ㅡ 레버는오른쪽, 세제통은 왼쪽 / 목 짧은형 이면 옆.
    하수구 ㅡ 수전에서 뜨거운 물 나오는 곳은 싱크대 아래 부분 스티로폼 같은 거 붙여좋은 데가 녹아요 그래서 보통 수전 밑에 하수구 오게 하나봐요 그러나 개인적으로 한쪽 사이드가 편해요. 안그럼 숫가락이나 음식 씻다가 하수구 들어가 버려서,,
    3. 안써봐서

    추가 ㅡ 상판 너무 짙지 않오면서 너무 옅지 않은 색으로. 안에 돌같은 알갱이 큰걸로.

  • 5. 글쎄요
    '17.1.18 3:50 PM (222.232.xxx.252)

    1. 젠다이 .. 저희는 안했는데요, 세제는 그냥 싱크대와 합쳐진 세제통에 담아 쓰고요, 요즘 나오는 싱크대는 싱크볼 가운데가 움푹 패여서 수세미랑 세제랑 같이 담을 수 있는 바구니 같이 나와요, 없으면 확실히 깔끔해요, 있으면 좀 여러가지로 지저분합니다.. 기름 튀고, 얼룩 튀고.. 등등

    2. 수전 - 저는 오른쪽, 보통 목 긴형 많이 쓰쟎아요? 한쪽으로 몰린게 여러가지에서 활용성이 낫죠

    3. 이건 뭐 안써봐서...

    욕실젠다이는 필수지만 주방 젠다이는 없으면 없는대로 적응되어용

  • 6. ....
    '17.1.18 3:59 PM (110.70.xxx.66) - 삭제된댓글

    씽크대 매립형 세제통은 불량이 많아요. 뚜껑 통해 물 스미는 경우가 있어요. 갈 수록 세제가 묽어져요.
    그리고 한 통에 계속 쓰니 비위생적.
    분리하는 것도 어렵고요.

  • 7.
    '17.1.18 4:52 PM (183.96.xxx.73)

    1. 젠다이; 비용 추가여서 안했는데 안하는게 넓어 보이고 아쉬운점도 없어요.

    2. 배수구 ; 중앙, 수전; 오른쪽
    수전이 잡아당기면 샤워호스처럼 빠지는 스타일이라.. 부피 큰 냄비 등 설거지 할 때는 중앙보다 걸리적거리는거 없어 좋아요
    3. 저는 오른쪽.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된 수저 등을 정리해서 넣을 수 있는 서랍 수납칸 위치도 고려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2063 사이안좋은 가족 이민 1 질문 2017/03/16 1,305
662062 석사와 박사는 많이 차이 날까요 2 ㅇㅇ 2017/03/16 2,352
662061 수영장 다니시는분들께 질문. 7 .. 2017/03/16 1,950
662060 안철수의원님은 합리적인거 같지만...국민의당이 별루에요. 28 개헌반대 2017/03/16 1,271
662059 외국에 연수로 나와 있는데 부재자 투표.. 1 %% 2017/03/16 516
662058 그러게~박완주 '선거법 하나 못하면서…대선날 개헌 믿겠냐' 3 3당야합 2017/03/16 667
662057 내각제는 자기가 대통령될 확률이 낮아지면 하자고 하는 건가요? 4 내각제는 2017/03/16 644
662056 월남쌈 시판소스 추천해주세요 1 oooo 2017/03/16 1,518
662055 45조 2 경제 2017/03/16 627
662054 요번 고3 모의고사 영어 1등급이 몇 프로 나왔을까요? 3 절대평가 2017/03/16 1,755
662053 mbn뉴스파이터. 드레스입은여자누구에요? 뭐야 2017/03/16 508
662052 하루 섭취 비타민c를 과일로 채우려면 얼마나 먹어야할까요? 3 비타민 2017/03/16 1,320
662051 박근혜 응원합니다 8 Dd 2017/03/16 1,476
662050 백혜련 "靑 문서파쇄기로 증거인멸" 압수수색 .. 2 압색하라 2017/03/16 1,010
662049 자체발광오피스 고아성이요~~ 2 zz 2017/03/16 1,838
662048 5~60대분들 자식분들요.. 아이사주 보신분중 13 000 2017/03/16 3,658
662047 김용민 실제로 자유한국당에 전화해서 따짐ㅋ 5 고딩맘 2017/03/16 1,306
662046 중국어원어민소개 ... 어디에 이야기하면 좋을까요? 10 날아라 2017/03/16 759
662045 안철수 국회서 정치 개혁 공약 발표.. 22 리콜 2017/03/16 648
662044 [단독]'특수통 대부' 최재경 전 민정수석, 朴 변호인단 '불참.. 4 세우실 2017/03/16 1,687
662043 뉴스공장 오늘 새로운 소식말이예요... 19 이재용. 2017/03/16 2,767
662042 문지지자중 애(사랑) 19 적폐청산 2017/03/16 705
662041 교직원 정년까지 평교사로 지내시는분 많나요 15 선생님 2017/03/16 4,369
662040 대선후보는 밥심으로~ 4 ㅈㅈ 2017/03/16 573
662039 70대 어머니가 척추협착으로 고생중이신데요.. 8 .. 2017/03/16 2,194